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선과 저금: 『매일신보』 ‘경제’ 기사의 문화사적 지형과 <연의각> 연재의 맥락 (Charity and Saving: Cultural Topology of Economic Articles which Printed in Maeil Sinbo and the Context of Yeon-ui-gak)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14.12
46P 미리보기
자선과 저금: 『매일신보』 ‘경제’ 기사의 문화사적 지형과 &lt;연의각&gt; 연재의 맥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문학연구 / 46호 / 167 ~ 212페이지
    · 저자명 : 최기숙

    초록

    이 논문에서는 『매일신보』에 연재된 <연의각>(1912.4.29.~6.22)의 두 주인공인 흥부와 놀부에 대한 독자의 관점이 근대적 매체라는 신문의 기사들 속에서 재맥락화되는 과정을 해명했다. 『매일신보』에는 <연의각 예고>가 실리는 1912년 4월 27일부터 총 37차에 걸쳐 「저금권면」 기사가 연재되었다. 이 연재는 저금을 문명(국)의 모범으로 간주하면서 ‘부자 되는 비결’을 소개했다. 구체적인 성공사례와 더불어 ‘이자놀이’, ‘슛것 저축’, ‘근검저축’의 이념을 소개했다. 이를 통해 경제의 근대를 확립하기 위한 『매일신보』의 계몽 기획을 관철시키고자 했다.
    같은 시기에, 『매일신보』는 빈민구제와 재난구휼을 중심으로 한 자선 기사를 지속적으로 게재했다. 그 과정에서 사욕을 채우는 축재 행위나 타인에게 인색한 수전노를 부정적 인물로 위치시켰다. 자선을 통해 공생을 실천하는 부자의 도리를 강조했으며, 언론의 보도를 통해 자선가의 명예를 드높이는 사회적 인정 구조를 형성했다. 연재가 계속됨에 따라 자선의 방식은 재난구제에서 세금 감면, 물건값 인하 등 현실적인 방안으로 확산되었다. 또한 자선을 부자만의 도리로 특화하지 않고 공동체 소속원의 보편적 윤리로서 규범화했다.
    이러한 경제 담론의 지형은 같은 기간에 실린 <연의각>의 인물을 재맥락화하는 배경이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바로 이러한 상황이 독자로 하여금 흥부를 가난에서 벗어나 부자가 되어야 할 인물로, 놀부를 수전노의 행색에서 벗어나 자선을 행해야 할 인물로 사유하도록 작용했다고 판단한다. 신문을 읽는 독자의 층위에서 『매일신보』의 경제 기사는 <연의각>를 읽는 독자로 하여금 ‘저금을 통해 흥부에서 벗어나기’, ‘자선을 통해 놀부에서 벗어나기’라는 새로운 독법을 경험하게 했다. 이는 고소설을 근대적으로 재맥락화라는 비평의 관점을 생성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ai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rticle, a series of economic column of ‘encouragement of saving’ and a group of article on charity. and Yeon-ui-gak, an old novel (1912.4.29.~6.22), published in Mail Sinbo, a representative modern newspaper. The column of ‘encouragement of saving’ were serialized at Maeil Sinbo since 27th of April in 1912, totally 37th. This columns introduced the way of becoming rich, which was based on the idea that saving itself was regarded as exemplary way of Western cultivated nation with the concept of saving bearing interest, saving first, thrift and saving, etc. The Mail Sinbo built the theory of economic enlightenment by enforcing the meaning of saving.
    On the other hand, Maeil Sinbo published a lot of articles about charity; poor relief and disaster relief. These articles criticized harshly the rich miser who saved money for himself and not care for the other poors and encouraged the manner of the rich; help and care the poor as a duty of modern citizen by way of poor relief, tax cut, and reduction of prices, etc. The Maeil Sinbo suggested the idea that all the modern citizen should practice the charity.
    In these topography of economic articles, the reader naturally came to re-criticized the meaning of two main characters of Yeon-ui-gak; Heung-bo, a good poor brother and Nol-bo, malicious rich elder one. The reader came to rethink on Heung-bo as a character who should be rich, and on Nol-bo who should give charity. Such articles and columns were works as background context of the novel which leaded the readers way of reading perspective on Yeon-ui-ga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