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宗簿寺 郎廳의 실태 및 운영체계 — 장서각 소장 『宗簿寺郎廳先生案』을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 System of the Staff Officials at Jongbusi (Court of the Royal Clan) in the Late Joseon Period - Based on Jongbusi nangcheong seonsaengan (Register of Staff Officials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17.12
32P 미리보기
조선 후기 宗簿寺 郎廳의 실태 및 운영체계 — 장서각 소장 『宗簿寺郎廳先生案』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69호 / 83 ~ 114페이지
    · 저자명 : 김동근

    초록

    이 글은 18세기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종부시의 관원, 그 중에서도 실무를 담당했던 정 이하의 관원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종부시는 왕실 보첩을 편찬하고 친진 범위 내의 종친들을 규찰하던 정3품 당하 관서이다. 조선 후기 종부시의 낭청으로는 정3품 당하관 정, 종6품 주부, 종7품 직장이 있었다. 이러한 체제는 조선 시대 내내 유지되다가 1864년(고종 1) 종친부에 합속 되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된 유일본인 『종부시낭청선생안』은 1794년(정조 18)부터 종친부에 합속 될 때까지 낭청에 대한 명단이 기록되어 있다. 이들의 관직, 성명, 자, 생년, 본관, 전직, 이직 등의 기록들이 남아 있어 조선 후기 종부시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들의 출신 성분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문과 출신자들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직장의 경우에는 상당수가 소과 출신자들이었는데, 관직을 제수 받을 때에는 문음의 자격으로 임명되었다. 이들의 전직을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해당 관직과 유사하거나 그보다 낮은 품계에서 차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주부의 전직 관서로는 청요직 관서에서의 차출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각종 행정아문에서의 차출도 많았다. 직장의 경우 1품아문인 의금부의 도사가 가장 많이 차출되었는데, 이러한 낮은 관서로의 차출은 관직 고하를 떠나 실직을 제수한 것으로 보인다.
    종부시 관원의 이직을 살펴보면, 종부시 정은 낮은 직급으로의 이직을 많이 하였는데, 정3품 당상관의 자리가 제한되어 있었기 때문으로 보이며, 주로 청요직 관서로 이직한 것으로 보아 정3품 당하관의 청요직 관로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외에 외관으로의 이직도 많았는데 인사 적체 현상을 해소하는 방편으로 이해된다. 주부와 직장은 대체적으로 승진을 하거나 유사한 관품의 직급으로 이직을 하였다. 특히 종7품인 직장은 절대 다수가 승육을 하였다.
    종부시 관원을 가장 많이 역임한 가문은 전주 이씨로 전체의 10% 정도를 차지한다. 종부시 관원을 역임한 성관은 조선 후기 문과 급제자의 출신 성관과 대부분 겹치는데, 문과 급제자를 많이 배출한 성관에서 종부시 관원을 많이 배출해 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위 20개 가문의 역임 횟수가 전체 50% 정도에 이르는데 특정 가문의 관직 독점 현상도 확인할 수 있었다.
    『종부시낭청선생안』의 기록에 나와 있는 승진, 승육, 가자 등의 사유를 살펴보면 90% 가까이 선원보략 수정 후의 일로 나와 있다. 종부시의 두 가지 직능 가운데 종친 규찰 업무가 조선 후기에 상실된 것으로 보이는데, 연대기 자료에서도 조선 후기 종친 규찰 업무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이는 17세기 인조 대부터 종친의 수가 급감하는 현상과 관련이 있다. 종친의 수가 왕실 의례를 거행하는데 미치지 못할 만큼 줄어들게 되자, 종부시에서의 종친 규찰 업무는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고, 왕실보첩 편찬 업무만이 남게 된 것이다. 이렇듯 종친의 위상이 격하되자, 흥선대원군은 종친의 위상 강화 및 왕실 권위를 높이려는 의도로 종친부와 종부시를 통합하게 되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standings of working-level officials belonging to Jongbusi (Court of the Royal Clan) holding the rank of “jeong” and below between the 18th and mid-19th Century. Jongbusi, which was headed by a Grade-3 official, was in charge of the compilation of royal genealogy and supervision of royal relatives.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its officials were composed of its chief, jeong, jubu (Grade-6 official), and jikjang (Grade-7 official). By 1864, it was incorporated into Jongchinbu (Office of the Royal Relatives).
    Jongbusi nangcheong seonsaengan (Register of Staff Officials at the Court of the Royal Clan), which is preserved at the Jangseogak Archives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lists the officials who served at the office between 1794 and its incorporation into Jongchinbu in 1864. The register also includes the officials’ ranks, names, DOBs, family clans, their ranks in the offices they were transferred from, their ranks in the office they were transferred to, etc. Those interested view it as a precious relic that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on the officialdom of the dynasty.
    A majority of the officials who served at Jongbusi were those who passed the higher civil service examination. Many of them at the level of jikjang were those who passed the licentiate examination. Their designation as an official was part of the “muneum” system, which granted official posts to descendants of those who accomplished a distinguished service for the country or served as a high-ranking official. They were those transferred from equal or lower positions in another office. Many of jubu-level officials of Jongbusi were those transferred from honorable and important posts of other offices or local administrative offices. Many of jikjang-level officials of Jongbusi were those who previously served as dosa (assistant officials) at Uigeumbu (Bureau of Crime Investigation) headed by a Grade-1 official. The officials’ transfer to an office with a lower position like Jongbusi appears to have been for the provision of placing them in working-level positions rather than letting them remain in positions only carrying an honorary title.
    As for the transfer of officials of Jongbusi to other offices, many of those with the rank of jeong were transferred to lower positions. Supposedly it was because not many Grade-3 positions were vacant. Many of them were transferred to honorable and important posts. Some of them were also transferred to positions at local government offices, supposedly to avoid an excess of personnel at the central government. Those at the level of jubu or jikjang of Jongbusi were transferred to equal or higher posts in other offices. Particularly, most of those holding the position of jikjang (Grade-7) were transferred to higher posts.
    The family clan that produced the largest number (10%) of Jongbusi officials was the Jeonju Yi Clan, which produced the largest number of those who passed the higher civil service examina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top 20 family clans produced about half of the entirety of Jongbusi officials.
    According to the aforesaid Jongbusi nangcheong seonsaengan, about 90% of the cases of promotion of Jongbusi officials occurred after the revision of Seonwon boryak (Royal Genealogy of the Joseon Dynasty). It is speculated that the supervision of royal family members, one of the two leading functions assigned to Jongbusi, was suspended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relevant function does not appear even in chronicles pertaining to the Joseon Dynasty. The reason being had something to do with the sharp decrease in the number of royal family members during the reign of King Injo (r. 1623-1649). Their number was decreased to the extent that royal ceremonies could not be adequately carried out. Naturally, the meaning of supervising royal family members faded. Witnessing such a sorry state of the royal family, Heungseon Daewongun, King Gojong’s father who served as the regent, incorporated Jongbusi into Jongchinbu in an effort to enhance the status and authority of the royal fami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