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콘텐츠 기획자의 창조성 분석과 한국인의 특성을 고려한 콘텐츠 기획의 가능성 (Creativity Analysis of Contents Planner and Contents Planning Possibility with Korean Human Characteristic)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3 최종저작일 2009.03
20P 미리보기
콘텐츠 기획자의 창조성 분석과 한국인의 특성을 고려한 콘텐츠 기획의 가능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문콘텐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문콘텐츠 / 14호 / 27 ~ 46페이지
    · 저자명 : 박범준

    초록

    문화가 사회발전의 원동력으로 새롭게 인식됨에 따라서 문화는 물론 문화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은 세계 5대 문화산업강국을 구현하고자 하는 정책의지를 가지고 있고 이와 관련 된 문화콘텐츠산업 정책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문화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날도 증가되고 있음에도 ‘문화콘텐츠’에 대한 정의가 제대로 정립되어 있지 못하고 있다. 그동안 문화콘텐츠는 문화적 요소가 결합된 게임․영화․애니메이션․공연 등 오락적 요소 즉 엔터테인먼트 측면이 강조되어 정의되어 왔다. 하지만 유네스코에서는 문화콘텐츠를 다르게 정의하고 있다. 유네스코에서는 “문화 콘텐츠는 문화적 정체성에서 비롯되거나 이를 표현하는 상징적 의미, 예술적 영역, 그리고 문화적 가치를 말한다.”라고 정의 하고 있다. 이를 통해 문화콘텐츠가 상품적인 측면 보다 문화적 정체성과 문화적 가치를 더욱 중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의 기획 과정에 있어서 한 국가나 집단이 이루고 있는 사회의 문화적 정체성과 가치를 발현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시작한다.
    이를 위해 문화콘텐츠 기획과정이 문화콘텐츠 기획자의 주체적인 의식성에서부터 출발함을 굿음악제와 춘천마임축제의 사례를 통해 밝혀내고 다음으로 한국인의 독특한 인간관이라고 할 수 있는 특성들을 ‘살림살이’의 ‘사이-존재’로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시간, 공간, 사람, 하늘과 땅을 살리는 살림살이의 품성을 가진 ‘사이-존재’의 기획자가 콘텐츠 기획에 있어서 시간과 공간, 사람과 하늘․땅을 고려하여 콘텐츠를 기획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는 것으로 정리하였다.
    글로벌 시대에 문화콘텐츠가 국경을 넘어 각 민족의 독특한 문화를 소개하고 소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문화에 대한 열린 마음을 갖는 것과 함께 콘텐츠로서 활용하기 위해 우리문화의 정체성과 가치를 알아야 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기획자의 주체적 의식을 강조하고 한국인의 인간관을 통한 콘텐츠 기획을 제시하는 것으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accordance with culture being newly recognized as a driving-force for social development, much attention is being attributed to cultural contents. Accordingly, Korean government is starting to put policies for cultural contents industry in motion with intentions of making Korean have top-five cultural industry in the world. In spite of the fact that more and more concerns and interests are being given to cultural contents, the definition of 'cultural contents' has not been established appropriately.
    So far, limited aspects of cultural contents such as those combined with entertainment factors - computer games, films, animation movies, performances - have been emphasized. However, UNESCO defines cultural contents in a quite different way as "cultural contents are symbolic meanings, aesthetic areas and cultural values which describes or are stemmed from cultural identities", which clearly shows that cultural contents are more weighed in cultural identities and cultural values rather than their sales value.
    This study is aimed to prove that cultural identities and values of societies where a nation or groups are ascribed are manifested by planner's intention through cultural contents planning processes. Firstly, it states cultural contents planning processes are mainly originated in planner's self-consciousness by showing cases of Chuncheon International Mime Festival and Kut Music Festival. Secondly,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man are prescribed as 'Sai-Jonjae'. Lastly, it suggests a model that a Sai-Jonjae contents planner who has 'Salim-sal-i' personality which raises time, space, man, the sky, the earth can work with.
    This paper argues that cultural identities and values should be expressed with open minds toward different culture so as to communicate and introduce one's own unique culture one another across the boarders and the globe. Also, it highlights self-consciousness from a planner and proposes contents planning from a viewpoint of Korean m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콘텐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