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SILVER
SILVER 등급의 판매자 자료

코로나 사태로 비대면 동영상 수업을 수강한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13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3.05.22 최종저작일 2022.11
13P 미리보기
코로나 사태로 비대면 동영상 수업을 수강한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소개

    간호연구과목과 관련된 논문 연구주제를 선정해서 다시 연구한 것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Ⅱ. 문헌고찰
    1. 비대면 수업
    2. 자기효능감
    3. 학업성취도
    4. 대학생활 적응

    Ⅲ. 연구 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도구
    3. 연구대상자
    4. 자료수집방법 및 기간
    5. 자료분석방법

    Ⅳ. 기대되는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성취도 수준, 학업적 자기효능감, 대학생활 적응수준
    3. 대학생활적응,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관계

    Ⅴ. 느낀점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2019년에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는 전 세계로 확산되어 지금까지도 유행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사회, 경제, 문화 등 각 분야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그중 교육 분야도 큰 변화를 겪고 있는데 대학도 예외는 아니다. 대학들은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기존의 대면 수업을, 온라인을 활용한 비대면 수업으로 바꾸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였다. 하지만, ‘사회적 거리두기’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효과적인 비대면 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랐다. 무엇보다 교실에서의 강의식 수업에 익숙했던 교수들은 새로운 온라인 시스템을 활용한 비대면 수업을 해야 하고, 수업 준비를 위해 과거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학은 비대면 강의를 할 수 있는 정보통신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많은 재원을 투자했지만, 학생들은 대면 수업과 비교해서 비대면 수업의 질이 낮다고 불만을 토로하고 있는 실정이다. 세계 다른 나라들과 비교할 때 우리나라는 세계적 수준의 정보통신기술을 갖추고 있어 비대면 교육을 위한 진입 장벽이 비교적 낮은 편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정보통신기술을 교육에 효과적으로 반영하지는 못하고 있다. 비대면 수업은 감염에서 안전할 수 있고 수업을 원하는 장소에서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심리적 부담감 없이 편하게 들을 수 있다. 또한, 학습 자료에 대한 접근성이 높다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실시간 소통의 어려움이 있고 사회적 관계 형성의 기회가 부족하다는 단점도 있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Hayat et al., 2020)[1].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생이 성취하고자 하는 결과를 이룰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으로서 학습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의미한다. (Hayat et al., 2020; Schunk & Ertmer, 2012; Glanz, Rimer, & Viswanath, 2008)[1][2][3].

    참고자료

    · Hayat, A.A., Shateri, K., Amini, M. et al.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related emotions, and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ies with academic performance in medical student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MC Med Educ 20, 76 (2020). https://doi.org/10.1186/s12909-020-01995-9
    · Schunk, Dale & Ertmer, Peggy. (2012). Self-regulation and academic learning: Self-efficacy enhancing interventions.. Handbook of Self-Regulation. 10.1016/B978-012109890-2/50048-2.
    · Glanz, K., Rimer, B. and Viswanath, K. (2008) Health Behaviou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4th Edition, Jossey-Bass, San Francisco.
    · 안성미 (2020), 코로나19 원격 교육에서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 성향, 문제해결능력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육복합연구,18(10), 315-323.
    · 한수정, 김혜원 (2018),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함, 자아탄력성,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Giver, Taker, Matcher를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4), 461-467.
    · 교육격차 확대 우려, 공교육이 제 역할 찾아야. http://www.keri.org/web/www/issue_04?p_p_id=EXT_BBS&p_p_lifecycle=0&p_p_state=normal&p_p_mode=view&_EXT_BBS_struts_action=%2Fext%2Fbbs%2Fview_message&_EXT_BBS_messageId=356137에서 인출.
    · 김희정 (2017),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학생 상호작용, 자기주도학습, 대학 몰입의 경로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9(1), 40-50.
    · 한미현 (2017),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정보통계학지, 42(1), 36-43.
    · 김상남(Kim Sang Nam).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비대면(on-line) 수업의 내용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2020): 477-491.
    · 박정규, 대학생 10명 중 4명 "비대면 수업 선호", 뉴시스, 2021.08.26,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826_0001561891
    · M. S. Lee, H. S. Choi & E. M. Yeon. (2019).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potential personality traits based on 5 factors of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university life dapt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20(3), 71-81
    · S. J. Kwon. (2018). The effect of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and anger rumination of college students on college life adapta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anger experience and anger expression, Korean Journal of Child sychotherapy, 13(3), 1-19.
    · J. H Kim. (2007). College life adaptation of a college student's child who is an alcoholic. A doctoral dissert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Seoul.
    · R. W. Baker & B. Siryk. (1984).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2), 179-189.
    · 문희정 (2018). 전문대학 항공서비스 전공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 척도 개발및 타당화 연구. 관광레저연구, 30(11),75-94.
    · 이종만 (2020). 코로나19 원격 교육에서 외로움과 유튜브 과다사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7), 342-351.
    · 김아영, 박인영 (2001).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39(1), 95-123.
    · 조수용 (2015). 대학생의 자기 지향적 완벽주의와 시험불안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정서적 지지의 조절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임진호 (2007). 초등학생의 e-러닝에서 인지된 효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 모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Sun, P. C., Tsai, R. J., Finger, G., Chen, Y. Y., & Yeh, D. (2008). What drives a successful e-Learning? An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critical factors influencing learner satisfaction. Computers & Education, 50(4), 1183-1202.
    · Eom, S. B., Wen, H. J., & Ashill, N. (2006). The determinants of students' perceived learning outcomes and satisfaction in University online education: an empirical investigation. Decision Sciences Journal of Innovative Education, 4(2), 215-235.
    · 김정주 (2009). 원격고등교육에서의 사회적 실재감 측정도구 개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자료후기

      Ai 리뷰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학습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