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태석 희곡에 나타난 표현주의적 양상 - <운상각>과 <앞산아 당겨라 오금아 밀어라>의 경우 (The Expressionism in Oh Tae-seok’s Plays - In Case of and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18.08
30P 미리보기
오태석 희곡에 나타난 표현주의적 양상 - &lt;운상각&gt;과 &lt;앞산아 당겨라 오금아 밀어라&gt;의 경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55호 / 455 ~ 484페이지
    · 저자명 : 이유영, 홍재범

    초록

    본고는 오태석의 <운상각>과 <앞산아 당겨라 오금아 밀어라>에서 보이는 표현주의적 양상에 대해 살펴본다. 표현주의 형식은 기존의 사실주의 형식을 거부하고 개인의 주관적인 관점을 통해 주인공의 상황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 표현주의는 주관적인 극문학이라고 불릴 만큼 개인의 내면에 충실하고자 했다. 이때 주인공은 사회에서 소외된 개인이며, 극은 주인공의 관점을 토대로 전개된다.
    한국은 광복 후, 좌우 이데올로기의 대립과 한국전쟁으로 인해 개인이 소외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내재하고 있다. 오태석은 이러한 상황을 연극으로 구현하며 사회의 흐름에서 소외당하는 개인을 주인공으로 내세운다. <운상각>과 <앞산아 당겨라 오금아 밀어라>에서 이러한 경향을 찾을 수 있다. <운상각>은 한국전쟁 이후 전쟁세대의 소외를 보여주며, <앞산아 당겨라 오금아 밀어라>는 광복 후 좌우 이데올로기의 대립으로 사회에서 소외될 수밖에 없는 인물을 통해 극을 전개한다. 즉 <운상각>은 전쟁의 상흔을 여전히 간직하고 있는 해남댁과 전쟁의 기억을 망각하는 전후세대로 인해 소외당할 수밖에 없는 개인을 극의 중심에 둔다. 뿐만 아니라 <앞산아 당겨라 오금아 밀어라>는 광복 후 좌우 이데올로기의 대립으로 인해 발생했던 제주 4·3 사건을 배경으로 한다. 이때 오태석은 탈이데올로기적 인물인 성춘배를 좌우 이데올로기 폭력의 희생자로 그려낸다. 그는 성춘배를 이데올로기의 폭력에 의해 억압받고 소외당할 수밖에 없는 한 개인으로 나타내며, 그가 겪는 일련의 사건을 무대로 구현하여 이데올로기의 폭력적 상황을 부각한다.
    이처럼 오태석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한국전쟁과 이데올로기의 폭력성을 관객/독자에게 전달한다. 그는 이러한 상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한 개인을 중심에 둔 자아중심극 형식으로 <운상각>과 <앞산아 당겨라 오금아 밀어라>를 무대화한다. 이를 통해 관객/독자는 상황을 인지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비판적으로 그 상황을 받아들일 수 있다. 따라서 오태석은 지속되는 비극적인 역사를 현재의 관객/독자들과 소통하고자 표현주의적 양상을 통해 재현한다. 이에 본고는 주인공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두 희곡텍스트가 내재하고 있는 표현주의적 양상에 대해 살펴본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xpressive aspects shown in <Unsanggak> <Push Ahp-san! Pull Oh-gum!> The expressionism shows the situation of the protagonist through the subjective viewpoint of the individual, rejecting the realistic form. In other words, Expressionism tries to capture the inner side of the individual faithful to the point where it is called ‘subjective dramatism’. The protagonist is almost always an individual alienated from the outside world and the play proceeds from the viewpoint of the protagonist.
    Oh Tae-seok tends to implement such situations into his plays, using a character who is alienated from the flow of society as his protagonist. This tendency is prominent in <Unsanggak> and <Push Ahp-san! Pull Oh-gum!>. <Unsanggak> shows the alienation of the wartime generation after the Korean War, and the protagonist of <Push Ahp-san! Pull Oh-gum!> is a character who inevitably becomes alienated from society due to the ideological conflict that takes place after the independence. The character at the heart of <Unsanggak> is Haenamdak, who still haunted by her wounds of the war, and individuals who are forced to become isolated by the postwar generation who is forgetting the memories of war. Also, <Push Ahp-san! Pull Oh-gum!> is based on the tragic Jeju 4.3 incident that occurred as a result of the conflict of the ideologies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In here, Oh Tae-seok depicts the de-ideological Seong Chun-bae as a victim of the ideological violence. He is an individual suppressed and alienated by the violence caused by ideology, and the series of events that happens to him is shown on the stage, highlighting the violent aspects of ideology.
    As such, Oh Tae-seok places emphasis on expressing the continuing violence of Korean War and ideology to the audience/reader. <Unsanggak> and <Push Ahp-san! Pull Oh-gum!> is staged as a form of Ich-Dramatik play to effectively convey the situation. This allows the audience/reader to become aware of the situation and, moreover, accept the situation critically. Therefore, the expressive recreation is a tool for Oh Tae-seok to communicate with current audience/readers about the continuing tragic history. In this light,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xpressive aspects inherent in two plays centered around the main charac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