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서각 소장 왕실 발기의 주제 분류와 복식 자료 고찰 (Study on Royal Ceremonies and Costumes on Wangsil-balgi in The Joseon Dynasty -based on a collection of Jangseogak-)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19.10
42P 미리보기
장서각 소장 왕실 발기의 주제 분류와 복식 자료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42호 / 104 ~ 145페이지
    · 저자명 : 이명은

    초록

    장서각에 소장된 966건의 왕실 발기[件記]는 왕실 의례에 소용되는 각종 물품의 명칭, 인명, 수량 등을 나열하여 쓴 자료이다. 장서각 소장 왕실 발기에서 복식 관련 발기의 현황을 분석하여 주제별로 의복류 286점, 패물류 56점, 옷감류 152점으로 대분류하고 주제별 복식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분류를 세분화 하여 의복류는 관례[11점], 국혼[65점: 가례44점, 길례21점], 기타 의례[17점], 절일관계[63점], 탄일[16점], 유년기[29점], 기타 자료[85점]로 분류하였다. 패물 관련 발기는 총 56점이다. 옷감 관련 발기류는 금침[14점], 주단[16점], 도침[12점], 도련[5점], 보[15점], 상격[90점]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관례 관련 발기에는 순종과 영친왕의 관례 때에 초출복 직령, 초가복 용포, 재가복 강사포, 삼가복 면복이 올려졌으며 의화군 관례에는 직령, 흑단령, 공복, 강사포 순으로 되어 있어 신분에 따른 복식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왕실 여성의 관례는 원삼을 입고 수식, 광식, 큰머리의 순으로 머리 모양의 변화로 삼가례 의식을 치렀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국혼 관련 발기에서 헌종이 동뢰연에 행차할 때 강사포와 원유관을, 동뢰연에서는 면복을 입었다. 임오가례시 왕세자 신분의 순종 의대에 면복, 강사포 등이 있고, 병오년가례시 황태자 신분의 순종 의대에도 면복과 강사포가 올려져 의식에 따른 복식의 제를 전례대로 따랐음이 확인된다. 의화군의 경우 혼례에 다홍 공복이 사용되어 왕위계승자와 구별하였다.
    넷째, 왕실 발기에만 나타나는 독특한 복식 명칭으로 동다리군복, 견마기, 잇저고리, 웃치마, 쟈근치마, 잇치마, 고도, 기, 상침 등의 복식 명칭이 확인되었다.
    다섯째, 왕실 발기의 복식 명칭은 동일한 복식에 대해 왕위 계승자 신분과 그 보다 낮은 왕실 인물들간의 용어 차이를 보여, ‘의대-의복, 동의대-동의복, 당고의-당의복⋅당저고리, 소고의-의복⋅저고리’로 표기되었다.장서각에 소장된 966건의 왕실 발기[件記]는 왕실 의례에 소용되는 각종 물품의 명칭, 인명, 수량 등을 나열하여 쓴 자료이다. 장서각 소장 왕실 발기에서 복식 관련 발기의 현황을 분석하여 주제별로 의복류 286점, 패물류 56점, 옷감류 152점으로 대분류하고 주제별 복식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분류를 세분화 하여 의복류는 관례[11점], 국혼[65점: 가례44점, 길례21점], 기타 의례[17점], 절일관계[63점], 탄일[16점], 유년기[29점], 기타 자료[85점]로 분류하였다. 패물 관련 발기는 총 56점이다. 옷감 관련 발기류는 금침[14점], 주단[16점], 도침[12점], 도련[5점], 보[15점], 상격[90점]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관례 관련 발기에는 순종과 영친왕의 관례 때에 초출복 직령, 초가복 용포, 재가복 강사포, 삼가복 면복이 올려졌으며 의화군 관례에는 직령, 흑단령, 공복, 강사포 순으로 되어 있어 신분에 따른 복식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왕실 여성의 관례는 원삼을 입고 수식, 광식, 큰머리의 순으로 머리 모양의 변화로 삼가례 의식을 치렀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국혼 관련 발기에서 헌종이 동뢰연에 행차할 때 강사포와 원유관을, 동뢰연에서는 면복을 입었다. 임오가례시 왕세자 신분의 순종 의대에 면복, 강사포 등이 있고, 병오년가례시 황태자 신분의 순종 의대에도 면복과 강사포가 올려져 의식에 따른 복식의 제를 전례대로 따랐음이 확인된다. 의화군의 경우 혼례에 다홍 공복이 사용되어 왕위계승자와 구별하였다.
    넷째, 왕실 발기에만 나타나는 독특한 복식 명칭으로 동다리군복, 견마기, 잇저고리, 웃치마, 쟈근치마, 잇치마, 고도, 기, 상침 등의 복식 명칭이 확인되었다.
    다섯째, 왕실 발기의 복식 명칭은 동일한 복식에 대해 왕위 계승자 신분과 그 보다 낮은 왕실 인물들간의 용어 차이를 보여, ‘의대-의복, 동의대-동의복, 당고의-당의복⋅당저고리, 소고의-의복⋅저고리’로 표기되었다.

    영어초록

    There are so many state-led documents in the Joseon period and thus we call it a documentary dynasty. One of them is Wangsil-balgi recording court goods and commodities lists needed for royal events. This study focuses on how the costumes were applied to a life and used at court in the period. To this purpose, I analyzed individually the overall contents of Wangsil-balgi and identified the exact periods, events and the main group of the events on the basis of 966 pieces from Wangsil-balgi of a collection of Jangseogak. I selected the costumes parts from the whole Wangsil-balgi and classified them by chronology and events and finally sel- ected total 495 pieces On official ceremony of Balgi, there were King Soonjong, King Euichin, and King Youngchin. Soonjong and Youngchin wore a dragon king gown(龍袍 as the first stage ceremony, Kangsapo as the second stage and Myunbok(冕服) as the third stage at the Three stage ceremony(三加禮) but Prince Euihwa wore black uniforms(黑團領), red uniforms (Dahonggongbok公服) and Jobok(朝服) which told the crown prince from princes. A royal harem Kyoungbin Kim(慶嬪金氏:King Heonjong' concubine) and the crown princess Soonjong wore women's dress(圓衫) together with the change of hair decorations three times as the Three stage ceremony from Soosik(首飾) to Dangsik(唐飾) and Keunmeori(큰머리).
    On royal wedding ceremony, King Heonjong wore Kangsapo and Myunbok on Jeongmi royal ceremony(gare) in 1947 and King Soonjong also wore the same clothes as King Heonjong on Immogare in 1882 and on Byungogare in 1906, both events showed us the evidences of keeping the traditional costumes rules at court ceremonies.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hrough the various regular ancient records(Kukjo-o-rae-eui etc.) the costumes standards for each ceremonial rules, regulations and procedures succeeded until the late period of Joseon. There was a great difficulty in identifying the uses and services of many different costume names such as Dongdari, Gyunmagi, itgeogori, Ootchima, Itchima, Ggaggi, Godo, Sangchi, etc., which were quit different from the documents of the regular codes and standards set by the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