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를 통한 교통사고 이슈 전파 사례 분석: 중앙고속국도 43중 추돌사고를 중심으로
(주)학지사
- 최초 등록일
- 2016.07.11
- 최종 저작일
- 2015.04
- 8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3,0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대한교통학회
ㆍ수록지정보 : 대한교통학회지 / 12권 / 2호
ㆍ저자명 : 류인곤, 이재영, 김정화, 최기주, 박경철
목차
서론
선행연구
트위터 이슈 전파 사례 분석
결론 및 시사점
감사의 글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최근 스마트폰 사용이 일반화됨에 따라 소셜네트
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를 통해 재해⋅재난 현장(09년 허드슨강 비
행기 추락, 10년 아이티 대지진, 11년 일본 쓰나미
등)이 공유되고 피해 복구를 지원하는 사례들이
전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스마트폰은 위치와 공간, 시간의 제약 없이 인
터넷에 접속이 가능하며, SNS는 통상 양방향의
친구 관계를 통해 실시간 대화 및 정보 교류가 가
능한 속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속성이 재해⋅
재난 상황 속에서 힘을 발휘하는 것이다.
특히 트위터는 트윗이 작성되면 팔로어들에게
해당 트윗이 전달되고 다시 다양한 목적으로 해당
트윗을 자신의 팔로어에게 전달(리트윗)하는 구조로
서, 재전달의 횟수 제한이 없고 한 번의 클릭으로 재전달이 가능함에 따라 빠른 정보 전파를 가능하게 한다.
참고 자료
없음
"대한교통학회지"의 다른 논문
더보기 (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