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규장각 소장 한글번역역사서 『티통감』 연구- 번역양상과 국어학적 특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Korean-translated Manuscripts of Historical document exists in Kyujanggak(奎章閣), "Jatitonggam" - Focusing on the Aspects of Chinese-into-Korean Translation and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8 최종저작일 2009.11
37P 미리보기
규장각 소장 한글번역역사서 『티통감』 연구- 번역양상과 국어학적 특징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문화연구 / 31호 / 245 ~ 281페이지
    · 저자명 : 박재연, 김민지

    초록

    본고에서는 서울대 규장각 소장 한글필사본 『티통감』의 서지적 측면과 번역양상, 국어학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한글필사본 『티통감』은 바로 司馬光이 지은 『資治通鑑』에서 「晉記」를 발췌하여 한글로 번역한 것이다. 『티통감』은 지금까지 제대로 연구되거나 정리되지 않은 새롭게 발굴된 자료로 조선시대에 역사서를 한글로 번역한 몇 안 되는 문헌 중에 하나이며 현존하는 문헌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에 『資治通鑑』을 번역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한글본 『티통감』은 전체적으로는 비교적 원문에 충실하게 번역하여 거의 직역에 가까우나 경우에 따라 심하게 생략하고 일부만 번역하였고, 아예 번역을 하지 않고 생략하기도 하였다. 일부 부분은 한문본에 없는 내용을 추가하여 번역하기도 하였다. 이 책에는 한자어가 많이 등장하는데 한자어를 고유어로 번역한 어휘들이 많이 보인다.
    『티통감』에 나타난 표기적 특징을 보면 어두 된소리 표기에 ‘ㅅ’계 합용병서의 ‘ㅺ, ㅼ, ㅽ, ㅾ’과 ‘ㅂ’계 합용병서 ‘ㅄ, ㅶ’이 사용되었고 ‘ㄱ, ㄴ, ㄹ, ㅁ, ㅂ, ㅅ, ㅇ’ 의 7종성법이 잘 지켜지고 있다. 어간말 종성 표기의 합용병서는 ‘ㄺ’, ‘ㄼ’, ‘ㅁㄹ’이 쓰였다. 체언의 경우 대체로 분철 표기를 하고 있고 용언의 경우에는 연철과 분철 표기가 함께 나타나며 중철 표기가 일부 보인다. 음운적으로 ‘ㆍ>ㅏ’와 ‘ㆍ>ㅡ’의 변화, 원순모음화, ㄷ구개음화 현상 등이 아직 활발히 진행되지 않았고 상당히 보수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이 문헌에서는 비교격 조사 ‘-곤’과 연결어미 ‘-아든’, ‘-괘댜’, 평서형 종결어미 ‘-롸’, ‘-와’, ‘-마’, 의문형 종결어미 ‘-ㄹ다’, 감탄형 종결어미 ‘-ㄹ샤’ 등 비교적 고형의 문법 형태가 나타나며, 18세기에서 19세기초까지 나타나는 비교적 고형을 띠고 있는 어휘들이 쓰였다. 이상에 나타나는 국어학적 특징들은 18세기 필사본 문헌에 나타나는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티통감』의 권11 말미에는 ‘셩종왕 즉위 십이년(1481) 동일의 벽오실의 남화인은 셔노라’라는 필사기가 있으나 이 책에 나타난 국어학적 특징으로 보건대 1481년에 필사된 것이 아니라 대략 18세기 중후반의 전사본으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The thesis reviews the Korean-translated Manuscripts of "Jatitonggam" from the viewpoints of its bibliography, translation and Korean language. The Korean version of "Jatitonggam" is a translation of the history of Jin dynasty of "ZiZhiTongJian", written by Si Ma Guang.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historical documents of Chosun dynasty were rarely translated into Korean, the Korean version of "Jatitonggam" is especially important.
    The Korean version of "Jatitonggam" is characteristic of literal translation. And also boldly omits or describes in short and simple sentences. There are some portions where sentences have been reversed in many parts and some sentences. Many of the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translates into pure Korean in the copy, such as ‘밧군’, ‘댱나그내’, ‘읏듬’ and ‘나쳡’.
    "Jatitonggam" show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n terms of spelling: The accented first parts of the words are shown by the parallel consonants with ㅅ and ㅂ in front as in ‘ㅺ, ㅼ, ㅽ, ㅾ, ㅄ, ㅶ’. The seven consonants, ‘ㄱ, ㄴ, ㄹ, ㅁ, ㅂ, ㅅ, ㅇ’ are used in the last parts of the words. Nouns, Pronouns and numbers are spelled separately and verbs and adjectives are spelled in accordance with liaison and syllablication. Some of mid positioning of consonants appear in the copy.
    Phonologically, it seems that by the time the Korean version of "Jatitonggam" was produced, the phenomena such as change of ㆍtoㅏ, ㆍto ㅡ, Wonsoon vowelization, and ㄷ palatalization were not prevalent. Also worth noting is the fact that postpositional word, ‘-도곤’, connective suffix, ‘-아든’, ‘-괘댜’, suffix for statement, ‘-롸’, ‘-와’, ‘-마’, suffix for questions, ‘-ㄹ다’ and suffix for admiration, ‘-ㄹ샤’ are used. Vocabulary which represents the charateristic of 18th century, such as ‘날’[日], ‘니극’, ‘이’, ‘’, ‘제곰’, ‘이여곰', ‘어그러이’, and ‘일[早]’ are found in the text as well. The above-mentioned words are characteristic of 18th century handwritten copies.
    At the end of the text is a sentence that goes, ‘셩종왕 즉위 십이년(1481) 동일의 벽오실의 남화인은 셔노라’.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language, the year Korean version of "Jatitonggam" was printed, it would be safe to infer that the Korean version was written in the later part of 18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