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後期 刊本文集의 編輯傾向 - 규장각 소장 자료를 중심으로 - (Trends in Editing of Printed Anthologies of Late Joseon Period - focusing on Materials found in Kyujanggak Collection -)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13.06
31P 미리보기
朝鮮後期 刊本文集의 編輯傾向 - 규장각 소장 자료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규장각 / 42호 / 97 ~ 127페이지
    · 저자명 : 김수진

    초록

    조선시대에 문집은 일반적으로 저자 사후에 편찬되었으므로 저자의 원고와 간본 문집 사이에는 ‘後人의 編輯’이라는 매개변수가 존재한다. 특히 저자의 遺稿는 刊費를 줄이고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후인의 선별을 거치며 簡約하게 압축되었다. 그러므로 실제의 변개를 수반한 편집의 문제를 논구하기 위해서는 간본 문집이 주로 어떤 작품을 배제하고 있는가, 누락된 작품의 대표적 특징은 무엇인가를 집중적으로 살펴보아야 한다.
    이러한 견지에서 본고는 조선 후기 간본 문집에서 누락된 작품을 대상으로 그 공통된 경향성을 탐색하였다. 규장각에 소장된 李植의 『澤堂先生集』과 『澤堂先生遺稿』, 李頤命의 『疎齋集』과 『疎齋先生集』, 申靖夏의 『恕菴集』과 『私稿』, 趙龜命의 『東谿集』과 『乾川藁』, 李胤永의 『丹陵山人遺集』과 『丹陵遺稿』, 趙文命의 『鶴巖集』과 『鶴巖稿』를 비교하고, 여기에 기존 연구의 성과를 종합해서 산삭의 다섯 가지 유형을 제시하였다. 그 첫째는 ‘신이성과 허구성의 배제’이고 둘째는 ‘도불 관계 작품의 소거’이고 셋째는 ‘개인사적 측면의 축소’이고 넷째는 ‘외설성과 유희성의 소거’이며 다섯째는 ‘정치적 기휘성과 당파성에 의한 산삭’이다. 이와 같은 유형화를 시도함으로써 조선 후기 간본 문집이 지금의 형태로 전래된 것은 ‘편집에 의해 형성된 것’이라는 점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했다.

    영어초록

    Since anthologies in the Joseon period were in general published posthumously, there exists a parameter of ‘editing by posterity’ between the original manuscript and the printed anthologies. In particular, the publication of the posthumous works underwent selection and compression to reduce the cost of publication and to achieve perfection. Therefore, in order to discuss the issue of editing that involves modification of reality, we must pay careful attention to what the printed anthologies exclude, as well as to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omitted works.
    In this regard, this article examined the common trends found in the omission made in the printed anthologies of the late Joseon period.
    Comparing Lee Sik(李植)’s Taekdangseonsaengjip(澤堂先生集) with Taekdangseonsaengyugo (澤堂先生遺稿), Lee I-myeong(李頤命)’s Sojaejip(疎齋集) with Sojaeseonsaengjip(疎齋先生集), Sin Jeong-ha(申靖夏)’s Seoamjip(恕菴集) with Sago(私稿), Cho Gui-myeong(趙龜命)’s Donggyejip(東谿集) with Gancheongo(乾川藁), Lee Yoon-young(李胤永)’s Dalleungsaninnyujip (丹陵山人遺集) with Dalleungyugo(丹陵遺稿), and Cho Mun-myeong(趙文命)’s Hagamjip(鶴巖集) with Hagamgo(鶴巖稿), and synthesizing the findings of previous research, I suggested five types of editing principles. First, ‘exclusion of peculiarity and fiction’, second, ‘elimination of works related to Taoism and Buddhism’, third, ‘reduction of aspects related to personal history’, fourth, ‘elimination of obscenity and amusements’, and ‘factionalism and avoidance of political taboo’.
    The categorization attempted here was intended to provide the empirical support to my argument that printed anthologies of the late Joseon period which have been handed down to the present day are ‘productions of the editing proc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