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현대사회의 건강정보는 미디어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형태로 다양한 채널을 통해 대중에게 제공되고 있다. 특히 미디어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건강정보의 증가는 대중의 건강과 관련된 의식과 가치, 태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미디어의 특정 건강정보는 다양한 인구집단이 필요로 하는 건강 정보를 생략하거나, 때로는 특정집단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왜곡된 건강정보를 전달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미디어의 질병과 건강정보에 대한 잠재적 사실 오도에 대해 Kline(2009)는 건강 이슈가 프레이밍되고 있음을 지적한다. 미디어의 특정 건강정보는 관련된 이해집단에 의해 선택되고 배제되며 부각되는 프레이밍을 통해 편향된 정보를 전달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회의 질병보도에 있어 특정 정보가 부각되고 생략되며 왜곡된 경향이 있는지를 살피고, 이러한 현상을 건강이슈의 미디어 프레이밍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미디어의 질병 프레임 작용이 수용자들의 특정 질병에 대한 언론 프레임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 보건커뮤니케이션과 프레임 연구
1) 뉴스 프레이밍과 질병보도
프레이밍이란 메시지를 구성하고 이해하는데 필요한 규칙들로 파악할 수 있다(Bateson, 1972 Maher, 2001). 이러한 프레이밍에 대한 연구들은 프레임의 구축과 프레임 설정의 측면에서 연구되어 왔으며(Tewksbury & Scheufele, 2009), 공통적으로 프레임이 현실을 구성하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프레임 구축의 측면에서 미디어 프레임 연구는 프레임이 다양한 사회적 맥락과 배경, 다양한 집단의 경쟁관계 속에서 형성되며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하며, 종속변수로서 프레임의 형성과정에 대해 연구한다. Gamson & Modigliani(1989)는 프레임을 내적 구조를 가진 미디어 패키지로서, 특정 이슈에 의미를 부여하는 해석적 패키지로 정의하며 프레임이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더욱 관심을 가졌다.
· 김선남(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한국방송학보 16(2), pp. 41~76.
· 김수정·조은희(2005), 생명과학에 대한 한국과 미국의 뉴스 프레임 비교연구, 韓國言論學報 49(6), pp.5-546.
· 김성애·이종혁(2011), 뉴스 프레임과 수용자 스키마 일치가 프레이밍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5(2).
· 김성재·유명길(2010), 메시지 프레이밍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조절초점과 제품유형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 논문 10(8).
· 김수진·차희원(2009), 공중유형과 메시지 프레이밍이 건강위험 커뮤니케이션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분노행동주의모델(Anger Activism Model)의 적용, 한국언론학보 53(2).
· 김원용·이동훈(2004) 신문의 보도 프레임 형성과 뉴스 제작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48(4).
· 김원용·이동훈(2005), 핵폐기장 중심 원자력 관련 보도에 나타난 매체별 갈등보도의 프레임 비교연구, 한국방송학보, 19(4).
· 김준홍·김유석·김승현(2010), 헬스 커뮤니케이션에서 프레이밍 학술문헌의 메타연구, 커뮤니케이션 이론 6(1).
· 나은경·송현주·김현석·이준웅(2008), 정서의 프레이밍: 경제 뉴스 보도 기사의 정서 반응 유발 효과, 한국언론학보 52(2), pp.378~451.
· 남인용(2001), 광고주 유형, 메시지 유형, 자기 검색도, 관여도가 공익광고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46권 1호, pp.116-146.
· 박노일·한정호·홍기훈(2007), 여성 정치후보자의 미디어 프레임에 따른 남녀 수용자 인식 차이 연구, 한국언론학보 51(2).
· 박경숙(2002), 집단 갈등 이슈의 방송 뉴스 프레임 분석- 의약 분업
· 뉴스 프레임을 중심으로, 韓國言論學報 제46(2), pp. 5-706.
· 박동진·이진우(2010), 헬스커뮤니케이션 캠페인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소화.
· 박정의(2003), 의학보도가 공중의 인지.감성.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47(5)
· 박성희(2006), 위험보도의 위기구축 기제 프레임 분석: 식품안전 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35, pp 181~201.
· 박정의·이상규(2002), 암 관련 보도의 적절성 분석, 터뮤니케이션학 연구, 10(2)
· 박정의·손명세 (2001),『공중보건과 의학보도』, 서울: 한국언론재단.
· 배현석(2006), 감정 및 이슈 관여가 각막기증 의향에 미치는 효과 예측 모델: 정교화 가능성 모델 및 계획된 행위 이론을 중심으로, 방송연구 여름호, pp. 273~301.
· 송해룡·김원제·조항민(2005), 과학기술 위험보도에 관한 수용자 인식 연구: GMO(유전자변형식품)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49(3).
· 이건혁(2002), 미디어 프레임이 부정 감정, 정치 냉소, 그리고 정치 효능성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한국언론학보 46(3), pp.5~482.
· 이귀옥·이민규·김수정(2006), 호주제 폐지에 대한 뉴스 프레이밍 비교연구,『한국언론정보학보』, 34(3), pp.132~162.
· 이은택·노성종·최은경·강충구(2009), 비만의 사회적 구성, 한국 언론의 비만보도 20년(1990~2009) 분석, 한국언론학회 54(2).
· 이서정·현명호(2008),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한국 심리학회지: 건강』, 13권4호, pp.887~905.
· 이준웅(2005), 정책에 대한 뉴스 프레임의 형성과 해석적 프레임의 구성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하보 49(1).
· 이종민·류춘열·박상희(2007), 광고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에 관한 연구: 개인적 관여도와 상황적 관여도의 역할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 언론학보, 51(3), pp.282∼307.
· 양정혜․이현주(2005), 텔레비전 뉴스와 젠더질서: 성매매방지법 보도의 프레이밍 분석.『한국방송학보』, 19(2), pp.378~418.
· 우형진(2007), 텔레비전 뉴스 시청이 시청자의 건강증진 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한국 언론학보』, 51(2), pp.308~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