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Current Research of East Asian Art History in Germany: Transmedia and Transcultural Discours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17.06
22P 미리보기
Current Research of East Asian Art History in Germany: Transmedia and Transcultural Discourses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미술사학 / 21호 / 221 ~ 242페이지
    · 저자명 : Jeong-hee Lee-Kalisch

    초록

    The current research projects we have in the German language areas, presenting trends predominantly within the field of East Asian Art History, are concerned with transculturality and transmediality, with a transregional focus on the whole of Asia as well as on Africa and Europe. The application of the term “Transculture” has also produced many fashionable studies in Europe, such as »Global Art History«, »World Art History«, and »Horizontal Art History« and so on. As a result, most of these already mentioned institutions now offer curricula of art histories in global and transcultural contexts.
    Referring to my own three research topics as an example, I will try to define in which way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es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transculturality and transmediality, and how we apply these in practical analysis: - Case study one: Transculturality in terms of transmedia practices from painting to photography in the age of modernity - Case study two: Transcultural processes of translation, appropriation and new interpretation as well as visual misunderstandings as an example of Buddhist art - Case study three: At the limits of transcultural theoretical applications, we utilize of “the eye of parallel seeing”.
    The aim of this talk is the defining the terms and its practice in more compact way: I could say, that the term transculturality can be understood as a phenomena or concept of meta and basic theory of cultural history, or art history in global context. Under the terms transmediality and translation I understand the approaching methods, which are used to explain the development processes and traces of transcultural phenomena. By using these methods we should find out who translates (actors of transculturalizing) and what (objects of transculture), where (transregional analysis), when (in global-historical context) in which way or how (transcultural practice) and why (anthropological analysis in transcultural, global context). The “parallel seeing” is also one of the comparative approaching methods for anthropological cultural studies on almost visual aesthetical lev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