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척과 울릉도의 신라고분 문화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6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11.02 최종저작일 2016.08
68P 미리보기
삼척과 울릉도의 신라고분 문화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이사부학회
    · 수록지 정보 : 이사부와 동해 / 12권
    · 저자명 : 배군열

    목차

    Ⅰ. 머리말
    Ⅱ. 삼척과 울릉도의 신라고분
    1. 삼척의 신라고분
    2. 울릉도의 신라고분
    Ⅲ. 고분문화의 변천
    1. 편년 및 단계설정
    2. 고분문화의 변천
    Ⅳ. 삼척과 울릉도 고대지역정치체의 동향
    1. 신라의 삼척과 울릉도지역 진출
    2. 신라 지방 지배방식의 변화와 지역정치체의 동향
    Ⅴ. 맺음말
    ❚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본고는 삼척과 울릉도지역 고분 자료를 분석하고 문헌자료와의 비교·검토를 통해 당시 신라의 삼척과 울릉도지역 진출 시기와 과정, 그리고 복속 후 지역 정 치체의 성격과 동향, 신라의 지역 지배방식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삼척지역에 있었던 小國인 悉直國은 신라의 전신인 斯盧國에 의해 늦어도 4세 기 초반에는 복속된 것으로 보인다. 그 후 신라는 5세기 중엽 경 지방 간접지배의 일환으로 중심세력인 갈야산 집단과 중·소 세력인 추암동·구호동 집단에게 위세품을 차등 지급함으로써 갈등관계를 조장하여 지방 세력의 발전을 저지하려 하였다. 하지만 이에 따른 폐단으로 울진 봉평비에 보이는 남미지촌의 중앙에 대한 반란과 삼국사기 기록에 보이는 고구려 변장의 살해 사건 등이 나타났다. 신라는 6세기 초에 세력 이탈의 조짐이 가장 강했던 삼척지역에 최초로 悉直州를 설치하여 地方官을 파견하였다. 이에 신라는 지방 중심세력과 갈등관계에 있던 추암 동 집단을 이용함으로써 서서히 직접지배 권역을 넓혀 나갔으며 6세기 초엽은 물론 중엽까지 추암동에만 위세품이 나타남은 그러한 연유이다. 이와 더불어 불안정한 대외적 여건으로 인해 동해안지역은 6세기 중엽까지도 완전한 직접지배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하지만 6세기 후엽이 되면 동해안 방면은 완전히 신라의 영역으로 편입되게 된다. 이에 고고자료 상으로도 더 이상 간접지배의 위세품은 나타나지 않으며 중심 세력은 추암동 집단으로 일축된다. 7세기대는 지방 최하위 촌락에까지 중앙의 지방관이 파견되어 직접지배가 이루어지게 된다.
    울릉도에서 확인된 신라고분 연대의 상한은 향토사료관 소장품을 참조하면 6세기 초·중엽으로 신라의 울릉도 정복 시점과 대체로 일치하며, 존속시기는 고분출토 인화문 토기 등을 참고하면 대략 10세기까지이다. 신라는 당시 주변국과의 교 섭 및 견제를 위한 전략적 요충지를 마련하기 위해 울릉도를 정복하였고, 그 후 지방관을 파견하여 직접지배를 실시하였다. 이에 지역민의 반발과 반신라적인 정서를 차단하기 위해 지방관 아래에 각 촌락마다 촌주를 두었을 것이며, 섬 내 분포하는 적석봉토의 횡구식석실묘를 비롯하여 신라 토기 및 각종의 위세품들이 이 를 반증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고분이 파괴되거나 도굴되어 당시 지역정치체의 존재 양태 등에 대한 세밀한 분석은 한계가 있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studied the time and process of Shilla’s advancement to Samcheok and Ulleung Island, characteristics and trend of political bodies, and the change in ruling method of the region by analyzing the references to the tombs in Samcheok and Ulleung Island and comparing with and reviewing literature.
    It is assumed that Siljikguk, a small nation in Samcheok, was subjugated at the latest by Saroguk (a former name of Shilla) early fourth century. In the middle of the fifth century, as a part of indirect ruling, Shilla discriminately supplied prestige goods to the Galyasan group, a central group, and Chu’amdong and Guhodong groups, mid-to-small groups to aggravate conflict among them and deter development of regional forces. However, this malevolent act did not go overlooked. There are records of uprisings against the center of Nammijichon in Uljin Bongpyeongbi and murders of byeonjang in Goguryeo. In the early sixth century when the indications of renunciation were the strongest, Shilla installed Siljikju for the first time in the Samcheok region and dispatched regional government officials. By manipulating the Chu’amdong group, who at the time was in conflict with the central force of the region, Shilla slowly expanded its realm of direct ruling. This is the reason why prestige goods from early-to-mid sixth century were only found in Chu’amdong. Moreover, due to unstable foreign conditions, Shilla failed to directly rule the eastern coast until the sixth century. It wasn’t until the late sixth century when the eastern coast was completely under the rule of Shilla. To prove this, there are no prestige goods from indirect ruling found even in archeological references, and the central force of the region was limited to the Chu’amdong group. In the seventh century, regional government officials were dispatched from the central government even to the smallest administrative units in the area for direct ruling.
    When studied the collections in the Folk History Museum, the upper limit of the timeline of Shilla tombs found in Ulleung Island is early-to-mid sixth century, by and large corresponding with the timeline when Shilla conquered Ulleung Island, and it lasted until about the tenth century, according to the stamp-designed pottery excavated from the tombs. To establish a strategic position to negotiate with and contain surrounding states, Shilla conquered the Ulleung Island and implemented direct ruling by dispatching regional government officials. By the Shilla potteries and varieties of prestige goods found in the many stone tombs of Jeokseokbongto on the island, it is presumed that Shilla probably positioned chiefs all the way down in each chonju (the smallest administrative unit of Shilla) to oppose resistances and block anti-Shilla sentiment. Sadly most tombs are either raided or destroyed to offer a more specific and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regional political bodies at th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사부와 동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