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19세기 日本 磁器의 유입과 전개양상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09.12
26P 미리보기
18·19세기 日本 磁器의 유입과 전개양상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美術史論壇 / 29권
    · 저자명 : 최경화

    영어초록

    Chosun delivered its advanced porcelain-making techniques to Japan originally, in order to maintain neighboring relations. It is notable that since the 18th century, however, such exchange was completely reversed into a new current. The influx of Japanese porcelain in the latter Chosun period was due to the positive recognition of the ‘cleanliness, beauty and exquisiteness’ of Japanese ceramics. Such perception resulted from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art techniques and economic affluence of Japan.
    The majority of the imported Japanese ceramics were crafts which were initiated by Chosun ceramists in the Hijen area, which was the foundation of Japanese ceramics. These first came into Chosun in the form of royal gifts and offerings in the late 17th century, and were later traded to Chosun in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In 1757, when Japan ended its official foreign exports, Chosun was regarded by Japan as a potential commodity market.
    The domestic influx of Japanese ceramics were in the form of royal, official or diplomatic gifts, or by the order of Japanese diplomats staying in Chosun, or otherwise by trade. It is commonly perceived that Japanese porcelain brought into Chosun before the initiation of Japan-Chosun trade relations, had various forms with patterns of chestnuts and characters such as “壽”(longevity) and “福”(blessing) printed on the inside of the bowl.
    After trade relations began, it can be inferred that larger quantities of ceramics were brought into Chosun due to the encouragement of exports by the Japanese government. Most of these pieces were cheap industrial imitations of Chosun porcelain produced in the Hijen area. Japanese ceramics of this period were circulated by Japanese street stalls but also by Chosun merchants. In fact, this was proved by a piece of porcelain excavated from a former palace, which included the name of “恒春號”(Geum Chun Ho), a merchant from Gyeonsung.
    Moreover, according to a statute passed by Japan which came into effect in 1888, there was an overflux of Japanese ceramics both in public as well as in the royal household. G.W. Gilmore, a public school teacher, stated in 1892 that “At that time, stores and street stalls were full of imported Japanese ceramics.” Other records from 1892 show that in the same year, at the celebration banquet of King Gojong’s 41st birthday, 16,000 pieces of porcelain, which consisted one third of the tableware, were from Japan. This illustrates the scale and demand for Japanese ceramics during this period. Such inundation of Japanese ceramics continued until the first quarter of the 20th century, which negatively resulted in the cessation of the traditional domestic ceramics industry.
    The influence of Japanese ceramics can be recognized by new patterns such as chestnuts, small pine trees and flowers on flowing water which were not used before, and by typically Japanese superficial decorations known as “松皮菱”(water plant) and “雲割”(piece of cloud). In addition, in terms of the patterns’ composition, there are many aspects that are similar, which implies a deep correlation between the styles of Chosun and Japan’s ceramic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학업에도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