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성의 악보 형성 및 그 전승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Geomungo Music by Jo Seong(趙晟))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0 최종저작일 2013.06
30P 미리보기
조성의 악보 형성 및 그 전승에 관한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53권 / 49 ~ 78페이지
    · 저자명 : 양승경

    초록

    조선시대 거문고는 선유들의 청고한 이념과 자기성찰을 담는 그릇이었다. 실천적 수양방법에 의한 탄금과 금보 제작은 당시 거문고 음악에 관계된 학문적 대상인식을 명료하게 인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무된다. 특히 저자와 연대가 분명한 고 금보는 후대에 제작된 금보의 새로운 음악적 사실들을 밝히는데 참고자료가 된다.
    중종․명종대 금보의 적통을 이어온 조성금보는 음악사적으로 크게 조명 받지 못하였다. 조성의 악보로 『금보』(송씨이수삼산제본) 등에 실린 <만대엽>이 유일하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득윤(1553∼1630)의 『현금동문유기』에는 조성의 것으로 보이는 <낙시조 만대엽>․<조현음> 등이 다수 수록되어있어 주목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현금동문유기』에 실린 조성의 새로운 음악들을 확인하고, 동시에 그의 음악과 관련된 부대 악론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현금동문유기』에 전하는 다양한 조성의 악보들에 대해서는 『금합자보』의 <평조만대엽> 외에 『현금동문유기』에 실린 <평조 장대엽>․<조현곡일장> 등 새로운 안상 악보들을 참고하여 추론하여 보았다. 그리고 ‘조성보’로 명기된 ‘용발취성지도’의 수법과 『금보』의 수법조에 나타나는 차이에 대해서도 역시나 『금합자보』 이후에 ‘모지자출’ 등 악율 진행의 필요에 따라 구가한 안상(1511~1576) 이후의 새로운 수법부호 들을 참고하여 이해를 구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현금동문유기』 소재의 「조성금보」가 제작된 시기를 고증하였다. 지금까지 「조성금보」의 제작 시기는 그의 卒(1555) 이전으로 막연히 짐작되었을 뿐이다. 본고에서는 「조성금보」의 제작시기를 가늠할 수 있는 「양심당문집서」․『관원일록』의 등을 살펴본 결과 늦어도 1540년(조성 나이 48세) 이전에 조성의 금보가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었다.
    한편 『금보』에 수록된 <만대엽>과 <만대엽 고조>의 관계가 미제로 남아있었다. 그 이유는 <만대엽>에 표기된 “만대엽 고조 조성보개출어차”의 해석을 객관화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는 한문학적인 방법의 해석과 함께 조성의 <만대엽>과 관계된 <평조 만대엽 고조>․<만대엽 고조>․<만대엽 조성보>를 비교하여 <만대엽 고조>가 조성의 악보이고, 또한 위의 세 악보가 동일한 악보로써 평조의 정체를 가진 곡들임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만대엽 고조>와 <만대엽 조성보>는 조성 당대의 악보를 모본으로 삼아 『양금신보』(1610) 이후에 새로운 형태로 제작된 것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결국 조성의 악보로 간주할 수 있는 <평조 만대엽 고조>가 시대를 거치면서 평조의 정체를 지닌 <만대엽 고조> 및 <만대엽 조성보>로 제작되었고, 이어 『남훈유보』․『인수금보』․『남훈유보』․『박기환 소장금보』의 <만대엽 조성보>로 변화해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No serious attempt has been made so far to investigate in depth geomungo music by Jo Seong(趙晟), though it best embodies Geomungo musical legacy and traditions during the reigns of King Jungjong and King Myeongjong(1515~1551). Up to now, scholars have focused only on his Mandaeyeop score(慢大葉) reprinted in Songsshi Geumbosamsanje Manuscript Geumbo (宋氏二水三山齊本琴譜, hereinafter “Geumbo”). This study attempts to further explore his musical world by studying the scores attributed to Yangshim-Dang(養心 堂, Jo’s nom de plume) collected in HyeongeumDongmunYugi (玄琴東文類記, hereinafter “Hyeondong”). These scores, collated at the end of Hyeondong, include Johyeoneum or Dashirim (調絃音), Nakshi-Jo Mandaeyeop(樂時調 慢大葉), Pyeong-Jo Bukjeon (平調 北殿) and Pyeong-Jo Soyeop (平調 小葉). Furthermore Mandaeyeop Go-Jo(慢大葉 古調) and Mandaeyeop both in Geumbo are compared and analyzed in order to reveal a full picture of Jo Seong’s Mandaeyeop.
    In Hyeondong, there are two different passages explaining notations representing various techniques of Geomungo, one titled Yongbal Chweeseong Ji Do (用撥取聲之圖) under the chapter “Jo Seong’s Geum-Bo (趙晟 琴譜)” and the other under “Geum-Bo by Jo Seong (琴 譜-趙晟 別號 養心堂).” The latter shows notations not found in YongbalChweeseongJiDo such as those for techniques involving the thumb and the forefinger. The reason for this difference can be understood by referring to Ahn Sang’s (安瑺) Pyeong-Jo Jangdaeyeop (平 調長大葉) and Johyeon-Gok Ⅰchapter (調絃曲一章). Variety of new notations begins to appear in Jo’s later music composed after his Mandaeyeop. Jo must have created these notations to better express his musical ideas. In Ahn Sang’s music, some notations as Jachul (自出) and Yeok-Chuseong (逆推聲) only found in Geumbo are used. That Ahn Sang makes use of these new technical notations in his music shows the influence that Jo Seong must have had on later generations of musicians.
    It is clear from the scores and the musical discourses accompanying them in Hyeondong that there did exist a compilation of Geumungo mjusic by Jo Seong before his death in 1555. Up to now, however, no information was available to narrow down the date, other than “before Jo’s death.” For dating of the compilation, his Collected Writings [文集] is looked into in detail. The Writing contains pieces referring to his work on the Compilation.
    From them,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Compilation was completed by 1540 at the latest when Jo was 48 years old.
    There is an issues still unresolved with reference to Jo’s Mandaeyeop. A passage in Geumbo explains “慢大葉 古調 趙晟譜盖出於此.” This has been subject to various interpretations. “古調” and “盖出於此” are in smaller letters than “慢大葉” and “趙晟譜.” In the tradition of classical Chinese writing, words in large letters take precedence over those in small letters. The passage should then be interpreted as Mandaeyeop Go-Jo came from Jo Seong’s musical Compilation. To verify this point, Mandaeyeop Go-Jo and Mandaeyeop both in Geumbo are compared against Pyeong-Jyo Mandaeyeop Go-Jo in Hyeondong published during Jo’s generation, in terms of such characteristics as melody and publication dates. It seems that both the pieces probably were not copied from the original or from reprints available during Jo’s lifetime. Rather they are later versions, sometime after the publication of YangGeumShinbo(梁琴新譜) in 1610.
    Our historical investigation of Manaeyeop leaves no doubt that Mandaeyeop Go-Jo came from Jo’s Compilation. Moreover Pyeong-Jo Mandaeyeop Go-Jo in Hyeondong, Mandaeyeop Go-Jo in Geumbo and Mandaeyeop in Geumbo are scores of the same musical piece. Pyeong-Jo Mandaeyeop Go-Jo, the original score composed in the 16thcentury, go through change safter the 17th century in the form of Mandaeyeop Go-Jo in Geumbo in 10-JeongGan(井間) form at and in Pyeong-Jo(平調). Later, this version is further re-edited, as reflected in Mandaeyeop in Geumbo, in Pyeong-Jo and in 16-Jeonggan GeumgHapjabo(琴合字譜) format which records lyrics, geomungo music and accompanying wind instrument music side by side. Jo, Seong’s Mandaeyope has been reprinted over the centuries in such compilations as NamhunYuBo(南薰遺譜), InsuGeumBo(仁壽琴譜), GyeongdaeGeumBo(慶大琴譜) and Geum-Bo in Park Gi-Hwan collection(朴基煥所藏琴譜).
    These reprints are versions of the same musical piece differing somewhat in melody and Jeonggan format. These differences, reflecting the different times when these compilations were edited, show revisions that the piece had received over the years. They are all in Pyeong-Jo and in Sam-Ji [三指, 林․南․黃․太․姑] with Lim(林) as its key note(宮) with its fingering position at the 5th fret of Daehyeon(大絃).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Mandaeyeop Go-Jo in Geumbo and Pyeong-Jo Mandaeyeop Go-Jo in Hyeondong has been investigated in detail. However, the connections that Hyeondong’s Pyeong-Jo Mandaeyeop Go-Jo “as recorded by Park Geun” (朴謹所傳) have with Jo Seong have not been touched upon which, it is hoped, will be further investigated as a subject of another study.
    “It is meaningless to be tied down in the things of the past but it is more so if one ignores them. For these things of the past are the very thing that drives the new th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