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李王職의 유래와 장서각 소장 이왕직 자료의 沿革 (History and Present State of Yiwangjik (李王職) Collection of Jangseogak Librar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14.04
24P 미리보기
李王職의 유래와 장서각 소장 이왕직 자료의 沿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31호 / 34 ~ 57페이지
    · 저자명 : 이왕무

    초록

    본 논문은 1910년 일본 제국정부가 대한제국을 병합하면서 만든 이왕직의 유래와 장서각에 소장된 이왕직 자료의 소종래를 밝히고자 하였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은 국내에서 이왕직 자료를 가장 많이 소장한 기관이다. 이왕직은 대한제국 황실이 일제에 의해 이왕가로 격하되면서 만들어졌다. 이왕직은 일제시대 존속되었던 이왕가의 인물과 재산을 관리 및 유지시키던 일본 궁내성 산하 기관이다. 또한 조선총독부의 감독을 받는 기관으로, 일제의 식민지 통치구조에서 이중적인 위치에 놓여 있던 곳이다. 이왕직이 궁내성과 총독부 사이에서 이중적인 지위였다는 점은 식민지내 그들의 지위를 말해주는 것이다. 식민지 조선에서 총독부가 최고의 지배기관이기는 했지만, 이왕가와 이왕직은 그와 버금가는 지위를 차지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왕직은 일제시대 조선왕실의 존재 양상과 기능을 연구하는데 필수적인 주제라고 하겠다. 그럼에도 학계에서 여전히 이왕직 연구는 물론 이왕직 자료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와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왕가와 이왕직이 일제시대 왜곡된 부산물로 별다른 역사적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는 분위기 때문이라고 본다. 그런데 장서각의 이왕직 자료들을 살펴보면 그런 시각에서 벗어나게 된다. 장서각은 국내에서 이왕직 원본 자료를 가장 많이 소장하고 있다. 이 자료들은 고종과 순종을 중심으로 이왕가의 생활과 이왕직의 운영에 대한 것이 대부분이다. 다만 장서각 이왕직 자료는 목록과 해제가 완비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왕직 자료의 소종래를 기준으로 분류하지 않고 주제별, 혹은 시대별로 구분하여 그 성격을 명확하게 나누지 못했다. 더욱이 국내외 산재된 이왕직 자료와의 비교가 없어서 그 전체적인 흐름과 규모를 파악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 이왕직 자료의 서지적 혹은 역사적 연구를 위한 기초를 위해서라도 전수조사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고는 이를 위한 시론적 제안을 하였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of Yiwangjik collection of the Jangseogak Library. That are high relevanc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Jangseogak Library. As we know Yiwangjik collection of the Jangseogak Library was established in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The Royal collection was officially named Yi Royal Family Library. Usually, in 1908, Emperor Gojong (高宗) decided to build a new royal library to house some 100,000 volumes of books, held at Gyujanggak (奎章閣) and other institutions, which included annals of past kings and other royal house-related records, declaring them “Imperial House Book Collection.” However, Daehan Empire (大韓帝國) was officially annexed to Japan one year later, in 1910, and this project never saw the light of day. After the forceful annexing Korea by Japan, the imperial family of Daehan Empire was demoted as being of a lesser rank than the Japanese imperial family, and the new official name for the collection was constructed to signify this demotion. In February of 1911, Yiwangjik was installed as an organization to handle the affairs related to Yi Royal-Family. This organization was descended from Gungnaebu (宮內府) of Daehan Empire, which took charge of the affairs of Emperor family. And they The material was transferred to the Imperial Empire. Of course, those data are transferred to the office of Colonial will be allowed. The most of the data was traditional of Joseon Dynasty rite and Royal family life. In 1918, a new library was built for use by Yiwangjik, inside Changdeokgung (昌德宮) Palace, and a wooden tablet carved with the name “Jangseogak (藏書閣)” was hung at the façade of this library. Since then, ‘Jangseogak’ became a proper noun designating the library of the Yi Royal family. These collection of Jangseogak, to be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Surprisingly, those valuable resources are not been studied. Maybe, until now the reason is negative perceptions of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experience. And it just like forgotten historical data. Anyhow, if anyone try to research about the Yi Royal Family or Yiwangjik, should have using Yiwangjik collection of Jangseogak Library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Of course, those data are spread out to foreign country and several Institution in Korea. Nevertheless, most of important Yiwangjik collection has be in the Jangseogak Library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where it remains to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