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물관 관람객의 몰입경험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Possible Effects of Flow Experience of Museum Visitors on Their Satisfaction)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3 최종저작일 2008.08
22P 미리보기
박물관 관람객의 몰입경험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실천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실천민속학 연구 / 12권 / 331 ~ 352페이지
    · 저자명 : 정익준

    초록

    오늘날의 한국인들은 사회문화적인 환경변화로 교양과 여가활동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여가활동의 하나로 박물관관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이런 현상은 박물관이 현대인들에게 여가를 선용하고, 삶의 질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는 한 증거이다. 여가활동으로서 박물관관람은 전시물을 통해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고 그것들과 친숙해지려는, 이러한 풍부한 여가의 삶이 확산되고 있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문화적 지적활동이 관람객 자신의 선택으로 행위에 몰두하는 한, 그리고 관람자에게 삶은 가치가 있는 것이라고 느끼게 해주는 한, 박물관관람은 자기성장과 자기계발을 위한 여가활동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따라서 자기의사에 따라 박물관을 찾는 관람객들은 일상생활에서보다 많은 즐거움과 행복 그리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데, 그것은 몰입을 통해 자아의 새로운 구조로 이어지는 경험을 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박물관관람을 통해 관람자가 몰입경험을 하면 삶의 질은 향상되고 문화창조의 길도 담보해 줄 것이므로 심리학 연구 분야인 플로우 이론(flow theory)을 박물관관람이라는 여가활동에 연계하여 논의할 여지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박물관관람이라는 상황에다 여가심리학적 변인을 적용해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즉 관람객들의 몰입경험은 만족도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또 어떤 몰입경험 구성요소가 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관람객의 몰입경험의 정도에 따라 만족도에는 차이가 있는지 등을 실증조사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내재적 동기에 기초해서 박물관을 찾은 개인관람객들은 대체로 몰입경험을 많이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결과는 능동적 여가활동과 자발적 참여의식에 따른 박물관관람은 몰입경험을 쉽게 유도하며, 또 박물관관람이 자신의 내적목적과 부합되고 가치가 있는 것이라 판단할 경우 몰입경험을 한다고 풀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관람객의 몰입경험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또 ‘주목'과 '호기심'과 같은 몰입경험 구성요소가 만족도를 높이는 유의적 영향요소임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박물관관람의 몰입경험은 관람객들에게 지속적인 활동을 유지시키는 선행요인임이 밝혀졌다. 관람객들은 박물관 전시의 한계와 환경을 대체로 인식하고 있는 바탕위에서 이러한 연구결과는 관람객들을 몰입경험으로 유도한 후 재관람까지 유도하는 일은 그리 어려운 과제가 아님을 알려줌으로써 박물관관리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해 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고몰입집단이 저몰입집단 보다 전반적인 만족, 재방문, 적극 추천 등에서 적극적임이 확인된 것도 본 연구의 성과 중 하나이다.

    영어초록

    Nowadays, Koreans have been expressing more interests and needs for culture and leisure activities under the influence of changing sociocultural environment than before. In same context, there are increasing interests in visiting museum as a part of leisure activities. It is encouraging to see the nationwide propagation of this affluent leisure life to understand our culture and history with exhibits or get familiar with them by visiting museum as a part of leisure activities.
    As long as these cultural and intellectual activities focus on behaviors motivated by visitors’ own choice and make the visitors feel real value of life, visiting museum has certain implications in a sense of leisure activities for self-growth and self-development. Accordingly, museum visitors who have their own intentions and clear objectives are likely feeling more senses of pleasure, excitement and achievement than in daily life, possibly because they have flow-driven experiences into encountering a new ego structure. If visitors have flow experiences in leisure activities like visiting museum, it is possible that their life quality gets improved in parallel with assured ways to creation of culture. Thus, this study found it necessary to discuss flow theory as a psychological branch in association with leisure activities like visiting museum.
    Starting from such critical mind, this study applied variables of leisure psychology to circumstances around visiting muse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ich flow experience factors may contribute to stimulating strong flow experience of museum visitors, and how much the extent of such flow experiences may be effective in their satisfaction, whether negative or positiv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individual visitors with intrinsic motivation to spontaneously visit museum without relying on external compensation had typical tendency of flow experience through visiting museum. This finding indicates that visiting museum motivated by active leisure activities and voluntary participation mind-set is likely to induce flow experiences, and museum visitors tend to experience flow, if they think visiting museum valuable and complying with their inner objectiv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museum visitors’ flow experienc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satisfaction, and flow experience factors such as ‘attention’ and ‘curiosity’ are significantly effective in their satisfaction. This finding demonstrated that flow experiences in visiting museum act as predisposing factor contributing to their persistent activities. Based on visitors’ common awareness about limitations and environment of museum exhibi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t is not so much difficult to motivate visitors to experience flow and revisit museum, and also have implications useful for museum management. Finally, it is notable that high flow group showed higher satisfaction, higher revisit frequency and more active recommendations than low flow group on the who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실천민속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