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東大寺圖書館藏 新羅 花嚴經에 기입된 각필자 [白]의 추가 용례에 대한 연구 (A Study of gakpil mark [白] additionally identified in The Buddha’s Flower Garland Sutra of Great Expensive Teachings (大方廣佛花嚴經) from the volumes twelve to twenty owned by Todaiji Library)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22.12
39P 미리보기
東大寺圖書館藏 新羅 花嚴經에 기입된 각필자 [白]의 추가 용례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돈암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돈암어문학 / 42권 / 119 ~ 157페이지
    · 저자명 : 박부자

    초록

    본고는 2014년 1월 제9차부터 2020년 1월 제15차까지 東大寺圖書館 소장 『大方廣佛華嚴經』 권제12~20의 각필 조사에서 각필자 []이 추가 확인됨에 따라 그 용례를 소개하고, 각필자 []을 해독하고자 한 것이다. 제9차~제15차의 조사에서 추가로 확인된 각필자 []은 총 15회였다. 이전 조사에서는 []이 ‘言’에 기입된 예만 확인할 수 있었으나 추가 조사에서는 50행의 ‘或[]名’, 150행의 ‘問[]’, 870행의 ‘云[]何’, 963행의 ‘歡喜[]’, 964행의 ‘各奏[]’ 등 이전 조사에서 확인되지 않은 환경에 각필자 []이 기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추가 확인된 용례에서도 []은 대체로 동사어간 ‘*ᄉᆞᆲ-’을 기입한 것으로 보인다. 목적어 명사구가 존대의 대상인 경우에 실현되었음이 추가 용례를 통해서도 확인되었고, 주체가 화자나 객체보다 상위자인 존대의 대상인 경우에도 []으로 표기된 고대국어의 동사어간 ‘*ᄉᆞᆲ-’이 실현되었음을 추가 용례를 통해 재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을 해독하는 과정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도 드러났다. ‘白[]法慧菩薩言[]’을 통해 고려시대 자토석독구결의 해독과 신라 화엄경의 각필 해독 간의 간극을 해소하는 것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또 150행의 ‘問[]’에서 확인할 수 있는 []의 경우 동사어간으로 해독할지 선어말어미로 해독할지 결론을 유보하였다. 870행의 ‘云[]何’, 963행의 ‘歡喜[]’, 964행의 ‘各奏[]’은 각필자 []의 해독이 어려운 경우였는데, 이들 예에 대해서는 해독의 가능성과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gakpil mark [白] additionally found in the Buddha’s Flower Garland Sutra of Great Expensive Teachings (大方廣佛花嚴經) from the volumes twelve to twenty owned by Todaiji Library and to to interpret its grammatical function. Additional identification on the gakpil mark written in the Buddha’s Flower Garland Sutra of Great Expensive Teachings(大方廣佛花嚴經) was conducted from the 9th in January 2014 to the 15th in January 2020. Fifteen gakpil marks were additionally found in the 9th to 15th surveys. In the previous investigation, only cases where [白] was written in ‘言’ were found. However, additionally investigation confirmed that gakpil mark [白] was written in an environment that was not found in the previous investigation, ‘或[白]名’ on line 50, ‘問[白]’ on line 150, and ‘云[白]何’ on line 870, ‘歡喜[白]’ on line 963, ‘各奏[白]’ on line 964, etc. In additionally found cases, [白] is usually the verb stem ‘*sʌlp[ᄉᆞᆲ]-’. However,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白], tasks to be solved were also revealed. It was pointed out that it is necessar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interpretation of character-attached Seokdokkugyol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the interpretation of gakpil mark of Hwaeomgyeong (花嚴經) in Silla Dynasty. In addition, while withholding the conclusion on how to interpret it, only the possibility and problems of interpretation were pointed ou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돈암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