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東亞地區的漢字教學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7.02 최종저작일 2016.05
22P 미리보기
東亞地區的漢字教學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漢字漢文敎育 / 40권
    · 저자명 : 謝錫金, 戴忠沛

    목차

    Ⅰ. 引言
    Ⅱ. 東亞地區的漢字體系
    Ⅲ. 有關漢字教學的文獻探索
    1. 漢字的本質
    2. 漢字識字理論
    3. 漢字教學中的常用字學習
    4. 漢字教學中的部件教學
    Ⅳ. 東亞地區漢字教學現狀
    1. 中國大陸漢字教學現狀
    2. 台灣漢字教學現狀
    3. 新加坡漢字教學現狀
    4. 香港漢字教學現狀
    5. 韓國漢字教學現狀
    6. 日本的漢字教學現狀
    Ⅴ. 漢字教學的持續發展
    1. 漢字教學的建議序列
    2. 愉快有效的漢字教學
    Ⅵ. 總結
    ▮參考文獻 Reference
    ▮中文摘要
    ▮Abstract

    초록

    한자는 세계 역사에서 가자 유구한 역사를 지닌 문자 체계이며, 오랜 동안 중국, 대만, 홍콩, 일본, 한국과 싱가폴 등에 동아시아의 여러 국가와 지역에서 대표 문자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각 지역의 표준과 준칙, 체계, 서사 방법, 발음 표시법 등은 각기 다른 현상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중국 대륙의 간화자와 홍콩의 번체자, 일본의 한자와 한국의 한자가 그러한 예에 속하다. 한자는 표의 문자이며, 자의에 따라 구성된다. 중문 독해의 기초는 한자를 아는데서 출발하며, 한자를 앎으 로써 단어를 이해할 수 있다. 식자란 표준 자음과 자형 그리고 자의를 이해하는 심리 과정을 의미한 다. 각 국가와 지역에서는 식자량과 쓰기 한자의 양에 대해서 1006자부터 3500자까지, 825자부터 2600자까지 각기 다른 기준을 정하였다.
    부건은 한자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로 각기 조합되면서 한자의 기능을 보여준다. 이는 곧 부건이 한자 학습에 가장 중요한 단위 요소임을 말해주고 있다. 각 국가와 지역의 한자교육은 듣기와 말하기 능력에서 출발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한자의 발음을 판별하게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가, 이후에 식자교육을 실시하여 쓰기와 이해 능력을 발달시킨다. 그러나 각 국가와 지역의 한자 쓰기는 같은 방법이 아니어서 학생들로 하여금 동일한 한자를 다른 자형으로 인식하게 하는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이는 먼저 번체자를 학습하게 함으로써 해결 할 수 있는 문제이다. 학생들의 듣기 능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먼저 한자의 발음을 익숙하게 한 후에 말하기 훈련 능력을 키우고 더 나아가 집중 식자를 실시하고 가장 마지막으로 읽기와 작문 훈련을 시행해야 한다.

    영어초록

    Chinese characters are ideographic representations of real-life phenomena, their usage in written language systems in the East Asia having a long history. They are widely used in many East Asian countries and feature in the official languages of China, Taiwan, Hong Kong, Japan, Korea and Singapore. The system and rules governing how characters are written and pronounced vary across regional and national boundaries: simplified characters are used in Mainland China; traditional characters are used in Hong Kong; Kanzi adaptations of Chinese characters are used in Japan; and Chinese characters are used in Korea. Chinese characters are ideographic, their form and shape reflecting the meaning of the phenomena they represent. The learning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way they are written and pronounced are fundamental processes in acquiring a Chinese lexicon. The learning of Chinese characters involves recognizing what each stands for; how they are pronounced; the rules governing how they are written down; and how the order in which they are written. The characters learnt in the early stages of reading and writing are similar across national and regional boundaries, the choice of characters varying little across countries and regions. The number of characters children are taught to recognize in the early stages of schooling range from about 1000 to 3500 in number: the number of characters they learn to write varying from about 825-2600. The basic element in the structure of a Chinese character is called the ‘part’ and is important for mastering the reading and writing of the character. The learning and teaching of Chinese characters begins with listening to what individual characters mean and how they are pronounced; recognizing how they are conventionally written; then practicing the writing of characters until they can be reproduced on demand. The written forms of some Chinese characters differ slightly across countries and regions, which may generate some confusion for the learner, and the standard teaching of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could help to minimize this problem. Also of help would be for teachers to start from teaching learners to recognize individual characters; to learn how each is pronounced and what it means; and the conventions in the order in which characters are written. Importantly, teachers are encouraged to provide a relaxed, stress-free learning environment and to use attractive resources so as to make character learning a pleasant exper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 과제의 내용을 보강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字漢文敎育”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