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의 저널리즘과 사회갈등 - 갈등유발형 저널리즘을 극복하려면 (Korean Journalism and Social Conflict)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2 최종저작일 2008.12
25P 미리보기
한국의 저널리즘과 사회갈등 - 갈등유발형 저널리즘을 극복하려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커뮤니케이션 이론 / 4권 / 2호 / 48 ~ 72페이지
    · 저자명 : 이재경

    초록

    해방 후 한국 언론의 행적을 되돌아보면, 기자들과 신문, 방송사들은 스스로 그릇된 정체성을 형성해 왔다. 잘못된 사회, 정치적 역할을 자임하는 한국적 언론관행을 고정시키면서 오늘에 와서는 언론이 사회를 위기에 빠트릴 수도 있는 상황에 이르렀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부정확한 정보의 확산이 가속화하는 현실은 저널리즘을 문제 제기자가 아니라 문제 자체로 진단해야 할 필요를 깨우쳐준다. 기자들의 저널리즘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은 그들이 생산하는 기사의 특성과 제작방식과 밀접하게 관계돼 있다. 이 문제는 매체의 소유구조와 경제적 환경요소들이 만들어 낸 결과물이기도 하다. 이 글에서는 한국의 신문과 방송사, 인터넷 매체가 생산해내는 뉴스의 속성을 “갈등유발형 저널리즘”이라고 규정한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네 가지 관점에서 한국 저널리즘이 갈등을 유발하는 원인을 제시한다. 그리고 사회와 언론인이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Korean reporters and media institutions have developed for themselves a wrong identity since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self-proclaimed journalistic norms, that have nurtured misguided social and political roles for the press, have now in a state in which ournalism could put the whole society in danger. The rapid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accelerated the speed of news distribution. Under these circumstances, journalism could be conceived of as the problem itself, rather than the traditionally-assumed role of the whistle blower. Journalists’ basic understanding of the news is closely tied to the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processes of the published stories. This problem is also an outcome of the ownership structures that in turn are interwoven with the larger issues of the business environment. This essay is not based on an analysis of its own empirical data. Rather, it largely depends on personal reflection over the past journalistic practices broadly shared in the Korean society. The essay offers its definition of problems at the outset, then proceeds with presentation of logical grounds for the argument. The essay uses the phrase “conflict-provoking” to define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journalism. To support this argument, it presents four structural elements as main causes that have helped shape the Korean journalism as it is practiced today. In conclusion, the essay offers three ideas to begin the process of correcting the historically mis-guided journalistic norms in the Korea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