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충남 앉은굿 음악의 문화권역 시론 - 안택굿을 중심으로 - The Case of Antaek-gut - (The Music of Anjeun-gut in Chungnam Area)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3 최종저작일 2009.02
48P 미리보기
충남 앉은굿 음악의 문화권역 시론 - 안택굿을 중심으로 - The Case of Antaek-gut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무속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무속학 / 18호 / 35 ~ 82페이지
    · 저자명 : 박혜정

    초록

    본 연구는 한국 무(巫)의 양대 주류 중에 하나이며, 충청 지역 전통 무 형태인 앉은굿의 독경 음악 분석ㆍ연구를 그 연구 목적으로 두고 있다. 특히 앉은굿 음악은 순수 감상용 음악이 아니고 굿 의식을 위한 기능 음악이기 때문에 의식 절차에 수반되는 음악을 그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연구 대상 지역은 앉은굿이 타 지역에 비해 활발히 행해지고 있는 대전과 행정구역상으로 구분한 충남 전 지역이다.
    본인의 4년여에 걸친 현지 조사 결과, 그 기원을 두고 있는 충청 지역에서조차도 우리 민속 신앙 중의 한 형태인 앉은굿의 전승 보존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더구나 음악적 연구는 전혀 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어서 앉은굿 음악 연구의 필요성은 더욱 절실하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이나 필요성을 전제로 하여 연구된 대전ㆍ충남지역 앉은굿의 음악적 특징을 간단히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대전과 충남 16개 시(市)ㆍ군(郡) 앉은굿의 음악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 충남 지역 앉은굿의 음악 문화권은 대권역 권과 소권역 권으로 나누어졌다. 대권역 권은 크게 세 개로 설정되었는데, 경토리 앉은굿 음악 문화권(당진군, 태안군, 서산시, 예산군, 홍성군, 보령시, 청양군, 공주시, 부여군, 연기군), 메나리토리 앉은굿 음악 문화권(대전시, 천안시, 아산시, 논산시, 서천군), 그리고, 육자백이토리 앉은굿 음악 문화권(금산군)이다.
    위의 대권역 권은 다시 일곱 개의 소권역 권으로 구분된다. 즉 경토리 앉은굿 음악 문화권은, 북부경토리권(당진군, 태안군, 서산시, 홍성군),과 남부경토리권(연기군, 공주시, 보령시), 그리고 육자백이에 가까운 남부경토리권(청양군, 부여군)으로 나누어진다. 메나리토리 앉은굿 음악 문화권은, 메나리토리권(대전, 예산군)과 북부경토리에 가까운 메나리토리권(천안시, 아산시), 그리고 육자백이에 가까운 메나리토리권(논산시, 서천시)으로 구분된다. 또한 육자백이토리 앉은굿 음악 문화권은, 메나리에 가까운 육자백이토리권(금산군)으로 세분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행정구역별로 나누어 앉은굿 음악의 특징을 조사ㆍ분석하였지만, 음악적 토리 권역은 행정권역과는 다르게 나타났으며, 충남 대부분의 지역이 경토리 앉은굿 음악 문화권임을 알 수 있었다. 이 같은 현상은 선거리 무가(巫歌)의 음악적 토리가 아래 지방 선율형이 윗 지방까지 올라와 있는 현상(세습무일 경우 경기 도당굿이 육자백이토리 임)과는 다르게, 앉은굿 독경의 선율은 윗 지방 무속의 음악적 토리가 아래 지방까지 내려와 있음을 보여준다.
    앉은굿 음악의 리듬형은, 지역마다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생기복덕고장(生氣福德鼓杖)이라고 부르는 2소박4박과 3소박4박의 리듬형이 주를 이룬다. 또한 혼소박형과 자유리듬형도 출현하는 등 다양한 리듬형이 구사되고 있다. 법사(法師)들에 의해 고장(鼓杖)이라고 불리는 장단명은 일반적으로 외마치고장, 두마치고장, 세마치고장, 춤고장, 막고장 등이다.
    앉은굿 음악의 반주 악기로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북이나 장구, 꽹과리 혹은 징이나 반징이 사용되고 있는데, 예전에는 꽹과리나 징 대신에 양푼(놋으로 만든 대야)을 사용했다고도 한다.
    앉은굿의 기본 구조는 청신(請神)-축원(祝願)-안정(安靖)-퇴신(退神)의 네 틀로 구분지울 수 있는데, 이 절차에 따라 앉은굿 경문 내용은 물론 반주 악기의 리듬형, 음량 그리고 독경의 음역 등이 달라진다.
    독경 음악의 템포는, 해당지역 언어의 빠르기와도 관련이 있으며, 각 경문의 내용 즉 의미에 따라서 전반적인 빠르기가 결정된다.
    가사 붙임새에 따른 리듬형은, 주로 ‘일자일음’ ‘일자수음’ 형을 보이고 있으며, ‘신코페이션’과 ‘일자다음’ 형도 종종 출현한다.
    앉은굿 음악의 음역은 주로 중간 음역과 저 음역의 두 옥타브에 걸쳐 사용 되고 있지만, 단지 청양 지역의 법사만이 전통적으로 대법사들 만이 구사했다는 상청(上淸)ㆍ중청(中淸)ㆍ하청(下淸)의 세 음역을 사용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20~30년 전만해도 법사가 되기 위해서는 사제(師弟)지간을 형성하여 학습을 하였지만, 현재 충남 앉은굿 법사들은, 학습무와 강신(降神)무가 비슷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물론 지속적으로 충남 전역에 걸쳐 아직 연구자의 눈 앞에 드러나지 않고 있는 정통성 있는 법사들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지만, 이 작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현대 사회의 굿 자체와 굿 집행자들에 대한 사회적 인식 등에 변화가 와야 한다. 법사라는 직업의 양성화와 굿 자체를 기층 민중의 전통 민속 신앙으로 인식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된다면 앉은굿 연구가 좀 더 활발히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의 성과를 기반으로 본인의 앉은굿 음악 연구의 최종 목표인 한반도 전역의 앉은굿 음악 문화 권역과 그에 따른 앉은굿 이동 경로 설정 등의 향후 앉은굿 음악 연구에 박차를 가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music of the Buddhist scriptures chanting in Anjeun gut, which is the seating rite of shaman. In specific,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usic of Anjeun-gut in Chungcheong area. In fact, the music of Anjeun-gut is designed for the rites not for appreciation. As such,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into the music used in rites only.
    This study was completed through two methodologies:literature review and data collection. Literature review shows there have been several recent studies of Anjeun- gut, the Buddhist scriptures chanting, and rites practitioners. Though Anjeun-gut has been studied by a few other researchers, the music of Anjeun-gut has not been of their interest.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Daejeon and Chungcheong area where Anjeun-gut is relatively popular than any other areas in Korea.
    There has been a gap in the heredity of Anjeun-gut and also in the study of music of Anjeun-gut. Those data collected for 4 years in this study indicates that even though Chungcheong area is the origin of Anjeun-gut, it is very hard to hand down Anjeun-gut to next generation in this area. As the result of this, the music of Anjeun- gut was not handed down either. As such, the study of the music of Anjeun-gut was not studied by many researchers and the light should be on it is study.
    The results of analysis show that Anjeun-gut in Daejeon and 16 cities and counties in Chungnam area can be divided into 3 big ranges and again into 7 small ranges in detail. 3 big ranges include Gyeong-tori Anjeun-gut musical cultural range (Dangjin county, Taean county, Seosan city, Yeosan country, Hongsung county, Boryeong city, Cheongyang county, Gongju city, Buyeo county, Yeongi county), Menari-tori Anjeun -gut musical cultural range (Daejeon city, Cheonan city, Asan city, Nonsan city, Seochun county), and Yukjabaegi-tori musical cultural range (Geumsan county).
    These 3 big ranges can be divided again into 7 small ranges in detail. Gyeong-tori Anjeun-gut musical cultural range is divided into 3 small ranges including north Gyeong-tori range (Dangjin county, Taean county, Seosan city, Hongsung county), south Gyeong-tori range (Yeongi county, Gongju city, Boryeong city), and near by south Gyeong-tori range (Cheongyang county and Buyeo county). Menari-tori Anjeun-gut musical cultural range is divided into 3 small ranges including Menari-tori range (Daejeon city), Menari-tori range near by north Gyeong-tori range (Cheonan city and Asan city), and Menari-tori range near by Yukjabaegi (Nonsan city and Seochun county). Yukjabaegi-tori Anjeun-gut musical cultural range can be divided as Yukjabaegi near by Menari (Geumsan county).
    While the range of Anjeun-gut music can be divided and analyzed according to its administrational district as above, musical tori range turns out to be different with its administration district and most of Chungnam area belongs to Gyeong-tori Anjeun-gut music al cultural range. This analysis indicates that the rhythm of Anjeun-gut reciting in northern shaman musical tori has been moved into southern part of Korea while the rhythm of southern Korea has been moved into the northern in musical tori of shaman music (Gyeonggi Dodang-gut is Yukjabaegi-tori for hereditary shaman).
    The basic rhythm of Anjeun-gut is 2 Sobak 4 bak and 3 Sobak 4 bak, which is called Saenggibokdeok-gojang(生氣福德 鼓杖) with the occurrence of various rhythm of mixed Sobak types and free rhythm even though there is a little or less variation in its rhythm.
    The accompanied music instruments used in Anjeun-gut include drum, janggu, small gong, big gong, and half gong.
    The basic structure of Anjeun-gut can be expanded into 4 procedures in detail:Cheongshin(請神), Chukwon(祝願), Anjung(安靖), Toeshin(退神). Depending on these procedures, the types of rhythm in musical instruments, volume of reciting, and the contents of Anjeun-gut scriptures are different.
    On the procedure of Cheongshin, the contents consist of inviting spirits. Since the spirits in high should be positioned on this procedure, the accompanied music should be relatively gentle with no light mood. Second, on the procedure of Chukwon- Anjung, the contents consist of wishing peace in the household to ancestors. The accompanied music also consists of the mood of plea for mercy. On the procedure of Anjung, spirites in high are in position by reciting Anshingyeong. It is also called Husong(後誦) because it comes late in each section. The accompanied music on this procedure use a little fast tempo and high pitch to prevent any bad spirits to locate good spirits in right position. On the last procedure, Toeshin, the contents consist of saying a word of Buddha and blessing to turn down bad spirits. The accompanied music on this procedure uses fast beat with high pitch and big volume. The way of reciting on this procedure is performed by shouting to turning down any bad spirits.
    The tempo of reciting Buddhist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speed of language spoken in each region and also with the contents, the meaning, of the scriptures.
    The types of rhythm according to lyrics show that most of rhythms are Iljaileum (一字一音 syllabic, one word per 1 rhythm) and neumatik (one word per 2 to 4 rhythm) and sometimes syncopation and Iljadaeum (一字多音 melismatic, one word per many rhythm) often occur.
    While the musical range of Anjeun-gut use two octaves, medium range and low range, 3 musical ranges are used only by Cheongyang Bupsa, which is traditionally said only great Bupsa can perform:sangcheong(上淸), jungcheong(中淸), and hacheong(下淸).
    The current situation of becoming Bupsa(法師) show that there has been almost no Bupsa who are able to recite traditional scriptures with the command of various beating types among Chungnam Anjeun-gut Bupsa; while traditionally, at least 20 to 30 years ago, Bupsa becomes through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master and pupils and also by education, the current distribution of educated shamans and spirits- heredity shamans in Chungnam show about 50:50 ratio. As such, the performance of scriptures and beating is complete only by spirits.
    Korean shaman has been considered to be from a low class in Korean history and society. In order to continue and examine the orthodox Bupsa and Gut in Korea, it is necessary to change social consciousness about the practitioners in shaman, Bupsa, and Gut itself.
    Since Anjeun-gut has been established as one type of Korean shaman, this study can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study of Anjeun-gut and its music in Korean peninsula as well as in Daejeon and Chungcheong area by providing clear and detailed characteristics of Anjeun-gut and its music and their relationships. In this effort, this study will also make it possible to track the moving path of Anjeun-gut in Korean peninsula by examining the cultural scope of Anjeun-gut and its music according to geographic distribution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무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