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장(新疆) 위구르자치구 지역의 불탑형식 - 『大唐西域記』의 기록과 현존 유구를 중심으로 -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4.03 최종저작일 2022.08
16P 미리보기
신장(新疆) 위구르자치구 지역의 불탑형식 - 『大唐西域記』의 기록과 현존 유구를 중심으로 -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건축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건축역사연구 / 31권 / 4호
    · 저자명 : 천득염, 정지윤, 신규나

    목차

    Abstract
    1. 불탑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기왕의 연구
    2-1.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의의
    2-2. 아시아지역 불탑에 대한 기왕의 연구
    3. 현장의 신장지역 순례길
    4. 신장의 지리적 특징과 불교문화의 전래
    4-1. 신장의 역사, 지리적 특징
    4-2. 신장의 불교문화 전래
    5. 『대당서역기』에 나타난 인도의 대표적인 불탑형식
    5-1. 복발형식 불탑
    5-2. 목조누각식 불탑
    5-3. 적층형 증축탑(積層形增築塔)
    6. 신장지역의 불탑형식
    6-1. 낮은 방형기단 위 복발형(覆鉢形) 불탑
    6-2. 서역양식 불탑(신장양식 불탑)
    6-3. 십자형평면 불탑
    6-4. 중심주형(中心柱形) 불탑
    6-5. 탑림형불탑(塔林形佛塔, 만다라식 불탑, 百塔)
    6-6. 탑전형불탑:대장탑(台藏塔)
    6-7. 다각형불탑(리덴트식 불탑, 밀교식 불탑)
    7. 신장지역 불탑의 구성요소
    7-1. 기단부
    7-2. 탑신부(軸部)
    7-3. 복발(覆鉢)
    7-4. 불탑의 배치형식
    7-5. 재료와 구법
    8. 결 어
    참고문헌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the introduction of stupa, which has originated in India, to the Xinjiang Uyghur region and the features of the stupas in the Xinjiang Uyghur region in detail. This study examines the layout of the buildings in temple compounds and the types, structural elements, and construction methods of the stupas in the Xinjiang Uyghur region in particular by looking into the content of the Da Tang Xi Yu Ji and remaining stupas, which provide examples of stupas at the time. This study finds tha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dry deserts, stupas in Xinjiang Uyghur region, where assimilation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is seen, were mostly made by pressing clay into a mold and had no interior spaces. Also, construction materials and techniques had been developed and improved in a way that enabled stupas to combat the challenging desert conditions. However, the stupas in this region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e wooden tower-like stupas discovered in central China(zhongyuan 中原). The shape of the dome of most stupas in Xinjiang Uyghur region was chosen under the influence of the Gandharan style. Some of the stupas in the region have taken the general forms of the wooden stupas and the others have taken many forms, from cylindrical drums to towers. Also, there have been forests of stupas and stupas similar in form to chaityas and stupas of Vajrayana. Such different forms were transformed and modified through regional history and it was related to the peoples and cultures that produced and used stupas. Stupas evolved into distinct forms in Xinjiang Uyghur region in this wa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체계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어 복잡한 내용을 과제에 쉽게 활용 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좋은 자료들이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