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술 공론장의 학습공간적 의미와 가능성 탐색 - 2012부산비엔날레 《배움의 정원(Garden of Learning)》을 중심으로 -

3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7.02.01 최종저작일 2016.08
36P 미리보기
예술 공론장의 학습공간적 의미와 가능성 탐색 - 2012부산비엔날레 《배움의 정원(Garden of Learning)》을 중심으로 -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성인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Andragogy Today / 19권 / 3호
    · 저자명 : 양은아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공론장의 생성과 자기조직화의 실제
    Ⅴ. 나가며
    참 고 문 헌

    초록

    2012부산비엔날레는《배움의 정원(Garden of Learning)》을 표제화하며 이를 실현하는 핵심
    주체로서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로 구성된 ‘배움위원회’를 내부에 장착했다. 이를 토대로 작가-배움
    위원회-에듀케이터-예술 매개자-관람객(시민) 등 다각적인 “사이(in-between)” 관계를 매개하는
    공론장들이 자기조직화되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배움”을 탐구하는 집단적 협업관계가
    생성한 공론장의 조직화와 운동성에 주목하여 학습공간으로 확장된 예술공론장의 가능성을 교육학
    적 관점에서 읽어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층위의 담론을 생성하고 분화하는 역학과 공간은
    다원성과 복잡성, 자기조직성을 그 안에 내재하고 있는 공론장이고, 그 안에서 개성을 드러내는 개
    인들이 상호 소통하고 연대하면서 질문을 공론화하고, 다양한 층위의 토론의 습속을 정착시켜가는
    것 그 자체가 이들에게는 “배움”의 과정이었다. 집단적 역량이 성장할수록 낱낱의 교류되는 정보보
    다는 공론화의 구심으로 작용하는 관계망이 중요한 “배움”의 의미를 생산하게 되고, 참여자들이 생
    산한 논의가 관계망을 통해 집단적으로 필터링되고 공유되는 과정을 거치며 소통구조의 공공 영역
    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개인성과 시민성이 만나는 장 안에서 각각의 주체들은 민주
    적 의사소통 과정에 참여하고, 그것의 수행과정을 주도하는 행위주체로서의 공중으로 성장해가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영어초록

    Busan Biennale 2012 presented the topic of “learning” as its core theme, using the title《Garden of
    Learning》. To realize the theme, it established “Baeum Wiwonhoi” formed with voluntary participation of
    citizens to create a multilayered public sphere where statements are made through art, agendas for public
    discussion are discovered, and social issues are generated. In the process, collective cooperation relationship
    had been self-generated, which accompanies learning process and explores “learning.” In addition, Public
    spheres which mediate relation “between” artists–“Baeum Wiwonhoi” Educators–art mediators–
    visitors(citizens). This research gives attention to the systematization and the mobility of art public sphere,
    which is for the formation and divergence of a multilayered network which connects “learning,” the
    substantive goal. As a result, the dynamic and space of formation and divergence of multilayered
    discussion generated from “in-between” human relationship was public sphere which contained plurality,
    complexity, and self- organizational nature. That individuals communicate, make questions public all
    together, and settle multilayered discussion was the “learning” process for them. As the collective
    competence grew, the network as a center of public opinion rather than pieces of information created the
    meaning of core “learning.” In addtion, the public sphere of communication structure had been attained
    through the process in which discussion generated by participants was collectively filtered and shared.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제가 필요로 하는 지식을 완벽하게 충족시켜주었습니다. 과제 제출일이 얼마 남지 않아 시간이 부족했는데, 이 자료 덕분에 과제를 제출 할 수 있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Andragogy Toda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