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지각 심리원리와 디자인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디자인 요소별 착시의 유형 및 적용 목적 분석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Principles of Visual Perception and Design: Analysis of Types and Purposes of Optical Illusions regarding Design Elements)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19.10
16P 미리보기
시지각 심리원리와 디자인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디자인 요소별 착시의 유형 및 적용 목적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4권 / 6호 / 73 ~ 88페이지
    · 저자명 : 이정민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인간중심의 디자인 패러다임은 디자인의 궁극적인 대상인 인간에 초점을 두어 사용자의 개성과 선택을 존중하고 인간적인 특성들을 디자인에 반영하는 경향을 일컫는다. 이 패러다임은 현대의 경제체제가 서비스 중심 경제로 전환되기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는데 서비스 중심 경제에서는 소비자에게 고품격의 체험을 제공해 심리적 부가가치를 높이는 것이 기업 이익창출의 핵심요소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디자인에서도 사용자의 감성적, 심리적 특성을 반영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다양한 인간중심 디자인의 접근법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본고는 인간중심 디자인과 관련하여 인간의 시지각 심리 특성과 디자인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하였는데 특히 "지각적 착시(Optical Illusion)"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디자이너들이 착시 현상을 디자인에 적극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고는 문헌조사와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또한 다수의 디자인 사례들을 본고 연구결과에 대한 실증 자료로 제시하였다. 사례분석은 정성분석으로 실시하지만 객관성의 필요 수준을 확보하기 위해 분석틀을 만들고 이에 의거해 실시하였다. 착시의 유형을 분석할 때 디자인에서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디자인 요소" 별로 연관 착시 현상들을 분류하였는데 디자인 요소들 중에서 선행논문에서 연구한 색채 착시는 본고의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결과) 디자인에서 적용되고 있는 착시의 유형으로는 "선"과 관련된 착시 6가지(긴 길이 직선의 휘어짐 착시, 헤링 착시, 수평-수직 착시, 뮐러-라이어 착시, 죌너 착시, 프레이저 나선 착시), "형"과 관련된 착시 5가지(에빙하우스 착시, 폰조 착시, 달 착시, 카페 벽 착시, 포겐도르프 착시), "질감"과 관련된 착시 2가지(시각적 질감, 프롱프 뢰이유), "공간감"과 관련된 착시 1가지(원근법에 의한 착시), "동세감"과 관련된 착시 3가지(시각적 진동의 착시, 가현운동 착시, 유도운동 착시)가 분석되었다. 디자인에서 착시를 적용하는 목적으로는 시지각 오류의 보정, 지각적 강화에 의한 기능성 향상, 인지적 강화에 의한 커뮤니케이션 향상, 시각적 재미 제공의 4가지를 제시했다. (결론) 착시는 과거에는 "왜곡된" 시각 현상이라는 인식 때문에 이를 없애는 소극적인 방식으로 디자인에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디자이너들이 더 다양한 착시의 존재와 이들의 활용 가치를 인식하면서 착시를 디자인의 핵심 요소로 이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처럼 디자이너들이 착시에 대한 다양한 지식을 충분히 갖춘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디자인의 표현 방법을 확장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A human-centered design paradigm refers to the tendency to focus on human beings, the ultimate object of design; to respect the user's personality and choices; and to reflect human characteristics in design. This paradigm has been developed in earnest as the modern economic system has been transformed into a service-oriented economy, because providing high-quality user experiences, which enhance psychological added value for customers, is a key element for creating corporate profit in a service economy. Therefore, the interest in reflecting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users in design continues to increase, and various human-centered design approaches have emerged.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principles of visual perception and design, with a focus on “optical illusion.” The study aimed to provide systematic information regarding optical illusions, which designers can easily apply to designs. (Method) This paper employed a literature review as the main research method. In addition, various design cases were presented as empirical data for the results. Case analyses were conducted qualitatively, but to secure the required level of objectivity, an analysis framework was created, and case analyses were conducted accordingly. Optical illusion types were classified by “design elements” to improve their utilization in design. However, among the design elements, the color illusion, presented in a previous paper by the author, was excluded from this study. (Results) The types of optical illusion related to each design element are as follows: six types related to “line” (illusion of a curve with straight lines, Hering illusion, Horizontal-Vertical illusion, Müller-Lyer illusion, Zöllner illusion, Fraser Spiral illusion); five types related to “shape” (Ebbinghaus illusion, Ponzo illusion, Moon illusion, café wall iIlusion, Poggendorff illusion); two types related to “texture” (visual texture, Trompe-l’oeil); one type related to “space” (spatial illusion with linear perspective); and three types related to “movement” (optical vibration, phi phenomenon, induced motion illusion). The purposes of applying optical illusions in design were also analyzed, and four purposes were presented: correction of visual errors; functional improvement by perceptual reinforcement;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by cognitive reinforcement; and visual fun. (Conclusions) In the past, optical illusions have been applied to design in a passive way, and designers usually tried to eliminate them because they considered them to be false perceptions. However, an increasing number of designers are using optical illusion as a key element in their designs, as they have recognized the existence of more diverse illusions and their value as useful design components. If designers have sufficient knowledge of optical illusions, they will be able to actively use them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design expre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