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山中圖書館 ‘武屹精舍 藏書閣’의 藏書 性格과 意味 (A Study on the Characters and Significance of the Books Housed in Muheuljeongsa Jangseogak, a Mountain Library)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11.12
46P 미리보기
山中圖書館 ‘武屹精舍 藏書閣’의 藏書 性格과 意味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20호 / 7 ~ 52페이지
    · 저자명 : 정우락

    초록

    본고는 산중도서관 역할을 했던 寒岡 鄭逑의 무흘정사 장서각에 보관되어 왔던 서적에 주목하면서, 이곳의 표정과 장서의 성격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무흘정사 장서각은 정구 사후에 그의 제자들과 성주의 선비사회가 중심이 되어 관리된다. 그러나 시간이 지속되면서 관리가 부실해지자 18세기 후반에 이르러 정구의 후손들에 의해 무흘정사가 중건되어 중흥을 꾀한다. 장서각에는 정구의 수택본을 비롯해서 수천 권의 책을 보관하게 되는데, 당시 이곳을 방문한 성섭은 페르시아의 보물가게에 들어온 듯 진귀한 보물로 가득했다며 당시의 상황을 전했다.
    무흘정사 장서각에 소장된 도서로는 정구가 보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책, 정구의 저술과 그의 선조들의 문집, 중국에서 수입하여 조선에서 발간한 책과 조선전기에 발간한 조선 선비의 문집이 대종을 이룬다. 서종은 성리서가 중심이 되면서도 문학서나 역사서 등으로 다양했고, 일련의 목판과 고문서도 보관되어 있었다. 이곳은 제한적이나마 강학ㆍ열람ㆍ대출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었다. 장서각이 산중에 있었으므로 독서와 수양을 통해 통찰력을 획득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무흘정사가 그 기능을 거의 상실하자 이진상이 學契를 구성하면서 재건을 꿈꾸기도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books housed in the Muheuljeongsa Jangseogak, and figure out its impress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oks. Muheuljeongsa Jangseogak was placed in the hands of the scholars community of Seongju as well as the disciples of Jeong Gu(Hangang, 1543-1620) after his death. With time passage, however, the management efforts grew poor. It was in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that the descendents of Jeong Gu remodeled and revived the library, which housed thousands of books including the Sutaekbon of Jeong Gu. Seong Seop recorded his impressions of the library, saying that it was filled with rare treasure as if he were in a treasure shop in Persia.
    The main collections of the library included the books Jeong Gu must have read, his publications, the anthologies of his ancestors, books imported from China and published in Joseon, and the anthologies of Joseon scholars published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Seojong presented a variety of literature and history books with books of Sung Confucianism at its heart in addition to a series of printing blocks and old documents. It also performed limited functions of study, reading, and lending. As Jangseogak was situated in the mountain, it was regarded as a significant venue to acquire insights through reading and cultivation. I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Muheuljeongsa lost most of its functions, when Lee Jin-sang designed a learned circle and dreamt of restoring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