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韓⋅中 “약 되는 아들의 간” 설화의 전승 양상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ransmitting Phase of Tale of “stepson’s liver using for medicine” in Korea and China)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7.06
46P 미리보기
韓⋅中 “약 되는 아들의 간” 설화의 전승 양상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어문 / 73호 / 313 ~ 358페이지
    · 저자명 : 김혜정

    초록

    본 연구는 ‘약 되는 아들의 간’ 설화가 한⋅중 양국에서 전승되는 양상을 밝히고, 주요 모티프의 변이양상과 문화적 전변, 양국 서사문학에 미친 영향을 대비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약 되는 아들의 간’ 설화는 계모가 꾀병을 핑계로 전처아들의 간을 요구하면서일어나는 갈등을 다룬 설화이다. 계모와 전처소생 아들의 갈등이 서사의 근간이라는 점에서 계모설화의 한 유형으로 볼 수 있다. 이 설화의 가장 핵심적인 모티프는계모가 전처소생 아들을 없애기 위해 꾀병을 앓으면서 남편에게 전처소생 아들의간을 치료약으로 요구한다는 점이다. 현재까지 한국에서는 총 30개의 각편이 전승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주인공이 겪는 사건과 그에 따른 행적을 중심으로 과거급제형, 혼인확대형, 형제상봉형, 칠성풀이형, 송아지아들형 이상 5개의 하위 유형이 전승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중에서 칠성풀이형은 충청도와 전라도의 무속제의에서 불려지는 칠성풀이 무가와 밀접한 영향관계가 있다. 또 송아지아들형은 고려 충숙왕 때 찬술된 것으로 확인되는 『석가여래십지수행기』소재 「금우태자전」에서 영향받아 파생된 자료임을 밝혔다.
    중국에서도 ‘약 되는 아들의 간’ 유형 설화는 민담(民間故事)의 형태로 24편의설화가 구비전승되고 있다. 중국의 자료 역시 주인공이 겪는 사건과 행적에 의해크게 형제상봉형, 송아지아들형으로 전승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 송아지아들형인 경우 돈황석굴 출토본 위경으로서 수당시기에 필사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불설효순자수행성불경』과 밀접한 영향관계가 있음을 할 수 있었다.
    한중 공통 유형으로는 형제상봉형과 송아지아들형이 전승되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한국의 형제상봉형은 형제의 이별과 재회가 매우 극적으로 전개되면서 형제의 우애가 강조되어 있고, 최하층 천민인 백정을 부모로 봉양하는 결말을 통해 혈연중심적인 가족제도에 대한 설화 향유층의 비판적인 인식이 확인된다. 중국의 형제상봉형은 이복형제의 우애가 돋보이는 가운데 죽음과 부활, 활불, 은둔수행자등과 같은 라마불교(티베트불교)적 요소가 매우 강하게 투영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형제상봉형이 중국내 라마불교 신앙지역을 중심으로전승이 이루어지고 있고, 티베트 지역 민속극인 「돈월돈주」와 동일한 서사를 공유하는 것과 긴밀하게 연관된다는 점을 새롭게 밝혔다.
    한편, 한국과 중국의 송아지아들형은 매우 근접한 서사적 전개를 보이는데, 이는 동일한 계통으로 추정되는 한국의 「금우태자전」, 중국의 『불설효순자수행성불경』과 각각 직간접적인 영향관계를 형성하며 변이와 전승이 이루어진 결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transmitting a tale, ‘stepson’s liver using for medicine’ in Korea and China and comparatively consider the aspects of change in its main motif, cultural changes, and influence on epic literature in both countries.
    The tale, ‘stepson’s liver using for medicine’, is about happenings associated with conflicts resulted from a stepmother wanting stepson’s liver feigning a disease. In Korea, total 30 pieces of stories have been transmitted up to now. In Korea, centering around the events that the main character experiences and what he does, five subtypes have been transmitted, passing the gwageo(過擧), marital extension, brothers’ reunion, Chilseongpuri, and the calf son. Among them, the Chilseongpuri type is closely related to the Chilseongpuri shaman song transmitted in Chungcheong(忠淸) and Jeolla (全羅) Province. Also, it has been found that the calf son was derived from 「Geumwootaeja-jeon(金牛太子傳)」 contained in 『Seokgayeoraesipjisuhaen ggi (釋迦如來十地修行記)』 which was compiled in King Chungsuk(忠肅王)’s reign during Goryeo(高麗).
    In China, too, 23 pieces of the tale, ‘stepson’s liver using for medicine’, have been transmitted as a form of folktale. China’s material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e brothers’ reunion and calf son type according to what the main character gets to experience and what he does. The calf son type is closely associated with 『Bulseolhyosunjasuhaengseolbulgyeong(佛說孝順 子修行成佛經)』 which a material transcribed during Sui-Tang(隋唐) and the fake scripture excavated from Dunhuang(敦煌) Stone Cave.
    It is noticeable that both in Korea and China, the brothers’ reunion and calf son type have been transmitted. Korea’s brothers’ reunion type stresses brotherhood while criticizing harmful effects from the blood-oriented family system. China’s brothers’ reunion type also emphasizes brotherly love while internalizing the idea of revival in Tibetan Buddhism.
    Meanwhile, the calf son type in Korea and China is found to have been directly influenced by a Buddhistic novel, 「Geumwootaeja-jeon」, and the fake Buddhist scripture, 『Bulseolhyosunjasuhaengseolbulgyeong(佛說孝順 子修行成佛經)』, respectiv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어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