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주화시대 한국외교정책의 결정요인과 과제 (Korean Foreign Policy and Problems in the Democratization Era)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3 최종저작일 2008.02
22P 미리보기
민주화시대 한국외교정책의 결정요인과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치외교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29권 / 2호 / 271 ~ 292페이지
    · 저자명 : 김성주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외교정책의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외교정책 결정과정
    과 민주주의와의 상관성을 밝히는 데 있다. 특히 1987년 민주화를 전후로
    한국외교정책의 결정요인을 비교, 분석하고 있다.
    민주주의의 확장과 함께 외교정책 결정과정과 민주주의의 상관성에 대
    한 연구가 중요한 주제로 부상하고 있다. 민주화에 따라 시민사회의 참여
    가 확대되고 과거 대통령, 행정부 등에 의해 독점된 배타적 정책결정과정
    이 커다란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의 외교정책 연구는 국내정치와 차별적인 변수와 분석 방법으로
    다루어야 한다는 이해가 지배적이었고 이러한 전통으로 말미암아 외교정책
    은 국내정치적 현황과 일정한 수준에서 차별적으로 결정된다는 설명이 설득
    력 있게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탈냉전기 서구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외교정
    책이 가지는 국내?외정치 간의 연결성이 강조되고 외교정책 고유의 설명변
    수가 무의미해지고 있다는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에
    는 탈냉전 및 제도주의적 민주화가 본격화된 이후에도 외교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포괄적인 변수들에 대한 분석이 전문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특히 민주화이후 우리의 관심을 끄는 것은 본 연구의 중심테제인 민주주
    의와 외교정책 결정의 상관성이다. 국가와 시민사회가 긴장의 각을 세우고
    보다 합리적이고 건강한 정책개발을 위해 견제와 균형 감각을 유지하는 것
    은 민주사회에서 바람직한 일이다. 전문성을 가진 정책 결정자들에 의한
    정책결정이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시민사회에 의해 견제되지 않는 정책은
    국민의 의사에 배치될 수 있고, 국가이익을 내세워 국가 내 소수의 이익을
    실현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전시작전권 환수문제
    나 FTA 협상과정 등에서 양자는 상호보완성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다
    른 정책영역보다 전문 관료들의 폐쇄성과 배타성이 강한 외교정책 분야에
    서 여론을 포함한 시민사회의 영향력이 정책결정 과정에 얼마만큼 미쳤는
    지는 아직도 명확한 결론을 내릴 수 없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ariables of decision making process
    of foreign policy and to explain the correlation of decision making of foreign
    policy and democracy. Especially, we analyze relations between state and
    civil society in the process of decision making of foreign policy after 1987
    democratization in Korea.
    Along with expansion of democracy, studies on correlation of the decision
    making processes of foreign policy and democracy is becoming an important
    subject. With democratization, participation of civil society is enlarging and
    exclusive decision making process of policy which monopolized by president
    and administration is being affected.
    So far, methodology on studies of foreign policy has focused on analysis of
    external variables in international system rather than internal ones in domestic
    system. Thus, domestic environment in decision making of foreign policy has
    disregarded often times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post-Cold War era, interlocking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variables which are related with decision making processes is expanding.
    Both variables are affecting each other in democratic countries in particular.
    But, in Korea, international and domestic variables in studies of foreign
    policy do not fully analyze for the more effective research.
    Today, our concern of studies of foreign policy is the correlation between
    democracy and decision making process of foreign policy which is central
    theme in this studies. In democratic society, check and balance between state
    and civil society are very important to develop healthy and rational policies.
    Because, some times, policies which are not monitored by civil society do
    implement against people’s intentions. For instance, in recent we have
    experienced these matters in the processes of military affairs and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Korea and US. We need more analysis and research in detail to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democracy and decision making of foreign policy studies through
    lots of case studies. Because we can not conclude exactly to verific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decision-making and democra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정치외교사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