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퇴계 이황의 한시작품 개고와 그 의미 ― 「次韻具景瑞金秀卿所和權景受六十絶幷景瑞五律趙士敬見示」를 중심으로 ―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7.04.17 최종저작일 2016.12
34P 미리보기
퇴계 이황의 한시작품 개고와 그 의미 ― 「次韻具景瑞金秀卿所和權景受六十絶幷景瑞五律趙士敬見示」를 중심으로 ―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집 / 19권
    · 저자명 : 정석태

    목차

    Ⅰ. 서론
    Ⅱ. 개고 이전의 원고
    Ⅲ. 개고 이후의 원고
    Ⅳ. 개고사유와 그 의미
    Ⅴ. 결론

    초록

    퇴계(退溪) 이황(李滉)은 한 평생 자신이 지은 시문(詩文) 원고를 계속
    해서 개고하였다. 그 결과 특히 한시작품(漢詩作品)에서 서로 차이를 보
    이는 두세 종의 원고를 상정할 수 있는 예가 많이 발견된다. 대부분은
    자구 한두 글자를 수정한 것이지만, 어떤 것은 시간적 간격을 두고 작품
    전체를 대폭 수정하거나 산절(刪節)한 예, 다시 말하면 개고한 경우도 더
    러 발견된다. 그중 최초 원고로 추정되는 원고 1종에 중간에 개고한 사
    실을 확인할 수 있는 원고 3종을 포함해서 4종의 원고를 상정해볼 수
    있는 「次韻具景瑞金秀卿所和權景受六十絶幷景瑞五律趙士敬見示」라는 작품도 있다. 이 글에서는 그 작품을 가지고 퇴계 이황의 한시작품 개고과
    정을 추적해보고, 개고사유와 그 의미에 대해서 논의해보았다.
    퇴계 이황은 먼저 칠언절구 60수와 칠언율시 5수의 연작시 「次韻具景
    瑞金秀卿所和權景受六十絶幷景瑞五律趙士敬見示」라는 하나의 작품을 산
    절해서, 중국과 우리나라 도학 역사의 논평이라는 일관된 주제가 선명하
    게 드러나는 칠언절구 14수의 「早春閒居次趙士敬具景瑞金舜擧權景受相
    唱酬韻十四首」와 도학의 계승 발전에 대한 자임과 결단에의 각오를 표명
    한 칠언율시 1수의 「有嘆」의 독립된 2제(題) 2편(篇)의 새로운 작품으로
    만들어놓았다. 자신의 도학 이해의 심화 및 성숙에 맞추어 이미 지어놓
    은 작품을 새롭게 개고한 것이다. 퇴계 이황은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
    早春閒居次趙士敬具景瑞金舜擧權景受相唱酬韻十四首」를 작품 본문(本文)
    뿐만 아니라 편말주(篇末註)까지 고르게 수정 보완하는 과정을 거쳐 도
    학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한 하나의 학술적인 저작(著作)으로 만들
    어놓았다.
    특히 「早春閒居次趙士敬具景瑞金舜擧權景受相唱酬韻十四首」는 개고과
    정을 거쳐 하나의 학술적인 저작이 되었기 때문에 퇴계 이황은 그것을
    계속해서 수정 보완하였다. 그중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 관련 제
    12수는 적어도 2차례 이상 작품 전체를 고치는 개고과정을 거쳤고, 그
    에 따라 현재 본문 전체가 달라진 3종의 원고, 점필재 김종직에 대한 논
    평의 초점이 ‘학자(學者)→문장가(文章家)→문하인물(門下人物)’로 옮겨지
    면서 본문 전체가 개고된, 그래서 점필재 김종직의 위상이 점차 축소 또
    는 조정된 3종의 원고가 존재한다. 이것은 퇴계 이황 자신의 도학 이해
    의 심화 및 성숙에 따른 점필재 김종직에 대한 생각 또는 평가가 달라진
    측면 외에도 이른바 도학의 시대가 열리면서 도학의 입장에서, 제자 한
    훤당 김굉필과 관련해서 점필재 김종직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려는, 다시
    말하면 점필재 김종직을 학자가 아닌 문장가로 평가해서 우리나라 도학
    의 역사에서 그 위상을 대폭 축소시키려는 정치․사상계의 움직임에 적극
    적으로 대응해서 점필재 김종직에 대한 기존의 자신의 생각을 적정하게
    축소 조정한 결과의 산물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점필재 김종직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적정하게 축소 조정한 것에 따른 점필재 김종직에 대한
    새로운 논평을, 점필재 김종직의 평가에 대한 자신의 만년정론(晩年定論)
    을 자신이 이미 지어놓은 한시작품을 개고해서 담아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Over the course of his life, Toegye Lee Hwang rewrote his
    Sino-Korean poems multiple times. This is the reason why for
    many of his Sino-Korean poems, two or three different versions
    can be found. While most of his rewriting involved merely changing
    one or two characters, some poems were heavily revised or edited
    over time. One of his works that went through extensive rewriting
    is his poem entitled 次韻具景瑞金秀卿所和權景受六十絶幷景瑞五律趙
    士敬見示. For this work, a total of four versions can be identified—
    the version presumed to be the original and three rewritings of the
    first version.
    Lee Hwang rewrote 次韻具景瑞金秀卿所和權景受六十絶幷景瑞五律
    趙士敬見示, a serial poem consisting of 60 seven-character verses
    and 5 seven-character rhyme poems, into two new poems under
    two separate titles: 早春閒居次趙士敬具景瑞金舜擧權景受相唱酬韻十
    四首. These separate titles consists of 14 seven-character verses
    that review the history of Dohak (a Confucian school of thought)
    in China and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a seven-character
    rhyme poem, Yutan (有嘆), where the poet declares his commitment
    to preserving and furthering the discipline. These two poems
    reflect Lee Hwang’s deepening and more matured understanding
    of Dohak, which had taken place since he began writing the original
    poem. Moreover, he also revised the end notes of 早春閒居次趙士敬
    具景瑞金舜擧權景受相唱酬韻十四首, and thus turned it into an academic work where the author expresses his opinions on Dohak.
    After being rewritten into an academic treatise, 早春閒居次趙士敬
    具景瑞金舜擧權景受相唱酬韻十四首 was rewritten several times
    over. Of the poems comprising 早春閒居次趙士敬具景瑞金舜擧權景受
    相唱酬韻十四首, the 12th poem about Jeompiljae Kim Jong-jik has
    been completely rewritten at least twice. The three versions in
    existence today reflect a downward shift in Lee Hwang’s
    understanding of Kim Jongjik’s position, from a scholar to a writer,
    than to a mere follower. This shift definitely reflects the fact that
    Lee Hwang’s opinion about Kim Jongjik changed as his
    understanding of Dohak became deeper and more mature. On the
    other hand, the shift is a result of Lee Hwang’s efforts to adjust
    his opinion according to the atmosphere of the political and
    academic circles at the time: scholars were trying to put Kim
    Jongjik under a negative light and reduce his role in the
    advancement of Dohak, on account of their conflict with
    Hanhwondang Kim Goengpil, one of his disciples. Therefore, the
    rewritten poems express Lee Hwang’s newly adjusted—or
    negatively revised—opinion about Kim Jongjik during his last
    year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좋은 자료가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