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山天齋 벽화에 대한 고찰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7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07.12
27P 미리보기
山天齋 벽화에 대한 고찰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명학연구 / 24권
    · 저자명 : 金鍾泰

    목차

    Ⅰ. 머리말
    Ⅱ. 伊尹에 대한 南冥의 생각
    Ⅲ. 山天齋 벽화의 所從來와 그 의미
    Ⅳ. 맺음말

    초록

    南冥 曺植의 晩年 講學地인 山天齋에는 3점의 벽화가 현재까지 남아 있다. 이 벽화는 여타 선유들의 강학 공간에서는 보기 힘든 것으로 퍽 이채로운 유물이 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 벽화의 所從來에 대하여 분명한 근거를 가지고 언급한 글을 접하지 못하였다. 필자는 평소 남명의 풍도에 감화를 받아 선생이 남긴 글 들과 참고 자료를 읽고 선생의 자취를 엿볼 수 있는 장소를 답사하는 가운데 우 연히 그 벽화의 소종래에 대한 심증을 얻게 되었다. 仁祖反正과 함께 찾아온 北人의 몰락으로 그들의 地域的, 師承的 근거가 되었 던 江右 지역은 200년 가까이 출사길이 막혔고 그로 인해 학문이 침체되어 있 었다. 그러던 것이 1796년에 내려진 正祖의 賜祭文을 기점으로 하여 이 지역에 학문이 불이 일듯 일어났다. 이를 계기로 의욕적으로 다시 일어난 남명에 대한 文廟從祀 운동은 결국 실패로 돌아갔지만 賜祭文碑 건립과 함께 山天齋의 재건 이 이루어졌다. 산천재 벽화는 1818년 산천재의 중수 때 강우 유림들이 四聖賢遺像을 환봉 한 것과 함께 그려진 것으로 필자는 추측한다. 이 벽화에 그려진 인물은 商山四 皓, 巢父・許由, 伊尹이고 그 소종래는 바로 정조의 사제문이라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정조의 사제문에는 정조의 깊이 있는 남명관이 잘 나타나 있는데 이 것이 江右 유림에게 있어 당시의 현실에서 남명을 선양하기에 시의적절한 계기 가 되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산천재 벽화의 연원은 결국 남명의 사상에 맥이 닿 아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ree murals(壁畵) in the SANCHEUNJAE(山天齋), which was the site for lecture of Josik(曺植) who often called as Nammyeong(南冥), still remains till today. These murals are quite distinctive ones, which are hard to find in the activity sites of other elder Confucianism scholars. However, there is no document clearly touches on the evidence about the source of these murals. The author used to be influenced by the personality of Nammyeong, and occasionally found the evidence about the source of murals by referring to the articles written by him, reading relevant documents, and visiting the places where he had been to. As the declination of the Bukin(北人) after the event, the reformation by king Injo (仁祖反正) of the Joseon dynasty, their path to become officials, which was based on the region and tradition, already forming for nearly 200 years, had been blocked, and it also caused their culture stagnation. In 1796, started with the SAJEMUN (賜祭文) conferred by king Jungjo(正祖), the culture in this region began to revive. At this juncture, the movement, called MUNMYOJONGSA(文廟庙從祀), sprung up enthusiastically, which made the Stone tablet of SAJEMUN(赐祭文碑) built and the SANCHEUNJAE rebuilt, although it turned out a failure at last. The author inferred that murals in the SANCHEUNJAE were painted at the same time with the renewing of Portraits of four Confucianism sages(四聖賢遺像) in 1818, at the same year of rebuilding of the SANCHEUNJAE. In murals, there are SHANGSHANSAHO(商山四皓). Sobo(巢父), Heoyoo(許由), and Yiyun(伊尹). The author also thought it was the SAJEMUN of king Jungjothat was the source of murals. In the SAJEMUN king Jungjo’s deep comprehension of Nammyeong appeared in time, it would be suitable for the Confucianism scholars in GANGWU(江右) region to enhance Nammyeong, which would further more make the source of the murals, which have the connection with Nammyeong theor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내용의 깊이가 뛰어나고, 주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과제를 작성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명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