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축제체험과 브랜드자산 간의 영향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between Festival Experience and Brand Equity)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12.02
16P 미리보기
축제체험과 브랜드자산 간의 영향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업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업경영연구 / 19권 / 1호 / 169 ~ 184페이지
    · 저자명 : 이미혜

    초록

    지역 간 경쟁우위를 도모하기 위하여 축제체험을 전략 수단으로 하여 축제의 브랜드가치를 높여야 한다. 이로서 축제체험과 브랜드자산에 대한 연구가 시기적으로 필요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들 간의 영향관계를 연구하고 연구 후 결과를 토대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축제체험과 브랜드자산 간의 영향에 대한 연구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체험과 브랜드자산에 대한 이론적 연구에서 개념적 접근을 수행하여 이론적 근간 마련과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축제체험중 인지, 감각, 행동, 관계적 체험은 브랜드인지도, 브랜드이미지, 지각된 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축제체험이 브랜드인지도, 브랜드이미지, 지각된 품질의 브랜드자산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영향요소임을 규명하였다. 셋째, 브랜드자산 구성요인 간의 영향관계에서 브랜드인지도, 브랜드이미지, 지각된 품질은 브랜드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브랜드인지도, 브랜드이미지, 지각된 품질과 브랜드충성도 간의 영향관계는 현재 참가수요에 이어 향후 잠재수요의 참가에 대한 결과인데 이들 간에는 영향을 미치므로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려면 브랜드인지도, 브랜드이미지, 지각된 품질 제고에 대한 다양한 전략이 강구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체험과 브랜드자산을 축제에 적용함으로써 두 변수간의 영향관계만을 실증연구 함에 한계를 지녔다.
    이는 축제를 대상으로 한 초기연구였으므로 앞으로 보다 깊이 있고 다양한 차원의 연구로서 다소 미흡하였으므로, 앞으로는 본 연구를 토대로 보다 발전적인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 of cause and effect between festival experience and brand equity about ‘2011 Boryeong Mud Festival.’This study analyze that which experience factors were need to improve as well as managed. For this study purpose collection, classification, purification and validification of items for construction concept for festival experience and brand equity are performed.
    Experience and brand equity are regarded as a very important concept on festival practice as well as in academic research because sport event marketers can gain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successful brands.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 and brand equity on festival has been a recent phenomenon in the festivals research area. Most available empirical research in sport events has been borrowed its methods extensively from other fields.
    The research analyzed following detailed matter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ly, it investigated the factors of festival experience and brand equity with conceptualizing. Secondly, it analyzed how the festival experience has an effect on the brand equity and among brand equity factors.
    Using a sample of 295, respondents are required to festival experience and brand equity. Spss 18.0and Amos 18.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 think, act, relate of festival experience effected significant on brand equity. secondly, the sense and feel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brand equity. thirdly, positively effected among factors of brand equity. The some of festival experience show positive effects of the brand equity, such as brand awareness, brand image, perceived quality and brand loyalty. Boryeong Mud Festival pointed out in common that continuos maintenance would be necessary for items, such as pleasantness, uniqueness. Festival experience is major determinant to on attitude of festival participation and to raise the brand equity.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take efforts to continuous managements and improvements on festival experience.
    Boryeong government should raise their brand equity of festival through Boryeong Mud Festival and should also strengthen the brand equity of festival because the brand equity were positively related to further expansion of festival experience development. And variable programs which participants would experience some special and discriminative activites of festival, were to be developed to fulfill participants’ satisfaction. This study concluded with implications for the festival experience and brand equity a brief outlook for future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업경영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