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곡 처능(處能)의 「간폐석교소(諫廢釋敎疏)」와왕실 불교사원의 철폐 (Demolition of Royal Buddhist Temples and Ganpuseokgyoso(諫廢釋敎疏)』 Written by Baekgok Cheo-neung(白谷處能))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23.10
27P 미리보기
백곡 처능(處能)의 「간폐석교소(諫廢釋敎疏)」와왕실 불교사원의 철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59호 / 91 ~ 117페이지
    · 저자명 : 이기운

    초록

    조선시대 억불시책에 대해서 불교계는 다양한 대응을 하였다. 그중에서도 조선 중기 백곡 처능(白谷處能)의 이른바 “「간폐석교소(諫廢釋敎疏)」는 그동안 진행되어온 조선시대 정치, 사회에서의 불교억압에 대해서 그 부당성을 지적하고, 시정을 요구한 소문(疏文)이다.
    이 연구는 이 소문의 진의를 파악하기 위하여 소를 쓰게 된 간접적인 원인과 직접적인 원인으로 분석하여 그 상관성을 조명한 것이다.
    이 소문의 간접적인 원인으로는 조선 중기까지 전개된 정치 사회에서의 억불숭유의 경향을 들 수 있다. 태종과 세종대의 교단 통폐합, 연산군 때의 승과의 폐지는 정책적인 불교철폐를 단행한 것이다. 또 사회적으로도 본격적인 척불시책이 시작된 태종 때에는 사대부의 주자가례(朱子家禮)와 가묘제(家廟制)가 시행된 이후, 왕의 4년 12월에 부녀들이 사찰에 가서 불사(佛事)하는 것을 금하는 한편, 13년에는 양가 처녀로 비구니가 된 자를 모두 환속시키는 등의 조치가 취해졌다. 또한 조선 중기 사림의 세력이 확장하여 더욱 가혹한 척불시책을 촉발하여 조선사회에서 신불 행위도 점점 위축당하게 되었다.
    이러한 정치 사회적 배경에서 현종때에 승니사태, 왕실불당의 철폐, 왕실위패의 혁파를 단행하자, 이에 대해여 백곡은 여섯 가지로 그 잘못과 지정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이 소문을 짓게 된 가장 중요한 직접적인 원인으로는 소문(疏文)의 서론과 결론에서 밝히고 있듯이, 척불시책 속에서도 유지되어왔던 도성의 안팎의 불당(佛堂) 폐불사건이었다. 그동안 도성불교의 중심으로 왕실 뿐만 아니라, 도성인 한양에 영향을 끼친 왕실불당을 인조와 현종대에 걸쳐 철폐하고 승려를 환속시켰다. 백곡은 소문에서 이들 성내·외의 불당을 내원당 외원당으로 나누고, 원당의 혁파, 자수원(慈壽院) 인수원(仁壽院)의 철폐, 이곳에 모셔진 위판의 철폐에 대해서 강력히 그 부당성을 지적하고 철회할 것을 주장하였다.

    영어초록

    The Buddhist community responded to the Joseon Dynasty's measures to suppress Buddhism in various ways. Among them, the so-called “Ganpuseokgyoso” in Baekgok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was a rumor that pointed out the injustice of the suppression of Buddhism in politics and society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demanded a correction.
    This study analyzes the indirect and direct causes of the use of cows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ue meaning of this rumor.
    The indirect cause of this rumor is the trend of suppression in political society that developed until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In Taejong and Sejong Dynasties, the consolidation of denominations and the abolition of the Sangha during the Yonsangun Dynasty were policy measures to eliminate Buddhism. In Taejong Dynasty, when social measures to suppress Buddhism began in earnest, the Jujaga Rite of the Four Great Houses and the Family Grave System were implemented, and in December of the fourth year of the king's reign, measures were taken such as prohibiting women from going to temples to perform Buddhist rituals, and in 13, reinstating all those who had become bhikkhus as yangga virgins. In addition, the expansion of the power of Sarim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triggered harsher measures against pretend Buddhism, and the practice of Shinto Buddhism was increasingly discouraged in Joseon society.
    Against this political and social backdrop, the Seungni crisis, the abolition of the royal Buddhist temple, and the revolutionization of the royal dynasty were carried out during the reign of King Hyeonjong, and the Yeo Baekgok asks for the fault and designation in six paragraphs.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direct cause of the rumor was the closing of the Buddhist temples in and around the city, which had been maintained even under the pretense of Buddhism, as revealed in the introduction and conclusion of the rumor. The royal temples, which had been the center of the city's Buddhism and influenced not only the royal family but also Hanyang, the capital city, were removed and the monks reassigned throughout the artificial and current generations. Baekgok strongly pointed out the unreasonableness of the division of these temples inside and outside the city into Inner and Outer Wondang, the revolution of Wondang, the abolition of Jasuwon Insuwon, and the abolition of the statues enshrined there, and insisted that they be rescin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