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비극적 인식의 담론 (Discourse characteristics of tragic consciousness revealed in Oh Jeong-hee’s novels)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3 최종저작일 2009.02
43P 미리보기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비극적 인식의 담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26호 / 327 ~ 369페이지
    · 저자명 : 조영미

    초록

    작가 오정희는 1960년대 후반부에 <완구점 여인>으로 등단했으며 중단편을 중심으로 작품을 발표한 여성작가이다. 주로 삶의 일상사를 다룬 그의 작품들은 인간의 가장 근원적인 문제를 다루었으며, 비의적인 문체로 작중인물들의 내면세계를 섬세하게 묘사하였다.
    소설이 사건이나 인물을 부각시키는 경향에서 벗어나 인물의 내면의식을 심화시키기 시작한 어느 지점에서 본다면, 작가 오정희는 작중인물의 내면적 갈등으로 인한 새로운 감정의 첨예한 대립과 좌절, 불안과 권태, 우울과 같은 인물들의 내면의식을 사실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즉 인물의 내면적 갈등을 사회나 체제에 의한 외적인 원인에서 찾아내기보다는 현대인들이 겪고 있는 존재론적 불안의식의 내면적 갈등양상을 등장인물의 의식을 통해 표면화시키며 그런 갈등의식을 첨예하게 부각시키는 작가라고 할 수 있다.
    그녀의 작품들은 독자들로 하여금 가슴 섬뜩한 비의감과 강렬한 전율을 느끼게 한다. 이러한 것은 글을 씀으로써 어떤 감동이나 어떤 목적이나 어떤 의도를 가지고 글을 썼다기보다는 인간이 살아가면서 경험하는 아니 경험할 수밖에 없는 일상에서의 기나긴 고행의 행로들의 기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기억을 한편 한편 끄집어 올려 기록한 그녀의 작품들은 첫 페이지를 여는 순간부터 마지막 페이지를 덮는 그 순간까지 독자들로 하여금 강렬한 삶의 공감대를 형성하게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녀의 소설의 작중인물들은 존재론적 세계의 현상으로부터 일정하게 공포나 불안의식에 사로잡혀 있으며 이러한 공포나 자기소외 의식은 그녀의 소설에 두루 나타나는 심층의식으로서 몇몇의 상징적 어사들이 엮여 오정희 소설의 밑강물에 흐르고 있다. 죽음의 세계에 대면한 작중인물들은 ‘불안’, ‘공포’, ‘절망’을 느끼거나, 그로부터 ‘탈출’을 하고자 하며 또 ‘어둠’의 현실에서 ‘초조’해 하거나 ‘낭패’스러워 한다. ‘분노’하기도 하지만, 어떤 때에는 아주 ‘냉담’한 반응을 보이기도 하며 때때로 ‘파괴’본능을 이끌어내기도 한다. 이와 같은 의식과 이미지들이 오정희 소설의 밑강물이 되어 흐느끼듯 출렁거리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오정희 작가의 작품들은 아주 작은 일상의 행로를 그리면서 폐부를 찌르는 듯한 표현들과 시간의 모호성으로 독자들을 강렬하게 빨아 당기는 기묘한 흡인력을 가지고 있다. 재미있다기보다는 흥미롭다기보다는 진지함이 깃들어 있는 그녀의 문체와 고급한 담론은, 읽는 내내 느끼는 자의적인 시간의 들락날락거림으로 인해 자리를 뜨면 금방이라도 뭘 읽었는지를 잊어버릴 만큼의 다양한 시간변조의 담론으로 형상화 되어 있다. 이러한 담론의 기법들로 인해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의미론적 모호함을 주기도 하며, 이런 형상화 과정들로 인해 독자들은 가독성의 지연을 가져오기도 한다.
    그러나 그러한 그녀의 자의적인 시간변조 기법은, 텍스트의 난해하고 모호한 서사정보이긴 하지만 의외로 군데군데에서의 서사적 정보를 탐색할 수 있으며, 그러한 난해한 스토리 구조에서 기인하는 높은 서사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더불어 담론의 스토리를 구성해가는 디에게시스의 진로를 독자들이 발견할 수 있게 한다. 즉 서사정보의 공급과 통제로 인한 담론의 효율성을 적절하게 원용하는 것에 기인하고 있다. 이러한 그녀의 텍스트가 지닌 형상화 과정은 옛 관습적 담론의 형태를 초월해 독자들의 해석학적 지평을 보다 넓게 또는 보다 멀고 깊게 확장시켜주는 담론으로서, 이러한 담론의 특성아래 내재되어 있는 시간의 풀이를 통해 오정희 텍스트가 지니고 있는 담론적 특성에 의한 등장인물들의 비극적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Oh Jeong-hee is a woman writer who published a few medium length or short stories after made literary debut in late 1960s with her work 「The lady in a toyshop」. Her works mostly dealt with the most ultimate problems in humans’ everyday life and inquisitively described inner world of characters with mysterious literary style.
    She escaped from the inclination to emphasize on an incident or character in the novel but started from a point to deepen inner consciousness of the character. She expresses emotional conflicts among the characters generated from inner conflicts among them and shows inner consciousnesses of them such as frustration, anxiety, weariness, and depression realistically. Namely, she made inner conflicts of modern day people’s ontological anxiety on the surface through consciousnesses of them in timely manner rather than seeking external reasons of their inner conflicts under social regime, and highlights the conflict consciousness inquisitively.
    Oh Jeong-hee’s works give strong impact with thrilling tremor to readers that might be lasted for several days. The works are memories of long paths of sufferings in daily life that we can avoid but have to experience as a human being and they don’t seem to be written with a certain purpose of intention to give an impression. She recorded such memories one by one in her works that make readers bounding and touched heart with strong empathy from the first to the last page of the book.
    The characters in her novels are seized with certain horror or anxiety due to ontological world’s phenomena. Such horror or self-alienation consciousness are deepened consciousness generally appeared in her novels. Several symbolic concepts are underlying her novels that show this. The characters who face with the world of death feel ‘anxiety’ ‘fear’ or ‘frustration.’ They try to ‘escape’ from them or feel ‘nervous’ or ‘difficulty’ in the ‘dark’ reality. They sometimes feel ‘anger’ or ‘indifferent’ or even derive out ‘destruction’ instinct. Otherwise, they feel ‘weariness’ or ‘ashamed’ for daily and systematically automated world order and think they are abandoned or ‘compulsorily’ enforced to ‘strange’order. They feel isolated alone and confined to a severance island. Their hope or desire have already fell down to an abyss of despair and feel impossible to have a normal dream. They try to have an autistic fantasy for universal resurrection or their inner soul or try to go out from themselves. However, they still have the same tragic appearance. Perhaps, life is a dreadful like pupil of death that lost meaning even before it was born and this makes a being horrified. Such consciousness and images are being slopped in her novels as underlying stream as if sobbing.
    Oh Jeong-hee’s works describe very small paths in daily life but has mysterious absorption force that strongly draws readers with metaphors in each word penetrating expressions. Her serious rather than fun and interesting literary style and high quality discourse make arbitrary time come and go incessantly. It is configured with various discourse of time modulation that we could forget what we have just read if leave the book for a moment. Such discourse method can give semantic ambiguity of the author’s message or bring delay of readability for readers with the configuration process.
    However, this arbitrary time modulation method is narrative information of difficult and ambiguous text. However, we can find narrative information in unexpected parts. Readers can find diegesis course that forms a story of discourse while having high level of narration based on difficult story structure. Namely, it is based on effective use of discourse with supply and control of narration information. The configuration process of her text expands readers’interpreting spectrum more wide or far and deep surpassing old conventional discourse form. Such characteristics of discourse in Oh Jeong-hee’s text give pleasure of interpretation through solving and reconstruction of time and solving of narration strategy inherited in the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