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洪武年間 明의 封典 整備와 朝·明關係 (Improvement of Bongjeon(封典) System by Ming Dynasty and Joseon-Ming Relations in the Hong-wu period)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7.02
36P 미리보기
洪武年間 明의 封典 整備와 朝·明關係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사연구 / 106호 / 59 ~ 94페이지
    · 저자명 : 김경록

    초록

    원말명초 사회혼란을 수습하고, 명 중심 국제질서를 지향하였던 홍무제는 황제중심의 일원적인 통치체제를 확립하기 위해 봉책제도를 정비하였다. 명 건국이전 원말 정치부패, 법 기강의 해이, 민심이반, 농민봉기 등 정세변화에 따라 유력 군웅으로 세력을 확장한 주원장은 원의 통치체제에서 파생한 부정적 요소로 인해 말기적 혼란상황이라 인식했다. 홍무제는 안정적인 통치체제를 확립하기 위해 명 건국직후 친왕책봉 및 각종 국가의례를 정립하고, 건국세력을 공신책봉 및 봉책하여 지배층의 안정화를 추구했다. 명 건국초기 봉전제도의 정비는 대내적인 통치질서 확립 및 황제중심의 일원적인 통치질서를 성립시키기 위한 일련의 제도정비 및 정치활동의 일환이었다. 점진적으로 통치체제의 안정을 위해 정비한 봉전제도는 대외적으로 명 중심 국제질서의 확립에 활용되었다. 고려, 안남 등 주변국에 대한 책봉과 조공을 강제하여 조공제도를 함께 정립했다.
    홍무 20년을 넘어서면서 명 체제안정을 추구하면서 봉전제도는 보다 정밀하게 정비되었으며, 친왕의 봉군을 비롯한 황실의 봉책을 통해 황제중심의 일원적인 통치체제를 추구했다. 활발한 정벌전쟁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북원세력과 연결되었던 요동을 본격적으로 경략하여 나가추세력을 복속시키고, 대외적으로 명 중심 국제질서를 안정화시키고자 했다. 제국으로서 위상을 제고하고 단순한 군사력이나 국력에 입각한 국제질서를 넘어 예제에 입각한 근본적인 황제국과 왕국의 계서적 이념을 봉전을 통해 확보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홍무제는 원대 쿠빌라이가 창건한 분봉제도를 모방하여 친왕분봉을 시행하고, 봉전의 세부적인 각종 의식을 제정하여 엄격하게 준행하도록 강제했다. 봉전제도는 명대 勳爵의 정립, 王府의 官制, 대상자에 대한 封冊 뿐만 아니라 追封 등에 의해 구성되며, 제도에 따른 봉록제도까지 세밀하게 정리되었다. 홍무제는 봉전제도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祖訓錄』, 『諸司職掌』, 『皇明祖訓』 등을 편찬하였다. 봉전제도는 홍무연간에 국내의 의미로서 宗藩제도로 정비되었지만, 이는 명 중심 국제질서에서 확장되어 대외적인 의미로의 宗藩體制로 인식되었다. 홍무제에 의해 정립된 봉전제도는 이후 명대에 지속적으로 유지, 발전되었으며, 가정연간에 「宗藩條例」로 법제화되었다.
    고려말 여명관계를 맺으면서 고려는 명으로부터 봉전을 받았다. 여말선초 조·명관계에서 홍무제의 『황명조훈』에 기재된 정벌하지 않아야 하는 나라로 확인되듯이 군사력에 의한 명 중심 국제질서가 아닌 예제에 입각한 봉전으로 성격이 규정되었다. 의례에 바탕한 봉전은 철저하게 외교적 압박수단으로 활용되어 조·명관계에서 다양한 사건을 발생시켰다. 조선의 역성혁명에 따른 정통성 확보를 위해 봉전요구에 대해 홍무제는 봉전을 거부하고, 권지국사체제를 유지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종계변무, 흔단사건, 표전문사건, 말교역 등 태조대 외교사건이 발생했으며, 명의 靖難之役으로 조·명관계에서 봉전은 새로운 전기를 맞이했다. 명의 정세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태종은 종계변무를 해결하고, 건문제와 영락제로부터 봉전을 받아 건국이후 최대의 외교현안이었던 봉전사안을 마무리했다. 이후 봉전은 조선의 국왕책봉, 세자책봉 등에 관련하여 조선과 명의 지배세력간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연결되어 지속적으로 조·명관계의 최대 현안으로 전개되었다. 결론적으로 조선은 건국이후 지속적으로 명 중심 국제질서에 편입되어 대내외적 안정을 추구하며 시대상황에 따라 긴장과 우호의 조·명관계를 형성했다. 명 중심 국제질서의 편입은 봉전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의례적이며 정치적인 성격으로 조선시대 최대 대명관계의 현안은 봉전이었다.

    영어초록

    Last Yuan dynasty and early Ming dynasty, when resolved the social turmoil and pursued Ming world order, Emperor Hong-wu(洪武帝) improved the “bongjeon(封典) system” to establish a unified ruling system of the emperor center. As a result of political changes such as political corruption, legal discipline, civil disobedience, and the uprising of peasants before the founding of the Ming, Chu-YuanZhang(朱元璋) recognized the negative elements derived from Yuan’s governing system as a state of utter confusion. In order to establish a stable governance system, Emperor Hong-wu tried to stabilize the ruling class by serving the princes(親王), establishing various national rituals immediatel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Ming. In the early days of the founding of Ming, the establishment of a bongjeon(封典) system was a series of institutional arrangements and political activities to establish an internal order of government and to establish a unified governmental order centered on the emperor. The bongjeon system that he gradually improved for the stability of the governing system was utilized externally to establish the Ming world order(明 中心 國際秩序). Ming has enacted a tribute system by forcing tributes and tribute to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Koryo(高麗) and Anam(安南).
    After Hong-wu's twenty years, he pursued the stability of the Ming system, and the bongjeon system was more precisely structured and he pursued a unified ruling system centered on the emperor through the appointment of the prince. Despite the lack of military power due to active punitive war, emperor Hong-wu sought to stabilize the Ming world order by subordinating Nayaču(納哈出) forces to the Liadong(遼東), which was linked to the North Mongol(北元). Emperor Hong-wu wanted to enhance his status as an empire, and beyond the international order based on simple military or national power, to secure the discriminatory relationship between the empire and the kingdom based on the system of rites(禮制) through the bongjeon system. For this purpose, Emperor Hong-wu imitated the enfeoffment system(分封制) established by Kubilai kan(忽必烈) in the Yuan Dynasty and enforced the enfeoff of the prince, and enforced the detailed ceremonies of the bongjeon system and strictly followed them. The bongjeon system of the Ming Dynasty is compose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Lord(勳爵), the bureaucratic system(官制) of royal government(王府), as well as confer a posthumous title(追封), has been finely arranged to the official’s salary system(俸祿制) according to the system. Emperor Hong-wu compiled “Zuxunlu(祖訓錄: Instructions by the dynastic ancestor)”, “Zhusi zhizhang(諸司職掌: Responsibilities and Authorities of Various Offices)”, “Huang-Ming zuxun(皇明祖訓: Instructions by the ancestor of the August Ming)”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bongjeon system. The bongjeon system was established as a Suerian-Vassal(宗藩) institute in domestic terms during the Hong-wu period, but it was recognized as a Suerian-Vassal system(宗藩體制) in an external sense extending to Ming world order. The bongjeon system that was established by Emperor Hong-wu was maintained and developed continuously in the Ming Dynasty, and it was legislated as “ZongFan Treaty(宗藩條例)” in Emperor Jiajing(嘉靖帝) period.
    At the end of the Koryo period, Koryo had a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Ming and received bongjeon from Ming. In the late Koryo and early Joseon, as it is confirmed in the “Huang-Ming zuxun” of the emperor Hong-wu in relation to Joseon and Ming, it is confirmed as based on the system of rites(禮制) through the bongjeon system that should not be conquered. Bongjeon system based on the system of rites has been thoroughly used as a means of diplomatic pressure, resulting in various diplomatic events in the Joseon-Ming relationship. Joseon wanted to get a bongjeon from Ming to secure the legitimacy of the dynasty. On the other hand, the Ming rejected the request of Joseon and tried to secure diplomatic superiority through various diplomatic pressures. Taejong(太宗) was actively utilizing the Ming’s change of political situation to solve the bongjeon, and to finish the biggest diplomatic issue since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In conclusion, since the founding of Joseon, Joseon has been continuously incorporated into the Ming world order and pursued internal and external stability.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