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Compressed sensing을 적용한 뇌 확산 텐서 영상 복원 정확도의 정량적 평가 방법 제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4.05 최종저작일 2015.12
9P 미리보기
Compressed sensing을 적용한 뇌 확산 텐서 영상 복원 정확도의 정량적 평가 방법 제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 / 25권
    · 저자명 : 이유미, 김세영, 김윤국, 임재식

    목차

    I. 서 론
    II. 대상 및 방법
    1. 기간 및 대상
    III. 결 과
    IV. 고찰 및 결론
    Ⅴ. References

    초록

    목 적 : 의료영상평가의 특성상 전문가의 정성적인 평가에 의존함에 따른 비용과 시간의 제약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MR 확산 텐서 영상에 Compressed sensing 기법을 적용하여 복원한 영상과 원본 영상과의 정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fiber tract을 수치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변수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정량적 평가 방법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4년 3월부터 5월까지 본원에 내원한 환자 중 평균 나이 53.8 ± 15세(남성 3명, 여성 2명)의 뇌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들에 대해 3.0T MRI(Archiva, Philips medical system, Netherlands)를 사용하여 뇌 MR 확산 텐서 영상을 얻었다. 획득한 원본 확산 텐서 영상들은 Compressed Sensing기법을 이용하여 under-sampling 후 영상복원의 정도(reduction factor)를 달리하여 재구성하였다. 각 신경 섬유 다발 영상들의 Fiber statics를 분석하여 신경 섬유의 총 개수, 한 단위 복셀 당 신경 섬유의 개수, 확산 텐서 영상에서 비등방성을 나타내는 고유의 값인 FA, RA, VR값과 평균 확산 계수(Mean Diffusivity), Radial Diffusivity, Eigen Value, Tensor Trace로 총 9개의 변수 값을 구하였다. 정성적 분석은 영상의학과 판독의 1명, 5년 이상 MRI 근무 경력이 있는 방사선사 4명에게 원본 영상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복원 영상이 진단적 가치가 있는지를 매우 양호하지 않다(1), 양호하지 않다(2), 보통(3), 양호하다(4), 매우 양호하다(5)의 항목으로 나누어 각각의 영상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하였다. 정성적 분석 결과와 변수들의 값을 회귀 분석을 통해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식을 도출하였다.
    결 과 : 25개의 training/test dataset에 대한 각 변수에 대한 가중치들을 회기 분석하여 구한 값을 통해 구한 test dataset의 정량적 분석과 전문가 집단의 정성적 분석과의 오차는 평균 19%를 보였으며 이 가중치 값들을 바탕으로 뇌 MR 확산 텐서 영상의 고속화에 다른 정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법의 식을 얻을 수 있었으며 평균 11%의 오차율을 보였다. 또한 sample data 수를 증가하여 결과를 예측해 보기 위하여 붓스트랩을 적용하여 15개의 복원된 뇌신경 섬유 영상의 원본과의 차이를 나타낸 변수 값들의 데이터를 training set으로 정하여 410개의 sample data를 바탕으로 구해진 가중치들의 값을 통해 얻은 식은 평균 7%의 오차율을 보였다.
    결 론 : 전문가들의 정성적 평가에서 5명 모두 동일한 의견을 나타냈을 때는 8%에 지나지 않았으며 각 영상의 정성적 평가 평균값과 다른 의견을 보인 전문가들의 오차율은 평균 36%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11%와 7% 오차율은 전문가들 중에서 이견을 보일 수 있는 오차율 보다 작아 허용 가능한 범위에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 두 식은 정확도를 평가하는 데 있어 정성적 평가방법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정량적 평가의 정확도를 좀 더 높이기 위해서는 오차를 줄이기 위해 더 많은 training/test dataset의 실험을 추가하여 개선해 나아가면 될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Purpose : To solve the problem with the constraints of cost and time in accordance with the qualitative assessment as dependent on the nature of the medical professional image evaluation, In this study, in order to assess quantitative the accuracy of the original image and the compressed sensed reconstruction image in MR diffusion tensor imaging, we analyzed the correlation of the fiber tract variables that can numerically represent and present the standard method for quantitative evaluation.
    Materials and Methods : March to May 2014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in our hospital 53.8 ± 15 years (three men , two women) for patients with suspected disease of the brain, using 3.0T MRI(Archiva, Philips medical system, Netherlands) MR diffusion tensor imaging of brain was obtained. The original diffusion tensor images were acquired after the under-sampling techniques were reconstructed using the Compressed Sensing method by varying the degree of image reconstruction with reduction factor. Fiber statics analyzes of individual nerve fibers image. And a total of nine variable’s values were calculated; The total number of fibers, The number of fibers per unit voxel, FA, RA, VR, Mean Diffusivity, Radial Diffusivity, eigen value, Tensor Trace. Qualitative analysis was evaluated by one Radiologist and four radio-technologists over 5 years working experience with MRI whether the diagnostic value of the reconstructed image in comparison with the original image; Is not very good (1 point), which is not good (2 points) and normal (3 points) and it is good (4 points) and is extremely good (5 points).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s of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variables were derived through regression equation.
    Results :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test dataset error of regression weights for each variable was determined value for the 25 training / test datasets have showed an average of 19%. It based on the weight values and could be obtained a method for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expression the accuracy of MR tensor imaging of brain compressed sensing technique. Showed an error rate 11%. In order to predict the results also increase the number of sample data. By applying the bootstrap thought and expression were then obtained from the values of the weighted sample data obtained on the basis of 410 appointed 15 fibers of the reconstructed image data of variables represen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e original training set. Showed an error rate 7%.
    Conclusion : In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experts when all five people that the same opinion was on 8% Qualitative assessment of the experts mean and error rates showed differing opinions of each image was 36% Thus, 11% and 7% error rate of this study is smaller than the error rate, which can be seen disagreements among experts Appears to be in the acceptable range There are two expressions for evaluating the accuracy seems to be enough to replace the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 However, in order to reduce the error to further increase the accuracy of some quantitative assessment Improved by adding more experimental training / test dataset seems to be further surfac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