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각진국사 복구(復丘)와 불교계 동향 (The national preceptor Gakjin Bokgu(覺眞復丘) and the trend of Buddhism circle in Goryeo dynasty)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8 최종저작일 2014.08
39P 미리보기
각진국사 복구(復丘)와 불교계 동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보조사상 / 42호 / 127 ~ 165페이지
    · 저자명 : 윤기엽

    초록

    본 연구는 수선사의 제13세 각진국사 복구(復丘)의 생애와 그가 활동했던 고려 원간섭기(元干涉期)의 불교계 동향을 고찰한 것으로 복구의 가계인 고성(固城) 이씨의 내력과 그가 주석한 백암사(白巖寺, 현 백양사)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원간섭기에 명문사족(名門士族)의 가문에서 태어나 고려후기의 대표적 사원인 수선사(修禪社)를 비롯해 백암사, 불갑사(佛甲寺) 등에 주석하며 활동한 복구의 행적은 당시 불교계의 다양한 변화 양상과, 정치계의 현실을 반영하고 있어서 연구의 의미는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존비(李尊庇) 대에 명문가로 부상한 고성 이씨 가문에서 태어난 복구는 친인척으로 백이정, 박충좌와 같은 성리학자도 있었지만, 불교신앙이 돈독했던 어머니와 외가(外家)인 이행검 가계의 영향을 받아 불가에 귀의했던 것으로 보인다. 수선사의 제5세 천영(天英)을 스승으로 하여 출가한 복구는 1320년경 수선사 제13세 주지로 부임하여 1340년경 백암사로 옮겨갈 때까지 약 20년간 주석하였다. 수선사는 당시 원간섭기 불교계의 전반적인 동향에 비추어볼 때 무인정권기와는 달리 사세(寺勢)는 쇠락한 상태에 있었고, 지눌보다는 몽산(蒙山)의 선사상에 영향을 크게 받았던 것으로 예견된다. 몽산선은 원간섭기에 들어와 수선사뿐만 아니라 가지산문에서도 적극 수용되면서 크게 유행했던 것이다.
    복구는 만년인 1340년경 유년시절과 20대에 머물었던 백암사(白巖寺)에 주지하였을 때 친조카 이암(李嵒)과 함께 발원하여 중창(重創) 불사를 크게 열었다. 이것은 후대에 백암사가 이씨 가계의 원찰(願刹)로 변모되는 단초가 되기도 했다. 복구는 불갑사에 주석하던 때인 충정왕 2년(1350)과 공민왕 1년(1352)에 왕사(王師)로 책봉되었다. 그리고 공민왕 4년(1355) 백암사에서 입적하였고 시호를 각진국사(覺眞國師)라 하였다. 백암사는 복구와 이암 후대에도 이씨 가문에 의해 운영, 유지되며 국가의 통제를 벗어나기도 했는데, 이처럼 한 사원이 특정 가계의 원찰로 변모된 사실에서 당시 불교계 세속화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career of the national preceptor Gakjin Bokgu(覺眞復丘), the 13th abbot of Suseonsa Temple(修禪社), and the trend of Buddhism circle of Won(元) intervention period in Goryeo dynasty, focusing on the history of Goseong(固城)-Yi(李) family and Baekamsa Temple(白巖寺). It is a very meaningful because the achievements of Bokgu who was born into a good family in the Won intervention period and resided in the Suseonsa which was the typical temple in the late Goryeo including Baekamsa, Bulgapsa Temple(佛甲寺), reflected many kinds of changes of Buddhism circle and politics at that time.
    Bokgu who was born into Yi family, which leaped into a good clan in the Bokgu's father generation, had relatives of new Confucianism scholars such as Baek i-jung(白頤正), Park chung-jwa(朴忠佐), but it seems that he became a Buddhist monk because he was influenced by his mother and uncle Yi haeng-geom(李行儉) on his mother's side, both of them had devout faith in Buddhism. He who made the 5th abbot of Suseonsa, Wono Cheonyeong(圓悟天英), his mater and became a monk, resided in the Suseonsa as the 13th abbot for twenty years until he moved in Baekamsa in 1320 or thereabouts.
    Suseonsa was declining in those days, and it is speculated that Suseonsa was influenced by the thought of Mongsan(蒙山) than Jinul(知訥) unlike the soldier government period in the context of the general trend of Buddhism circle. The thought of Mongsan was actively accepted by Mt. Gaji-san(迦智山) sect as well as Suseonsa, and was very popular among Goryeo monks during the Ueon intervention period.
    Bokgu resided in the Baekamsa in his infancy and twenties, and he greatly reconstructed the temple with his cousin Yi am(李嵒) in 1340 or thereabouts. This fact was a starting point that Baekamsa was changed into the temple of being managed by Yi family. When Bokgu resided in Bulgapsa, he was proclaimed royal preceptor in 1350, 1352. He died at Baekamsa in 1355, and was granted a posthumous epithet, national preceptor Gakjin(覺眞). Deviated from the control of the government, Baekamsa was also managed by descendants of Yi family since Bokgu and Yi am generation. We can get a glimpse of Buddhist secularization from the fact that Baekamsa was transformed into the temple for praying to Buddha for the happiness and good luck of one fami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조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