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성의 성폭력 두려움에 대한 연구: 여대생을 대상으로 (Study on Women’s Fear of Sexual Violence: Based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2 최종저작일 2013.09
38P 미리보기
여성의 성폭력 두려움에 대한 연구: 여대생을 대상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여성학 / 29권 / 3호 / 181 ~ 218페이지
    · 저자명 : 권인숙, 이건정

    초록

    최근 여성에 대한 성폭력 사건이 큰 사회적 관심을 모으고 있고 잔인한 살해나 신체 상해를 동반하는 성폭력 사건에 집중되는 보도는 그만큼 공포심도 증가시킨다. 그러나 한국사회에서 성폭력 두려움은 중요한 고려사항이 아니었다.
    이 연구는 성폭력 두려움이 성폭력 대응에서 어떤 지점을 차지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에 답변하기 위해 기초적인 이해를 강화하고 보다 확대된 문제의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조사 대상은 성폭력피해가 높은 연령층에 속하고 접근성이 용이한 여대생으로 한다. 조사방법은 서울 경기지역의 여대생 918명에 대한 설문과 8명에 대한 심층면접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들은 일상에서 성폭력 두려움을 다양하게 느끼면서 살고 있고 두려움은 비면식 가해자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둘째, 성폭력 두려움은 성폭력 피해에 대한 의식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주로 강간피해에 대한 두려움을 중심으로 형성된다. 셋째, 성폭력 두려움은 성폭력경험 보다는 과도한 피해의식, 언론보도, 성폭력 통념에 지배받으면서 만들어진다. 넷째, 성폭력 두려움은 여대생들의 일상생활이나 부모와의 관계에서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상적 두려움, 위축되거나 과장된 회피행동, 통금이나 독립적 생활에 대한 규제 등을 낳고 있다. 다섯째, 두려움이 커 회피행동 등을 선택하는 비율이 높지만 두려움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한 비율은 낮다. 성폭력은 여성의 노력이나 능력에 의해서 피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성폭력이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회피하는 것이 최선의 방책이라는 판단이 지배적이다.
    성폭력 두려움은 여대생의 삶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언론의 성폭력사건에 대한 부적절하거나 과도한 보도, 여성의 성폭력 피해의식이나 피보호자적 지위를 강화하는 대책 등에 대해 엄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Cases of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have recently become the center of the society’s attention, and the media’s selective coverage of sensational sexual violence cases involving violent murder or injury increases the public’s fear. However, fear of sexual violence has yet to be treated as a matter of interest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aims to strengthen the understanding and bring up new points of discussion regarding the role that fear of sexual violence should have in responding to sexual violence.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female university students, a relatively accessible group that also belongs to a highly targeted age-group when it comes to sexual violence. The study reflects the results of surveys conducted with 918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5 conclusions could be made based on the research. First, women experience fear of sexual violence in their daily lives in various forms, and their fear is focused on stranger rape. Second, the fear of sexual violence is closely linked to the perception regarding sexual violence, and is mostly focused on rape. Third, fear of sexual violence is created under the influence of excessive fear of the consequences of rape as well as media coverage and society’s perception of sexual violence, rather than being derived solely from sexual violence itself. Fourth, fear of sexual violence influences everyday lif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as well as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The possibility of sexual violence becomes a reason for daily fear, contracted or exaggerated evasive behavior, curfew, and restriction of independent activities. Fifth, most of our respondents focused on evasive behavior because of their fear while few had made active efforts to actually overcome their fear. The dominant belief was that since sexual violence was not something that could be overcome through women’s efforts or abilities, the only solution was to avoid all situations that could potentially lead to experiencing sexual violence.
    Fear of sexual violence is influencing the live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many ways.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examine inappropriate or excessive media coverage as well as measures that reinforce women’s victim mentality and dependency regarding sexual viol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여성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