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여성 문집의 유가경전 인용 방식에 대한 여성철학적 고찰 : 이사주당의 『태교신기(胎敎新記)』와 이빙허각의 『규합총서(閨閤叢書)』를 중심으로 (Inquiry of Feminist Philosophical on Late Chosun Dynasty Women's Citation Style of Confucian Classical Canon : Focus on the Lee Sajudang(李師朱堂)’s Taekyosingi(胎敎新記) and Lee Bingheogak(李憑虛閣)’s Kyuhabcho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18.11
32P 미리보기
조선 후기 여성 문집의 유가경전 인용 방식에 대한 여성철학적 고찰 : 이사주당의 『태교신기(胎敎新記)』와 이빙허각의 『규합총서(閨閤叢書)』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여성철학 / 30권 / 93 ~ 124페이지
    · 저자명 : 김세서리아

    초록

    이 논문은 조선 후기 여성의 문집에서 유가 경전이 어떤 맥락에서 인용되고 있는지, 어떻게 독해되고 있는지, 어떤 지적 경험과 지식 활동, 지식 산출의 특징과 의미를 지니는지 등 그 활용 방식을 소개하고, 여성철학적 입장에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논문에서는 특히 18세기 이후 조선 여성실학자의 문집에서 사서를 비롯한 유가 경전이 어떤 맥락에서 어떻게 인용되었는지를 정리 함으로써, 여성실학자들이 산출한 지식의 내용과 특징 및 그 의미를 여성철학적 입장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조선후기 여성 가운데 문집을 남긴 인물, 특히 여성실학자로 명명되는 이사주당의 『태교신 기』와 이빙허각의 『규합총서』에 주목한다. 이사주당과 이빙허각의 문집에서 유가 경전을 인용하는 내용을 정리하여, 그들이 유가경전을 어떻게 맥락으로 이해하는지, 또 자신들의 논의에 어떻게 활용하는지 등을 소개하고 그것을 특징화한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조선 유학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여성지식인과 그들의 역량을 새롭게 인식하고, 유가 경전에 대한 여성들의 인식과 그 특징을 자세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유학의 내용을 여성의 관점에서 재구성하여 조선 유학의 내용을 확장시킬 수 있으며, 본 연구를 확장시켜 한국적 맥락에서의 여성주의 인식론을 논의하는 데 공헌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contemplates and introduce how and in what context Confucian scriptures have been cited in the literary collection of women in the late Chosun dynasty, how they are understood and interpreted and what characteristics and meaning they have in intellectual experience, knowledge activity, and knowledge production.
    The thesis will specifically contemplate and analyze how Confucian scriptures are cited and interpreted in the literary collection of women in the Chosun dynasty since the 18th century, and closely observes the content,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knowledge created by women in the Chosun dynasty.
    To effectively deal with such issues, this thesis focuses on Lee Sajudang’s Taekyosingi and Lee Bingheogak’s Kyuhabchongseo, who are two figures that left literary collections and are labeled as feminist practical scholar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 thesis will analyze the context in which Confucian scriptures are cited and interpreted in Lee Sajudang and Bingheogak’s literary collections, as well as how they understood the Confucian scriptures, and how they utilized them in their discussions.
    Through these discussions, we can newly recognize women scholars and their capacities, which were previously not recognized in the Chosun Confucian history, and better understand women’s perception of the Confucian scriptures and its characteristics.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content of Chosun Confucianism by reorganizing the content of Confucianism through women’s perspective, and contribute to developing a Korean feminist epistemological mod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여성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