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楊簡의『楊氏易傳』에 대한 고찰 (A Study on Yang Jian’s Commentary of The Yijing(易經))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3.12
27P 미리보기
楊簡의『楊氏易傳』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양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양명학 / 36호 / 5 ~ 31페이지
    · 저자명 : 이동욱

    초록

    양간(楊簡)에 대한 연구는 중요하다. 심학을 건립한 육구연은 심학의 정신을 창도하였지만, 그의 주요한 명제들은 논증적이기보다는 선언적이었다. 선언을 통해 제시된 목표는 사람들의 관심을 끌 수는 있지만, 사람들을 설득하기는 어렵다. 양간의 철학은 큰 틀에서 보면, 육구연의 선언적 명제들을 계승하면서 뒷받침하는 성격을 가진다. 양간의 이론적 작업을 통해 상산학파의 학문은 틀이 정비되고, 명대에 이르기까지 계승된다.
    양간의 저작 중 『양씨역전(楊氏易傳)』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세 가지 측면에서 그러하다. 첫째, 양간 철학의 핵심이 역학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둘째, 정주학의 도덕 형이상학이 『주역』 「계사전」에 근거하는 바가 크다는 점을 고려하면, 양간의 『주역』에 대한 주석의 방향은 정주학의 도덕 형이상학과 대비되는 심학적 입론의 성격을 가진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양간의 경전에 대한 체계적인 주석 작업은 『시경』, 『서경』, 『주역』에 대해 이루어졌는데, 이 중 『양씨역전』이 가장 체계적이면서도 이론적이기 때문이다.
    양간의 『양씨역전』은 상수역학을 강하게 배제하고, 의리역학을 계승한다. 다만 양간의 역학 주석은 왕필(王弼)과 정이(程頤)의 의리역학을 계승하면서도 그만의 독창적인 시각을 함축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양간은 「계사전」의 상당 부분을 부정한다. 게다가 『양씨역전』의 핵심 명제 중 하나인 “도심무체(道心無體)”는 마음의 보편성을 주장하고, 마음의 본질은 현상의 속성으로 규정되지 않는 무규정성이라고 보며, 시(時)와 위(位)를 중심으로 하는 『주역』 해석의 방식을 이 명제를 통해 심학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등, 심학적 사유를 깊이 함축하고 있다.
    양간의 역학은, 왕필과 정이의 역학과 차별적이라는 점에서 단순히 의리역학을 계승하는 것이 아니다. 상수역학을 거의 전면적으로 배제한다는 점에서 의리역학과 상수역학을 종합하는 것도 아니다. 양간은 의리역학을 기본적으로 계승하면서도 왕필이나 정이의 의리역학과는 차별적인 심학적 역학관을 건립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illuminate Yang Jian’s philosophy. Especially I will focus on Yang Jian’s commentary of the Yijing which, I think, is the main commentary of three kinds of commentaries Yang Jian wrote. Thinkers at the time can justify one’s thought only through the scriptures. Yang Jian’s master, Lu Jiuyuan, founded the school of Xin-xue (心學, Study of Mind), but he did not write any kind of commentary on the scriptures. So in this sense, Lu Jiuyuan’s main propositions were still declarative rather than demonstrative. Presented aim through the declaration might attracts the attention of people, but it is difficult to persuade people. So this is why we need to investigate Yang Jian’s philosophy. Yang Jian tried to support his master Lu Jiuyuan’s declarative propositions. The school of Xin-xue is finally established through the theoretical work of Yang Jian.
    Yang Jian’s Commentary of the Yijing adopt moral approach instead of numerological approach in terms of both form and content. Yang Jian removed all “the Appendixes” in his commentary of the Yijing. His comments were limited to hexagrams and lines. In addition, Yang Jian suspect that many passages of “the Great Appendix” is not written by Confucius. “The Great Appendix” was the base of Cheng-Zhu’s moral metaphysics at that time. And one of the important propositions of Yang Jian’s Commentary of the Yijing is “Moral mind which none-Substantiated” which has rich implication for the school of Xin-xue. Through these several points we may think that Yang Jian tried to establish his own unique point of view on the Yijing different from Wangbi and Chengyi, also Zhux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양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