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학교평가에 따른 농촌 소규모 초등학교의 대응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7.06.14 최종저작일 2013.12
28P 미리보기
학교평가에 따른 농촌 소규모 초등학교의 대응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사회학연구
    · 저자명 : 정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시와 농촌의 불균형으로 인해 도시와 농촌 간의 학력 격차가 쉽게 해결되지
    않는 상황에서 2011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정량중심 학교평가가 농촌학교에 어떤 영향을 주
    는지에 대한 탐색이다. 특히 학교평가 집행 과정에서 농촌 소규모 초등학교의 대응을 딜레마
    이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학교장은 ‘학교평가는 학교장 평가’라는 부담을 가지고 있었으
    며 학교평가 결과는 학교장의 체면에 큰 영향을 주었다. 학교평가로 인한 ‘업무 증가’, 평가
    지표가 농촌 학교에 적합하지 않고 ‘도시적’이라는 점, 각종 행사의 증가에 따른 ‘수업 방해’
    등으로 학교평가에 대한 농촌 교사들의 인식은 부정적이었다. 정량중심 학교평가에서 요구하
    는 실적과 성과를 위해 행사중심 교육활동이 증가했으며 소규모 농촌학교의 특성으로 인해
    전교생이 참석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행사의 증가는 수업 결손으로 이어졌고 결과적으로
    학력 저하라는 농촌 학교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었다. 하지만 학교교육에 대한 관심이 적은
    농촌 지역의 학부모들은 학교교육과정 결정에 행위자로서 역할을 하지 못하는 반면, ‘공문’은
    학교교육활동 좌우하는 강력한 행위자였다. 실적과 수업이라는 상충된 가치는 농촌 학교에
    딜레마 상황을 만들었고 공문 외의 행위자 부재로 인해 딜레마는 쉽게 해결되지 못했다. 이
    러한 상황에서 학교는 자율적으로 학교교육과정을 운영하기 보다는 그때 그때의 필요에 따
    라서 비일관적으로 대응했고, 새로운 교육활동을 만들기 보다는 예전 교육활동 이름을 바꾸
    는 등의 형식적 대응이 많았으며 교사들은 학교평가를 단순한 업무로 재규정하였다. 이와 같
    은 대응은 농촌 학교의 책임과 부담을 줄이는데 효과적이었지만 학교평가 본래의 목적 달성
    을 어렵게 했다.

    영어초록

    Nowadays the imbalance of academic ability between schools in rural area and urban area
    has been increased.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focuses on exploring how quantitative centered
    school evaluation which started in 2011 influences on elementary schools in rural area.
    Especially this research uses ‘Dilemma theory’ to analyze the responses from rural elementary
    schools to the school evaluation policy. Most of Korean school principals regard that
    evaluation about school is equivalent to evaluation about school principals. They think that the
    result of it influences on their prestige. However, teachers, especially rural area school teachers
    regard this school evaluation policy influences on their class negatively because too much work
    for preparing this school evaluation policy and it does not consider rural area school’s situation
    when the Ministry of Education designed this school evaluation policy. To get good scores for
    this school evaluation, schools in rural area have to make a lot of school events and nearly all
    of students have to prepare these events. Sometimes they have to skip their classes in order to
    prepare school events. Increases of these kinds of events bring about the decline of students’
    academic ability in rural area schools. Since the parents in rural area do not care about their
    children’s class absences and decline of their academic ability due to the school evaluation
    policy, it makes worse. In this situation, school teachers in rural area confront the dilemma
    which is between seeking for school evaluation and students’ academic ability. In this situation,
    teachers’ responses to the school evaluation policy with inconsistent attitude just to meet the
    criteria rather than with consistent attitude based on school curriculum. Also school teachers in
    rural area deal with the school evaluation policy with cursory attitude and reconstruct it just as
    one of their works because this school evaluation policy focuses on too much external
    achievement rather than focuses on internal values of education. These kinds of teachers’
    responses in rural area school are effective on reducing their school work in a way, but it
    interferes to meet the ultimate goal of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하는 자료는 질이 매우 높고,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인상적입니다.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활용하기 편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사회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