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首力知銘 각석」을 통해 본 중고기 신라 왕경 조영사업의 운영 방식 (Operation Way Of Construction Project in the Mid-Silla Period as Seen Through the 「Suryeokzi Inscription Stone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23.12
40P 미리보기
「首力知銘 각석」을 통해 본 중고기 신라 왕경 조영사업의 운영 방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 / 45호 / 251 ~ 290페이지
    · 저자명 : 이미란

    초록

    1976년에 월지와 월성해자 사이 도로에서 발견된 「首力知銘 각석」은 각자 시점, 명문 해석에 논란이 있다. 「首力知銘 각석」은 전・후면이 연속적인 하나의 명문이 아니라, 전면의 비석이 파손된 후 이를 재활용하여 후면에 다른 내용을 각석한 비임을 확인하였다. 각석의 인명과 관등명의 분석을 통해 전면은 6세기 중후반에 각석된 것으로 왕경인의 徒가 왕경 도시시설을 축조한 공역조직에 대한 비문이었음을 밝혔다. 후면은 6세기 말에 及伐車라는 외위를 가진 지방민이 왕경 도시시설 조영사업에 참여한 내용을 각석하였다고 보았다.
    특히 비형랑・길달 설화와 「首力知銘 각석」 명문을 통해, 6세기 왕경 도시시설의 건설은 敎令으로 발의되었고 敎令의 집행을 위해 有司가 조직되었음을 밝혔다. 有司는 公服制상으로 ‘靑衣-黃衣’계열로 구성되므로 비형랑・길달도 靑衣계열의 관등을 가졌을 것이고 首力知도 비형랑・길달과 같이 왕경 도시시설 조영을 위한 공역조직의 長이었으므로 靑衣 계열이었음을 논증하였다. 아울러서 비형랑・길달과 首力知奈末의 하부 공역조직은 黃衣계열(大舍 이하)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 「남산신성비」 제3비의 하부 공역조직도 喙部監典 내에서 3등관의 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In 1976, the 「Suryeokzi inscription stones(首力知銘 刻石)」 found on the road between Wolji(月池) and Wolsung Moat(月城 垓子). It was recycled after the front epigraph was destroyed, and a different project was inscribed on the back. The front of epigraph was inscribed in the mid-to-late 6th century and was an inscription about the construction organization that built Wanggyeong(王京) urban facilities by Do(徒). The back was considered that with an external official rank of Geupbeolcha(及伐車) participated in the Wanggyeong Construction Project at the end of the 6th century.
    In Bihyungrang(鼻荊郞) and Gildal(吉達) tales, we can see the operation way of urban facility construction projects in Wanggyeong. the construction of Wanggyeong was proposed as a Kyo(敎)-Ryeong(令). The temporary organization(有司) was organized for the execution of Kyo-Ryeong. Suryeokzi, Bihyungrang and Gildal were all the heads of the organiz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Wanggyeong, so they had an dofficial rank of Namal(奈末) of Blue Clothes. And sub-construction organization in Namsansinseong- bi(南山新城碑) of 3rd epigraph is in the position of 3rd rank within the Takbu Gamjeon(喙部監典).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탐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