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Xuanzang’s Manual for Conferring the Bodhisattva Precepts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5.03 최종저작일 2014.06
25P 미리보기
Xuanzang’s Manual for Conferring the Bodhisattva Precepts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불교문예연구 / 3권
    · 저자명 : Chanju Mun, Ronald S. Green

    초록

    본 역자들은 당대의 대번역가인 현장(602-664) 의 보살계갈마문과 정매(생몰연대 미상)의 보살계갈마(문)서를 최초로 영역하였다. 비록 현장이 장안의 대자은사에서 649년 본 갈마문을 원전에서 직접 한역 하였다고 하지만, 본인이 한역한 유가사지론을 요약 정리하여 본 갈 마문과 더불어 계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였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현 장은 629년(또는 627년)에서 645년까지 중앙아시아와 인도로 구법 행각을 한 후, 유식 관련 텍스트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불교경전들을 한역하였다. 동아시아 불교도들은 두 종류의 보살계본을 받아들이고 있다. 하나는 중국 위작인 범망경의 보살계본이고, 또 다른 하나는 인 도불교에서 유래한 유식 보살계본이다. 유식 보살계본으로는 담무참 (385-433)의 계본과 현장의 계본이 널리 알려져 있다. 담무참은 동일 한 텍스트에 보살계 갈마문과 목록을 모두 포함하고 있지만, 현장은 보살계 갈마문과 보살계 목록을 각각 다른 텍스트에 포함하고 있다. 비록 범망경의 영역은 몇 가지 존재하지만, 현장의 보살계 갈마문 과 보살계 목록의 영역은 전무하다. 담무참과 현장의 유식 보살계본 은 모두 유가사지론 본지분 보살지 제15 계품에 근거하고 있고, 담무 참의 계본은 몇 차례 영역되었지만 현장의 계본은 한 번도 영역되지 않았다. 현장의 갈마문은 동일한 텍스트의 전반부에 나오고 계본은 동일한 텍스트의 후반부에 나올 개연성이 많다. 그렇지만 언제, 그리 고 왜 갈마문과 계본이 분리되어 각각 다른 텍스트로 대정장에 수록 되었는지 추가적인 학문적 검토가 필요하다. 그리고 서문이 갈마문 이전에 수록되는 것이 논리적으로 타당하지만, 대정장에는 서문이 갈마문 뒤에 수록되어 있다. 그런 맥락에서 본 역자들은 갈마문과 서 문의 순서를 바꿔 영역하였다. 대정장에서 서문이 갈마문 뒤에 언제, 그리고 왜 수록되었는지 추가적인 학문적 연구가 역시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is a translation of the Manual on the Procedures for Conferring the Bodhisattva Precepts (T.24.1499.1104c19- 1106b27) by Xuanzang (602-664) and the preface to it written by the monk Jingmai (T.24.1499.1106c3-29). Xuanzang was a Chinese monk and a translator of Buddhist scriptures. Although it is recorded that Xuanzang translated this manual in 649, he may have written it himself based on the Yoga-ca-- s rabhu-mi-s´astra in 100 fascicles. After travel through Central Asia and India from 629 (or 627?) to 645, he translated 75 Buddhist scriptures in 1,335 fascicles into Chinese, including a number of major Yoga-ca-ra Buddhist texts. He is said to have translated this manual in 649 at Dacien-si Temple in Chang’ an. Chinese Buddhists in particular and East Asian Buddhists in general adopted two major versions of Bodhisattva precepts, the version of the Chinese apocryphal Brahma- Net Su-tra’s Bodhisattva precepts containing ten major and forty-eight minor precepts and the version of Yoga-ca-ra Bodhisattva precepts from Indian Buddhism. Two major versions of the Yoga-ca-ra Bodhisattva precepts, Dharmaks, ema’s (385-433) version (T.24.1500.1107a2-1110a24) and Xuanzang’s version, are available. East Asian Buddhists generally adopted the Brahma- Net Su-tra’s Bodhisattva Precepts, ordained laypersons and monastics with these precepts and recited the precepts during two confession days per month. While Dharmaks.ema included just a list of Bodhisattva precepts in one text, Xuanzang made two texts, one explaining the procedures and another listing the precepts. Even though there are several English translations of the Brahma- Net Su-tra (T.24.1484.997b9-1010c23), there has been no English translation of Xuanzang’s manual or his precept list. Of the two Chinese versions of Yogaca- ra Bodhisattva precepts, made based primarily upon the fifteenth Chapter on Bodhisattva Precepts of the Section of Bodhisattva Stages of the Division of Original Stages of the Yoga-ca-rabhu-mi-s ´astra (T.30.1579.510c7-523a12), although the earlier version by Dharmaks, ema has been translated into English, the later version by Xuanzang has not been translated into English until now. The Xuanzang’s manual has the appearance of being the first fascicle of a longer document. The translators feel that Xuanzang might have included his list of four major and the forty-five minor Bodhisattva precepts (T.24.1501.1110b2-1115c22) as a second fascicle. More research is needed to discover when and why the two fascicles were divided in the Taisho- canon. Also, because the preface should logically come before the manual it introduces, for the current translation, the order of these has been switched from that found in the Taisho- edition. Again, more research is needed to discover when and why the preface section was placed after the manual se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하는 자료는 질이 매우 높고,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인상적입니다.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활용하기 편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문예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