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종수 (2004), 『TV 리얼리티: 다큐멘터리, 뉴스, 리얼리티 쇼의 현실 구성』, 한나래.
· 정우근 (2005), 『영상분석의 실제』, 푸른미디어.
· 강준민 (2016), 「‘이중구속’ 커뮤니케이션의 질곡:힐러리 클린턴의 정치적 역경을 중심으로」,
· 미디어, 젠더&문화 31(4), pp.5-48,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 고영화 (2017),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의 비판적 수용 교육내용 연구」, 『교육문화연구』
· 23(1), pp.103~122,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 김동훈, 백선기(2015), 「리얼리티 TV 프로그램의 포맷, 서사 및 담론과 함축의미 –SBS TV
· 짝 에 대한 기호학과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기호학 연구』 42, pp.29-66, 한국
· 기호학회.
· 김옥태, 홍경수 (2012),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자막이 시청자의 주의, 정서, 그리고 기억에
· 미치는 영향-오락프로그램과 교양프로그램에서」, 『한국언론학보』56(3), pp. 5-27,
· 한국언론학회.
· 김종무 (2010), 「카메라 앵글의 위치 변화에 따른 감성 선호도 변화」, 『디자인융복합연구』
· 9(1), pp.13-24, 디자인융복합학회.
· 반옥숙, 박주연 (2013), 「리얼리티 데이트 프로그램의 시청동기 및 시청효과에 관한 연구」,
· 사회과학연구 29(1), pp.47-70,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이다혜, 류웅재 (2016), 「청년세대의 리얼리티 TV 프로그램 수용에 관한 연구 : ‘쿡방’과
· ‘집방’을 중심으로」, 『한국소통학보』,15(2), 한국소통학회.
· 이선영 (2017), 「20대의 텔레비전 연애 프로그램 시청, 열정과 친밀감 인식, 연인관계 질 간
· 관계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논총』33(1), pp.225-261,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
· 과학원.
· 이수진 (2015), 「헝거게임 속 몸의 전유와 리얼리티쇼의 정치전략:“진야 가짜야?”」 『현대영
· 미소설』, 22(3), p.175,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 이주현, 김은미 (2012), 「텔레비전 시청이 연애에서의 소비 및 소비 수준에 대한 인식에
· 미치는 영향」,『한국언론학보』56(6), pp.196-221, 한국언론학회.
· 장하용 (2010), 「시청자를 누가 대표하는가 : 소통의 부재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한국소통학보14, pp.152-176, 한국소통학회.
· 주정민, 배윤정 (2014), 「리얼리티 쇼 프로그램의 재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14(1), pp.97-108, 한국콘텐츠학회.
· 최은경, 김승현 (2010),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이데올로기적 현실 구성과 비판적 성찰의
· 이중성」, 『한국방송학보』24(3), pp.175-219, 한국방송학회.
· 함현 (2012), 「데이트 쇼 프로그램의 구성형식과 텍스트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 논문지』13(2), pp.529-535, 한국산학기술학회.
· 홍석경 (2004), 「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현실구성」, 『방송문화연구』16(1),
· pp.257-280, KBS 방송문화연구소.
· 홍지아 (2009),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서사전락과 낭만적 사랑의 담론」,
· 한국방송학보 23(3), pp.567-608, 한국방송학회.
· _ (2012), 「TV가 제시하는 사랑할/받을 자격과 한국 사회 20대 여성들이 이를 소비하는
· 방식」. 『한국방송학보』26(5), pp.307-342, 한국방송학회.
· 윤진 (2005), 「현실을 소비하는 나르시스들 : 팩션(faction)에서 리얼리티쇼(reality
· show)까지」, 『인물과사상』, pp.168-178, 인물과 사상사.
· 김미리 (2018.6. 16) “[김미리의 솔.까.말] 종영 '하트시그널2', 국민 '썸'예능 시즌3가
· 시급하다”, 『마이데일리』.
· 김수정, (2018. 8. 23) “'하트 시그널' 출연자는 어떻게 뽑을까, 대본은 없을까”, 『노컷뉴스』.
· 김종성 (2018. 6. 21) “커플여행 후 마음 바뀐 남자... 사람들은 왜 화가 났나”, 『오마이뉴스』.
· 박판석 (2018. 7. 5) “[Oh! 커피 한 잔②]‘하트시그널2’ CP “제작진 개입 없었다..시간 바꾼
· 편집 한 번"”. 『OSEN』.
· 윤효정 (2018. 7. 12) “[인터뷰①]"대본無, 리얼" '하트시그널'을 보고 '두근두근'했던
· 이유“,『뉴스1』 .
· _ (2018. 7. 12) “[인터뷰②]'하트시그널' PD "출연자 모두 자신의 ♥ 따라 선택,
· 용감해"”, 『뉴스1』.
· 황진미 (2017.8.23.) “찌릿찌릿 한편의 ‘썸 드라마’”, 『한겨레21』 제 1176호.
· Bourdon, J. (2011), Du service public a la tele-realite : une histoire culturelle des
· televisions europeennes 1950-2010, 김설아 옮김(2014), 『유럽 텔레비전 문화사, 공영방송에서 리얼리티쇼까지 1950~2010』, 커뮤니케이션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