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라캉의 이미지론에서 지젝의 영화론으로 : 미혹의 스크린, 혹은 베일과 가면의 은유에 관한 고찰 (From the Lacanian Image Theory to the Zizekian Film Theory:A Study on the Luring Screen, or the Metaphor of Veil and Mask)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2 최종저작일 2013.08
30P 미리보기
라캉의 이미지론에서 지젝의 영화론으로 : 미혹의 스크린, 혹은 베일과 가면의 은유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정신분석 / 15권 / 1호 / 7 ~ 36페이지
    · 저자명 : 김소연

    초록

    르네상스 시기에 비로소 인간은 신의 편재적 시각을 대체하는 주체적 시각의 담지체가 될 수 있었으며 원근법은 그 기술적 토대가 되었다. 그런데 라캉은 원근법이 데카르트적 코기토에 입각한 시각체제였다는 통념을 반박하면서 이 시기의 회화 기법이 사영 기하학에 기초한 “전도된 원근법”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고전 기하학과 달리 사영 기하학은 소실점과 흡사한 투영의 꼭짓점으로서의 무한 원점을 도입하는데, 라캉은 이 무한점이란 응시하는 주체가 시각장에 사로잡히게 되는 점이라고 이해했다. 아울러 라캉은 좌표화도 재현도 불가능한 저 무한점과 관계하는 시각성은 ‘응시’로, 소실점과 관계하는 시각성은 ‘시선’으로 개념화함으로써 근대적 시각성이 응시와 시선 사이에서 분열될 수밖에 없음을 밝혔다. 이때 ‘스크린’은 그림과 광점, 시선과 응시, “세계와 주체 사이에” 놓여 응시의 차원을 가리면서 가리키는 기능을 하는, 베일이나 가면과 같은 것이라고 설명되었다. 한편 지젝은 라캉의 회화론을 영화 분석에 도입하면서 스크린을 인터페이스-스크린 개념으로 확장한다. 그는 특히 고전적인 봉합 효과가 작동하지 않게끔 인터페이스-스크린이 개입할 때 발생하는 효과에 주목한다. 이는 숏과 역 숏이 한 화면 안에 응축되는 경우, 실재의 층위로 연결해가는 트래킹, 시선 교환의 논리 바깥에 방임되는 숏, 비가시음성체의 존재 등 다양한 사례로 예증된다. 나아가 지젝은 영화이론의 비정치화 경향을 경계하면서 ‘구체적 보편성’ 개념을 통해 인지주의적 영화론을 공박한다. 이와 같은 “개별자에서 보편자로의 직접적 도약”은 시선에서 응시로의 관점 전환과 상통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During the Renaissance Period, human beings, on the technical ground of perspective, could be the subject of vision which substitutes the omnipresent divine vision. Lacan, disputing the perspective was the regime of vision for the Cartesian cogito, asserted that the picturing technics in this period was based on the projective geometry, which introduced the infinite point where the gazing subject was supposed to be captured and lured in the visual field. In addition, he conceptualized the vision related to the unmappable and unrepresentable infinite point as ‘the gaze’ and the vision related to the vanishing point as ‘the look’ and claimed that the modern vision has been divided between these two levels of vision. Here, ‘the screen’ is like a veil or a mask with the function of both indicating and masking the dimension of gaze, being put between and the picture and the point of light, the look and the gaze, and "the world and the subject".
    Applying the Lacanian theory of vision developed with the exemplary pictures to the analysis of films, Zizek extended the concept of screen to the interface-screen. In particular, he noted that the effect created by the interference of interface-screen, making the classical suturing effect not work in alternating the subjective shot and the objective shot. The examples are: when the shot and the reverse shot are framed together; when the tracking shot moves to the element of the real; when a shot is freed from the point of view; the voice of acousmêtre. Consequently, Zizek gives a caution against the tendency of depoliticization of film theories, especially the rising cognitivist approach. Depending on the notion of particular universality, "the direct leap from the individual to the universal" could be understood as the shift from viewpoint of the look to the gaz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정신분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