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외르크 임멘도르프(Jörg Immendorff, 1945-2007)의 <카페 도이칠랜드 Café Deutschland>(1978-1982)연구: 임멘도르프의 자화상을 중심으로

2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4.05 최종저작일 2016.12
28P 미리보기
외르크 임멘도르프(Jörg Immendorff, 1945-2007)의 <카페 도이칠랜드 Café Deutschland>(1978-1982)연구: 임멘도르프의 자화상을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문화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문화비평 / 7권
    · 저자명 : 조연성

    목차

    Ⅰ. 서론
    Ⅱ. 임멘도르프와 ≪카페 도이칠랜드≫의 탄생
    1. 임멘도르프의 생애와 작업경향
    2. 1970-1980년대 독일의 상황과≪카페 도이칠랜드≫
    Ⅲ. 분단의 증인 : 자화상
    1. 사회적 예술가
    2. 또 다른 자화상: 동독 펭크와의 만남
    Ⅳ. 결론
    참고문헌

    초록

    본 논문은 외르크 임멘도르프(Jörg Immendorff, 1945-2007)의 회화 <카페 도이칠랜 드 Café Deutschland>(1978-1982) 연작에 나타난 임멘도르프의 자화상을 통해 당대 독 일의 시대상을 알아 볼 수 있는 연구이다. 임멘도르프는 독일 서독 태생의 작가이며 신 표현주의(Neo-expressionism) 화파의 대표적인 화가이다. 임멘도르프는 뒤셀도르프 아 카데미(Düsseldorff Academy)시절 스승인 요셉 보이스(Joseph Beuys, 1921-1986)로부 터 서독 자본주의와 물질주의의 지배에 대한 비판의식에 강한 자극을 받아 서독 자본주 의 이면에 팽배한 모순적 현상에 대해 주목하게 된다. 이러한 의식 아래 임멘도르프는 정형화된 예술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기존 사회 체제를 비판하는 반(反)예술 성향의 사 회 운동가적 퍼포먼스를 펼치며 대중사회에 자신의 이념을 전달하였다. 또한 임멘도르 프는 분단된 독일 사회에도 깊은 관심을 가지고 1976년부터 동독 작가 펭크(A.R.Penck, 1939-)와 교류하게 되었다. 이후 1978년을 기점으로 회화 <카페 도이칠랜드>에서 냉전 후 동독과 서독으로 분리된 혼란한 독일의 모습을 혼잡한 카페(café)라는 독일 사회의 축소판으로 설정하였다. 이렇듯 임멘도르프는 사회적 문제점들을 다양한 상징적 요소들 을 사용함으로써 예술이 사회 변혁을 이룰 수 있는 도구로 보았으며, 예술과 사회가 통 합된 삶을 이룩하기를 원하는 일종의 사회적 예술가의 사명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임멘도르프는 <카페 도이칠랜드>의 역사적 함의를 강조하기위해 실제 당대 독일에서 일어난 사건들을 겪은 본인의 자화상을 다양한 모습으로 <카페 도이칠랜드>에 표현했 다. 이와 같은 점은 <카페 도이칠랜드>가 시대상을 투영함으로써 역사적 가치를 가지는 동시에 그 시대를 직접 경험한 임멘도르프 개인의 일대기적인 회화라고도 볼 수 있다. 따라서 임멘도르프는 <카페 도이칠랜드>에 다양한 본인의 자화상을 직접적으로 화면에 등장시킴으로써 그가 예술가로서 실행할 수 있는 정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깊은 고심과 사회의 부조리에 맞서는 모습들을 캔버스에 생생히 표출했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bout Jorg Immendorff(1945-2007)’s <Café Deutschland>(1978- 1982) series. Immendorf was a West German artist, who was born when after the World War II, also known as a painter who led the school of neo-expressionism. Immendorff paid attention to the overwhelming contradictory phenomenon which was hidden beneath West German capitalism society and the overall German Society which was divided and separated. He dealt with pressing social issues in his work and carried a sense of duty as a social artist that strives to achieve a life integrating both art and society. Immendorff’s consciousness was strongly stimulated by the critical consciousness of social sculpture Joseph Beuys(1921-1986), his teacher during his time at Düsseldorff Academy, who was against the domination of West German capitalism and materialism. Under the influence of Bueys, Immendorff conveyed his ideology to the masses by displaying anti-art inclined social movement performances which criticized the existing social system, breaking away from standardized art. Immendorff became deeply interested in the reality of the German division while interacting with the East German artist A.R. Penck (1939.10.5.-) from 1976. Subsequently, starting from 1978, he expressed the appearance of a chaotic German society divided between East and West since the Cold War in his painting <Café Deutschland>(1978-1982) as a microcosm of German society in the image of a busy café. Furthermore, Immendorff expresses the political issues of the day in German society by using the various symbolic elements in his paintings. Especially, Immendorff expresses his self-portrait in <Café Deutschland> in terms of the historical German events that he himself experienced in order to emphasize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Café Deutschland>. Such characteristics allows <Café Deutschland> to be regarded as a biographical painting of Immendorff himself. Therefore, by presenting various self-portraits directly in the picture of <Café Deutschland>, he has vividly expressed in the canvas his deep concern on his sociopolitical role as an artist and the image of standing against social irrational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문화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