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시조(古時調)에 수용된 ‘바람’의 양상과 역할 (The Aspects and Meaning of “Wind” Accepted in Sij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2 최종저작일 2024.06
32P 미리보기
고시조(古時調)에 수용된 ‘바람’의 양상과 역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 수록지 정보 : 대순사상논총 / 49권 / 401 ~ 432페이지
    · 저자명 : 변승구

    초록

    본 고는 시조에 수용된 ‘바람’의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살피고 그 역할과 의미를 구명해 보았다. 이를 요약ㆍ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조에 수용된 ‘바람’의 작품을 살펴보았는데 작품의 총수는 620수이며 단시조가 459수이고 장시조가 161수이다. 한편 ‘바람’을 소재로 한 작가는 148명이며 시기로는 조선 후기가 90명에 265수로 가장 많고 조선 전기는 50명에 111수가 나타난다. 신분으로는 대부분 문신(文臣)으로 59명에 170수가 확인된다.
    다음으로 장(章)의 양상은 총 684회가 확인되며 단독이 632회이고 중복이 52회이다. 한편 시조의 핵심 처라 할 수 있는 종장 초구(初句)에 ‘바람’이 수용된 것은 총 25개의 어휘에 34회이다. 그리고 ‘바람’과 결합한 조사의 양상으로 격조사는 주격조사가 113회로 가장 많고 보조사는 ‘은/는’이 58회로 가장 많았다.
    시조에 수용된 ‘바람’의 유형을 살펴보았는데 대분류는 6개이며 중분류인 어휘는 106개이며 총빈도수는 688회이다. ‘단독’은 6개 어휘에 133회가 나타나며 ‘조합’은 총빈도수는 121회이다. 지상의 사물과 조합한 것이 79회로 가장 많고 ‘천상’의 사물과 조합한 것은 3개 어휘에 75회이며 ‘혼합’은 여러 사물이 섞여 나타난 것으로 어휘는 7개이고 빈도수는 42회이다.
    둘째로 시조에 수용된 ‘바람’의 문학적 수용과 역할을 살펴보았다. 먼저 ‘시상의 전달체로서 수용과 역할’과 ‘시상 전개로서 수용과 역할’, 그리고 ‘문학적 표현의 수용과 역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시조에 수용된 ‘바람’은 문학적 수용 및 주요한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끝으로 시조에 수용된 ‘바람’의 역할과 의미는 먼저 시조에 수용된 ‘바람’의 역할과 의미는 고대문학이나 타 장르와 차별성을 띠고 있다는 점과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출하는 문학적 장치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바람’을 통해 시조의 소재 수용의 외연을 확대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types of “wind (바람)” accepted in sijo (three-verse poems), focusing on the accepted pattern, and investigating its role and meaning. The summary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works of "wind" were accepted in the sijo, and the total number of works was 620. There were 459 short sijo, and 161 long sijo. On the other hand, 148 authors wrote on "The Wind," and in the Late Joseon Dynasty, 90 authors composed 265 poems, the most. In the Early Joseon Dynasty, 50 poets composed 111 poems. Most of them were civil officials, and 170 poems were identified.
    Next, the aspect of jang (章) was confirmed to occur 684 times in total, with 632 instances of being single uses and 52 instances of duplication. Meanwhile, the core of the sijo, the first sentence of the last chapter, contains ‘wind (바람)’ 34 times in 25 words. And in terms of the aspect of the particle combined with ‘wind,’ the nominative particle appeared the most at 113 instances, and the auxiliary particle ‘eun/neun (은/는)’ was the most numerous at 58 instances.
    As for the types of wind contained in sijo, there are 6 major categories: 106 medium categories, with the total frequency is 688. ‘Singular’ appears 133 times in 6 words, and ‘combination’ appears 121 times in terms of total frequency. The combination with terrestrial objects was the most frequent at 79 times, and the combination with ‘heavenly’ objects was 75 times with 3 words, and ‘mixture’ indicated a mixture of several objects, with 7 words occurring 42 times.
    Second the literary acceptance and role of ‘wind’ in Sijo was examined. First, ‘acceptance’ and the role as a medium for conveying ideas, acceptance and the role as the development of ideas, and acceptance and role of literary expression.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wind’ in Sijo was accepted in literature and played a major role.
    Lastly, the role and meaning of wind in Sijo can be seen in the fact that it remains differentiated from other form of ancient literature or other genres. It serves as a literary device that effectively expresses the theme, and the scope of the material accepted in Sijo was expanded through wi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순사상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