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法密宗儀禮정비에 대한 제언1)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5.03 최종저작일 2014.02
36P 미리보기
法密宗儀禮정비에 대한 제언1)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불교문예연구 / 2권
    · 저자명 : 이성운

    목차

    Ⅰ. 서언(緖言)
    Ⅱ. 예경(禮敬)의식
    Ⅲ. 송주(誦呪)의식
    Ⅳ. 시식(施食)의식
    Ⅴ. 결어(結語

    초록

    이 글은 법화와 밀교사상을 아우른‘법밀종’의 일상의례는 어떠해 야 하는가를 논의해 본 글이다. 불교사상의 정형화된 양태라고 할 수 있는 불교의 의례에는‘교조에 대한 예경의식’,‘ 목표하는 깨달음을 이루려는 수행 방법의 일종의 송주의식’,‘ 수행으로 얻은 성취로, 아 직 깨달음을 얻지 못한 이들에게 베푸는 보시의 시식(施食)의식’등 다양하게 존재한다. 이 글에서는 법밀종 의례의 생성이라는 시론적 고찰이지만 한국불 교의 보편적 현상을 바탕으로 의견을 개진하였다. 왜냐하면 한국불 교 전반의 보편적인 정서를 감안하지 않으면 전법(傳法)에 장애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첫째, 예경의식은 신앙하는 대상의 조상(造像)에 맞는 소례(所禮)예 경의 등장이 필요하다. 가령 법밀종 본찰 구원사 법당에 모셔 놓은 존 상이 석가모니불·다보불·묘법연화경·본화보살이므로“일심경례 석가모니불, 일심경례 다보불, 일심경례 묘법연화경, 일심경례 본화 보살”등으로 생성되어야 하며, 물론 예경 실행에 적합하게‘불보살’ 에 대한 수식어휘를 삽입하여 유려한 문장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송주의식은, 법밀종이 법화와 밀교를 아우른 수행을 표방하 므로, 삼매를 닦는 현교(顯敎)와 다라니를 염송하는 밀교의 수행법이 쌍수(雙修)돼야 한다. 송주는 법화와 밀교를 거론하지 않더라도 동아 시아 불교권의 보편적인 수행 양상이므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밀교 수행의례에 걸맞은 수인(手印)·관상(觀想)·진언염송의 삼밀가 지를 추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시식의식은 수행의 공덕으로 널리 회향하는 의례이므로 법화 밀교를 추구하는 종단에서는 수행의례가 여법하게 봉행될 필요가 있 다. 시식의식은 대승불교 6바라밀의 첫 번째 실천 덕목인 보시바라밀 을 실천하는 것으로, 동아시아 불교권에서 널리 행해지고 있는 수륙 재, 몽산시식 등이 다 이에 해당한다. 특히 이 글에서는‘새벽에 사찰 경내를 돌며 경전을 외우는’한국불교의‘도량석(道場釋)’을 밀교의 시식의식인 도량을 푸는 의식으로 이해하고 소개하였다. 종교는 의례를 통해서 자신의 고요한 사상과 모습을 드러낸다. 의 례를 통해 수행자들은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고, 의례를 통해 함께하 는 구성원들의 자기동일성을 함양해 주므로, 사상과 신념에 부합하 는 의례를 생성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essay is to consider what the daily protocol in Beopmiljong(法密宗) should be, which is a Buddhist sect combining the Lotus Flower and the thought of Esoteric Buddhism. Buddhist protocol, which can be said the formulaic manner of Buddhist thought, contains‘ Yegyeong(禮敬, worship) rites for the head of a religious sect’, Songju(誦呪, recitation of dharani) rites as a kind of religious practice in order to accomplish the aiming enlightenment, Sisik(施食, banguet) rites which is Bosi(布施, offering) the achievement by discipline to sentient beings who don’t attain enlightenment’, etc. Here, the view based on the universal phenomenon of Korean Buddhism is stated, though it is a preliminary study on the formation of the rites in Beopmiljong(法密宗). It is because Jeonbeop(傳法, Transmission of the Dharma) would be hindered, without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the universal emotion of Korean Buddhism. First, Yegyeong(禮敬, worship) rites require the appearance of Sorye(所禮, the parties receiving worship) Yegyeong (worship) corresponding with the statues of the object whom to believe in. For instance, because Seokkamonibul(釋迦牟尼 佛, S´akya- muni Buddha), Abundant Treasures Buddha(多寶佛, Prabhu-taratna), the Lotus Sutra of the Wonderful Dharma(妙法蓮華經, Saddharma Pun.d. arl -ka Su-tra), Bonwha Bodhisattva(本化菩薩, Bodhisattva edified by original true Buddha) as sacred images are enshrined in the Dharma Hall in Guwonsa(Guwon temple), the headquarter of Beopmiljong, “worship with one mind Seokkamonibul(S´akya- muni Buddha), worship with one mind Abundant Treasures Buddha(Prabhu-taratna), worship with one mind the Lotus Sutra of the Wonderful Dharma(Saddharma Pun.d. arl -ka Sutra), worship with one mind Bonwha Bodhisattva(Bodhisattva edified by original true Buddha)”should be formed, and it makes sure that a flowing and elegant style need to utilize with applying the epithet to‘ the Buddha and Bodhisattvas’ suitable for practicing Yegyeong(worship). Songju(誦呪, chanting dharani) rites should be practiced balancing exoteric teaching(顯敎) that is to cultivate samadhi and esoteric teaching(密敎) that is to recite mystic phrase(dha-ran.l -) simultaneously, because Beopmiljong(法密宗) claims to stand for the discipline combining the Lotus Flower and Esoteric Buddhism. Songju(chanting dharani) is the universal method of meditation and thus it should be accepted, even if the Lotus Flower and Esoteric Buddhism are not mentioned. Especially, Three secrets Adhis.t. ha-na(三密 加持) of Mudra(手印, the hand seal), Contemplation(觀想) and Chanting Mantra(the true word) should be pursuit, suitable for the discipline protocol in Esoteric Buddhism. Third, Sisik(施食, banguet) rites is to transfer one’s merit(guna) of discipline to others widely and so one uphold and practice them in concord with the law. Sisik(banguet) rites is to practice the Perfection of Generosity (Dana Paramita) which is the first item of virtue among the Six Paramitas(Perfections) in Mahayana(Great vehicle) Buddhism and include Suryukjae(水陸齋, 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and Mongsan Sisik(蒙山施食, the Manual for Sisik by Rev. Mongsan) which are abroad throughout East Asian Buddhism. In particular, Doryangseok(道場釋, the early morning bell chant) in Korean Buddhism which is performed by going round the Dharma Halls reciting Buddhist scriptures at dawn is understand and introduced as Sisik(banguet) rites of Esotric Buddhism, the rites wrapping up Bodhi-mandala(道場). Religion shows its own thought and identity through the rites. Practitioners attain their aim through the rites and the partakers promote communal spirit through the rites, and thus the protocol in accord with its thought and faith should be cre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문예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