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草書와 古文의 ‘簡’성 연구 (The study of briefness contained in East-Asia calligraphy‘(Cao-shu) and Chinese classic literatur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10.09
24P 미리보기
草書와 古文의 ‘簡’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예학연구 / 17호 / 89 ~ 112페이지
    · 저자명 : 문혜정

    초록

    본고는 21세기 정보화시대의 화두인 ‘속도’의 최대화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되었다. 필자는 표의문자인 한자의 압축성은 그러한 속도 최대화의 한 대안이라 여겼고, 한자 문화의 양대 정수라고 할 수 있는 서예예술과 중국문학이 본래부터 내재하고 있었던 ‘簡’성을 살펴보는 작업은 현시대 고민의 한 해결책이라고 판단하였다. 특히 서예예술 중에서도 초서는 ‘簡’성을 지닌 대표적 예술이라 할 수 있으며, 중국문학에서 고문 역시 ‘簡’성을 띠고 있는 대표적 문학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문에서는 먼저 ‘簡’의 의미를 고찰해보고, 다음으로 초서의 ‘簡’성과 古文의 ‘簡’성을 살펴보았다.
    ‘簡’은 원래 간격을 두고 늘어놓은 대나무 牌木-죽간이나 목간을 가리키는 글자였다. 이러한 의미에서 ‘문서’, ‘편지’의 의미가 나왔고, 그에 쓰여진 내용이 간단하고 대략적이어서 ‘간략하다, 간결하다, 간소하다’의 의미도 파생되었다. 그러나 훗날 문학이나 예술, 역사,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 ‘簡’의 의미는 단순한 간단함이 아니라, ‘두루 수용한 후의 정제된 간결함’이라는 의미로 쓰인다. 그것은 반복과 축적의 정화로, 정제 ․ 도약 ․ 질적 성숙을 걸쳐 형성된 ‘結晶’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중국문예비평문에서는 ‘簡要’, ‘簡貴’와 같은 단어가 자주 보인다.
    그러한 ‘簡要’, ‘簡貴’와 가장 잘 어울리는 분야는 아마도 중국 서예예술 중의 ‘초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草’자는 원래 아주 거칠고 단정하지 못하다는 의미에서 출발하였는데, 이러한 ‘草’자의 의미가 함축되어 있는 ‘초서’는, ‘간략’과 ‘생략’을 핵심으로 한다. 본래 편하고 빠르게 일을 처리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초서는, 보기에는 쉽고 간단한 글씨인 것 같지만, 기능적 ․ 정신적 ․ 사상적 측면을 두루 갖춘 후에, 외부로는 ‘簡’으로 표출된, 중국 예술에서 ‘簡’성을 지닌 최고의 경지라 할 수 있다.
    중국문학에서는 古文에 ‘簡’성이 잘 드러나 있다. 고문의 이러한 경향은 ‘한자’라는 중국 문자의 특성과도 관련되어 있다. 중국문학에서 절구나 小令이 중시되는 것은 간결한 형식 안에 다 말하지 않으면서 오히려 더 큰 것을 전해내는 특징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 ‘簡’이 단순한 ‘簡’이 아니라 ‘要’를 내재한 ‘簡’이라 할 수 있다.
    현대 학문과 예술이 범하고 있는 가장 큰 문제점이라면 ‘기본’이 전제되지 않는 ‘능숙함’이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초서와 고문에 담겨있는 이러한 ‘簡’성을 살펴보는 것은 구체적 ‘속도 해결’의 한 단초가 될 뿐 아니라, ‘기본’의 중요성을 되새기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started from the interest about maximization of velocity which is main point of the age of information in 21 century. I consider briefness of Chinese letter to be the alternative of such a velocity maximization. I think that East-Asia calligraphy(especially Cao-shu) and Chinese literature(especially classic literature) is the solution of maximization of velocity.
    In the main part of this thesis, first, I study the meaning of 'briefness', second, briefness of Cao-shu(草書) and briefness of classic literature.
    Chinese letter ‘Jian(簡)’ is the letter indicating bamboo plate originally. Corresponding message is derived from above mentioned meaning. Because the contents of the letter is very brief and short, being brief and being short is derived from it. But In the latter age, the meaning of ‘Jian(簡)’ that is applied to literature, history, art and so on is not briefness but refined briefness including various factors.
    Such a refined briefness probably get along with East-Asia calligraphy ‘Cao-shu’. The letter 'cao(草)' is originated from the meaning of harshness and untidiness, ‘Cao-shu’ including such meaning concentrates on briefness and omission. Originally ‘Cao-shu’ made for doing things conveniently and fast is seemingly simple and easy but is called the supreme field of briefness if expressed after it is equipped with functional, mental, philosophical factors.
    In the Chinese literature, classic literature express briefness well. This tendency is concerned with the character of Chinese letter. Jue-go(絶句) or Xiao-ling(小令) which is composed of short sentences transfers the bigger things on the contrary. But such a briefness is not simple shortness, but shortness including essence.
    I think that one of the problems of modern sciences and arts is the sophistication without basis. Studying such briefness contained in ‘Cao-shu’ and classic literature is not only starting point for solution of velocity problem but also turning point that we realize the importance of ba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예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