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총체정보예술로서의 무용에 관한 고찰 - 윌리엄 포사이드의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를 중심으로

2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4.05 최종저작일 2013.12
21P 미리보기
총체정보예술로서의 무용에 관한 고찰 - 윌리엄 포사이드의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를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무용기록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무용기록학회지 / 31권
    · 저자명 : 이지선

    목차

    국문요약
    I. 서 론
    II. 총체정보예술: 디지털 매체 시대 예술의 통합
    III. 윌리엄 포사이드 작품사례 분석
    1. 포사이드의 원작과 안무에 대한 이해
    2. 작품 창작 및 감상 과정 분석
    3. 총체정보예술 특성 논의
    IV.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본 연구는 바그너의 총체예술 개념에서부터 정보예술의 개념에 이르기까지 총체정보예술 개 념의 구성적인 틀과 그 특징을 도출하고, 현대 무용사례인 윌리엄 포사이드의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2009)를 논의대상으로 작품 속에 드러나는 총체예술적 속성과 매체미학적 의미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포사이드의 작품은 2000년도 그가 무대버전으로 창작한 것을 온라인상의 정보예술의 형태로 발전시킨 것으로 무용수의 춤추는 신체 없이도 신체적 사고가 가능하다는 포사이드의‘안무 오 브제’개념을 예증해주는 작품이다. 총체정보예술로서 포사이드의 작품은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의 매체미학적 논의를 불러일으킨다. 첫째, 작품 속에서 실현되는 춤 움직임의 데이터화는 모션캡처와 같은 동작감지기술이 단순한 춤의 양적 외형적 데이터를 추출해내는 것과 달리 춤에 내재된 비가시적 요소 특히 질적인 속 성을 드러내며 춤에 내재된 안무적 사고와 지식의 영역을 가시화한다. 둘째, 디지털화된 춤 정보는 형태적으로 매우 무관해 보이는 20가지의 시각적 오브제로 표현 되지만 본질적으로는 하나의 춤 정보로부터 발생된 동기발생물이다. 셋째, 웹을 기반으로 한 작품으로서 춤의 선형적 전개방식을 해체하고 관객은 예술가가 정해 놓은 느슨한 의미의 틀 안에서 자신만의 해석을 완성해 나아간다. 넷째, 네트워크망을 기반으로 전통적인 관조적 예술감상 방식에서 분석적인 방식으로 작품을 감상하고 몰입한다. 종결된 작품으로서가 아니라 감각적 형태를 지속적으로 변화시키고 창조해 가는 생태학의 논리가 발견된다. 다섯째, 총체정보예술로서 포사이드의 작품은 단순히 춤 데이터의 재생산이 아닌 춤을 중심으 로 하는 새로운 매체작품의 탄생과 예술의 통합을 주도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conceptual frame of Gesamtdatenwerk and its characteristics from R. Wagnerʼs Gesamtkunstwerk to information art concept and to interpret whole artistic quality and media aesthetics meanings of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2009) by William Forsythe, which is a modern dance example as an object of discussion. This Forsytheʼs work was adopted as a form of information art in online from the stage version he created in 2000. It is a good example of the concept of Forsytheʼs choreographic object, which is one can have a physical thinking without a dancing body. Forsytheʼs work as Gesamtdatenwerk brings following five discussions in a media aestheticsʼ point of view. First, making data of dancing motion performed in the work shows invisible underlying factors in dance, especially qualitative characteristics and also visualizes dancing thoughts and knowledge area hidden in dance. It is different from simply analyzing external and quantitative data by movement sensing technology such as motion capture. Second, digitized dance information is ultimately synchronous object from one dance information although it is expressed with 20 visual objects that look formally irrelevant. Third, as a web based artwork, it disjoints the linear manner of developing the dance and audience complete their own interpretation within the loose frame of meaning that artist set. Forth, based on network, it makes audience appreciate and concentrate on work from in traditional meditative method to in analytic method. In this work, it is discovered to ecology reasoning that continually changes and creates sensible form, not as a completed work. Lastly, as Gesamtdatenwerk, Forsytheʼs works are not just the reproduction of dancing data, but lead to the birth of new media work and integration of art based on d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하는 자료는 질이 매우 높고,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인상적입니다.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활용하기 편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무용기록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