•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슬로바키아의 준-대통령제: 대통령과 총리 간 대결에서 공존으로 (Semi-presidentialism in Slovakia: from conflicts to coexist between President and Prime minister)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9.02
30P 미리보기
슬로바키아의 준-대통령제: 대통령과 총리 간 대결에서 공존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 수록지 정보 : EU연구 / 51호 / 3 ~ 32페이지
    · 저자명 : 김신규

    초록

    1999년 직선제 개헌 이후 슬로바키아의 직선 대통령들은 자신의 역할과 위상을 인지하면서 공식적인 권한 확대를 추구하지 않았으며 스스로가 정당정치에 휩쓸려 들어가지 않고 의회제의 전통을 따르고 있다. 직선 대통령인 슈스터나 가슈파로비치가 총리와 대립한 적도 없었고 경우에 따라서 정부를 신랄히 비판하기도 했지만 그것은 권한 강화와 영향력 확대를 위한 의도가 아니라, 특정 정책이나 개인적인 반감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에 불과했었다. 현실적으로도 정당의 지지를 받지 못할 경우 대통령에 당선될 수 없었기 때문에 대통령은 당선이나 재선을 위해서라도 굳이 총리와 대립할 이유가 없었다. 이런 이유에서 직선제 개헌으로 슬로바키아는 형식상으로 준-대통령제 국가가 되었지만, 대통령의 헌법상 공식 권한과 비공식 권한을 살펴볼 때는 오히려 의회제가 강화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향후 슬로바키아 대통령의 역할이 어떻게 바뀔지 섣불리 예측할 수는 없다. 다만, 현재까지의 경향을 통해 볼 때, 다른 탈공산주의 국가들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약한 권한을 가진 대통령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이다.

    영어초록

    Since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in 1999, the President of Slovakia, elected by direct election, have been aware of their roles and status and do not willing to pursue the expansion of official authority, but accept the tradition of parliamentarism without being participating daily party politics. Popularly elected R. Schuster and I. Gaskarovich had never been in conflict with the prime minister, and occasionally criticized the government, but it was not an intention to strengthen presidential powers and influences, but only temporary phenomena due to specific policies of government or personal antipathy against the prime minister or ministers. In reality, Slovak presidents could not be elected if they are not supported by the strongest political party or majority in the parliament. Therefore, presidents had no reason to confront with the prime minister even for election or re-election.
    For this reason, though Slovakia became a semi-presidential state after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in 1999, it can be judged that the parliamentarianism has been strengthened if we examine formal and informal presidential powers. We can not predict how the role and power of the Slovak president will change in the future. However, considering the current trends in slovak political life, it is likely that semi-presidentialism with relatively weak formal an informal powers will be maintain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