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천지인 삼재사상(三才思想)에서 인원(人元)에 관한 고찰 - 지장간(支藏干)의 구성원리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won(人元) in the Heaven‒Earth‒Human Theory of Samjae(三才思想): With a Focus on the Composition Principle of Jijangga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16.12
26P 미리보기
천지인 삼재사상(三才思想)에서 인원(人元)에 관한 고찰 - 지장간(支藏干)의 구성원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39권 / 4호 / 255 ~ 280페이지
    · 저자명 : 강성인

    초록

    동아시아 문화권의 기층사상인 삼재사상은 천·지·인으로 구성되어 하늘을 천, 땅을 지, 만물의 영장인 사람을 인으로 나타내며, 명리적 삼원론(三元論)은 천원(天元)·지원(地元)·인원(人元)으로 구성되어, 삼원 중 인원을 지장간이라 한다.
    지장간 구성원리의 이론적 배경으로 우주생성과정에서의 ‘천경지중설(天輕地重說)’을 신설하여 도입하고, ‘십이운성법설’·‘토왕사계설’·‘삼재론설’·‘천문설’로 유형화하여 기술하였는데, 특히 ‘천경지중설’은 우주생성과정에서 중탁한 기로 구성된 지기(地氣)는 전일하지 않고 여러 종류의 생물(木)·온기(火)·흙(土)·광물(金)·물(水)을 소장하는데, 이러한 이치를 지장간의 생성원리로 채택하였다.
    일부 문헌에서 지장간의 구성원리로 설명한 亥支에 戊土가 배정되지 못하는 것은 ‘화토동궁설’에 의해 절지가 되기 때문이며, 申支에 戊土가 배정되는 것은 ‘수토동궁설’에 따라 생지에 해당되기 때문이라는 논리를 견강부회로 보고, 申과 亥의 지장간에 戊土를 배정하는 것은 토의 중재 역할이 필요하기 때문이라 하였다.
    사맹지에서 戊土는 전월의 여기로 사용되고, 중기는 다음 계절에 해당하는 오행의 양간으로 구성되어 그 양간의 장생지가 되며, 정기는 본 계절에 해당하는 오행의 양간이 된다. 사중지의 卯·酉·子는 본기의 음간으로 구성되고, 午는 ‘화토동궁설’을 적용하여 丁·己를 소장한다. 사고지는 전 계절에 해당하는 오행의 고지(庫地)가 되어, 전 계절에 해당하는 오행 음간과 해당 계절에 해당하는 오행 음간, 그리고 사계토의 본기를 소장한다.
    지장간에 배속된 오행 중 土가 가장 많은 것은 중재를 위한 것이고, 지장간을 지지육합으로 계산하면 火가 가장 많은데, 이는 지장간에 배정된 火가 가장 적은 것에 대한 보완작용이라 생각한다.

    영어초록

    The theory of Samjae, the foundational idea of East Asian culture, consists of heaven, earth and human and expresses heaven as Cheon, earth as Ji, and human, the lord of creation, as In. The theory of Myeogrihak Samwon(三元論) is composed of Cheonwon(天元), Jiwon(地元) and Inwon(人元), and Inwon among Samwon is called Jijanggan.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omposition principle of Jijanggan, ‘the theory of Cheongyeongjijung(天輕地重說)’ in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universe was introduced, and described in the categories of ‘the theory of Sipeeunseongbeop’, ‘the theory of Towangsagye’, ‘the theory of Samjae’ and ‘the theory of Cheonmun.’ In particular, in ‘the theory of Cheongyeongjijung’, Jigi(地氣) consisting of heavy and thick Gi in the process of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is not uniform, but includes different kinds of creatures[木], warmth[火], soil[土], minerals[金] and water[水], and this principle was adopted as the formation principle of Jijanggan. The reason why Muto(戊土) cannot be allocated to Haeji(亥支) which was explained as the composition principle in some documents is that it becomes Jeolji(絶地) according to ‘the theory of Hwatodonggung’, the logic that Muto is allocated to Sinji(申支) because it corresponds to ‘the theory of Sutodonggung’ was considered as a farfetched view, and the reason for the allotment of Muto to the Jijanggan of Sin(申) and Hae(亥) was seen to lie in the necessity for the mediating role of To. In Samaengji(四孟地), Muto is used as the Yeogi(餘氣) of the previous month, Junggi(中氣) is made up of Yanggan(陽干) of the Five Elements applied to the next season and becomes Jangsaengji(長生地) of the Yanggan, and Bongi[Jeonggi(正氣)] becomes Yanggan of the Five Elements coming under the present season. Myo(卯), Yu(酉) and Ja(子) of Sajungji(四仲地) is composed of Eumgan of Bongi, and Oh(午) applies the theory of Hwatodonggung and posesses Jeong(丁) and Gi(己). Sagoji(四庫地) becomes Goji(庫地) of the Five Elements of all the seasons, and possesses Eumgan of the Five Elements corresponding to the whole seasons, that of the relevant season and Bongi of Sagyeto(四季土). It is for arbitration that soil(土) exists most among the Five Elements assigned to Jijanggan. When Jijanggan is calculated as Jijiyukhap(地支六合), fire(火) exists most, and it seems like supplementation to the fact that fire(火) assigned to Jijanggan is lea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