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삼척의 해상 이동 고찰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5.08
39P 미리보기
근대 삼척의 해상 이동 고찰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이사부학회
    · 수록지 정보 : 이사부와 동해 / 10권
    · 저자명 : 박미현

    목차

    Ⅰ. 머리말
    Ⅱ. 근대 삼척의 육로와 항포구 변화
    1. 근대 삼척의 육로
    2. 근대 삼척의 항포구
    Ⅲ. 해상 인적 교류와 물류 이동
    1.인적 교류 현상
    2. 해상 물류 이동
    Ⅳ. 맺음말
    ❚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강원도 삼척은 해양과 육지가 만나는 해안가 지역이다. 해양은 육지와 함께 삼척 역사를 형성해온 어엿한 활동 공간이었다. 이 논문에서는 근대시기 삼척에서의 해상 이동 상황을 살펴봄으로써 지역 정체성 형성에 어떤 의의가 있는지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근대시기 삼척지역은 2등도로를 중심으로 도로가 수선 정비되었으나 험로여서 자동차 수송이 원활치 않았다. 철도는 1940년대 들어 광물수송 간선 구축 방침에 따라 부설된 탓에 생활 교통과는 거리가 멀어 상대적으로 해상 교통과 해양 이용이 삼척지역에 요긴하였다. 근대시기 신문에 실린 해상 이동 관련 신문기사와 구술자료, 자전적인 글 등을 자료로 삼아 해상을 통한 삼척지역의 인적 교류와 물류 이동 양상을 나누어 살펴 보았다. 해양 활동 공간과 그에 연계된 항포구가 근대 삼척의 정체성 형성에 아래 와 같은 특징이 있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근대 시기 삼척에 있어서 해양은 일회적 단순한 교류를 넘어 연속적으로 동해안의 연안 도시 및 일본, 중국, 러시아 등과 긴밀하게 접촉이 이루어진 활동 공간이었다. 부산~원산 해로 기항지로서 인적 및 물류는 분명한 목적 아래 이동 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둘째, ‘신흥 삼척’ ‘물화의 집산지 삼척’ ‘공도 삼척’으로 요약되는 일제 말기 삼척의 이미지가 형성된 데는 활발한 해상 이동과 군수물자 집결처로서 정라항1)을 중심으로 한 여러 항포구 기능에서 파급되는 영향이 컸다. 셋째, 근대 시기 삼척의 항포구와 해양은 지역민 생업과 관련된 중요한 터전이었으며, 무동력선 운영과 원근해 어업, 해조류 채취 경험을 축적하였다. 넷째, 삼척의 해상 국방 요충지적 성격은 1937년 중일전쟁 발발로 항을 통한 군수물자 반출, 식량 공급 등 강화되었으며 이 같은 군사적 성격은 해방 직후에도 그대로 이어져 미군정청 국방국은 동해안 최북방 해군기지로 삼척을 설정하였다. 다섯째, 항포구 어촌이 확장해가는 과정에서 삼척포진성 유적 파괴와 오십천 수로 변경, 집단 이주로 인한 거주 불안, 헐값의 토지판매, 외지인과 노동자 유입으 로 인한 사건사고, 공장 안전사고, 축항설비 미비 해상 사고 등의 문제를 표출하였다. 여섯째, 삼척의 각 항포구는 육로교통이 제대로 연계되지 않아 물산의 집산지는 되었으나 배급처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여 거점도시로 확대되지 못하였다. 도시 형성에 필요한 각종 기반시설을 지역민에게 전가시킨 일제의 식민 통치 결과 삼척읍내~정라항간 도로조차 완비되지 못할 정도로 한계를 노정하였다. 삼척을 해항도시로 규정하지 않더라도 해양은 근대 삼척의 역사 경제 교통 항구 군사 등에 영향을 끼쳤으며, 정라항은 시대성을 대변하는 역사적 현장으로 이해되고 보존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Samcheok, Gangwon-do is coast area where sea and land meet. Sea together with land was honorable space which has formed history of Samcheok.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maritime movement status of modern Samcheok in order to find out meaning of regional identity formation. Through newspaper articles, oral data, and autobiographical writing related to maritime movement carried on modern newspapers,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both personal exchanges and flow of goods in Samcheok area through sea. Maritime activity space and harbor linked thereto have following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formation of modern Samcheock identity and the summary is shown as follows.
    First, as for Samcheock in modern times, sea was activities space of close and continuous contacts with east coastal cities, Japan, China and Russia beyond simple single exchange. As a port of call between Busan ~ Wonsan, personal and logistic flow shows change of movement under the definite objective.
    Second, the image formed during the end of Japanese Colonialism period and summarized as ‘Emergent Samcheok’ ‘Goods Distributing Center Samcheok’, and ‘Industrial City Samcheok’ was much due to the active sea movement and the function of harbor or port with Jeongrahang as center of military supplies.
    Third, harbor or port and sea of Samcheok in modern times were important base related to living of local people and they accumulated experience of operating non-powered vessel, deep-sea and offshore fisheries, and collecting sea algae
    Fourth, feature of Samcheok as sea important spot for national defense was strengthened by carrying out of military supplies and food supply due to break-out of Sino-Japanese War in 1937 and such military feature continued just after the liberation so that the Defense Division of U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established Samcheok as the northernmost naval base on the east coast.
    Fifth, in the expansion process of harbor fishing village, many problems appeared such as relics destruction of Samcheok Pojinseong, Osipcheon channel diversions, unstable residence due to mass migration, cheap sale of land, accidents or incidents arising from inflow of strangers and labor, factory safety accidents, marine accident due to improper port facilities.
    Sixth, because land traffic was not properly connected, respective ports and harbors of Samcheok acted as a collection center of goods but it did not play as a distributing center and therefore, it could not become a hub city. Owing to Japanese colonial administration which transferred construction of all the infra necessary for city formation to local people, such limitation happened as road between Samcheok-eup and Jeongrahang was not completed.
    Even though Samcheok is not defined as a seaport town, sea has influence on history, economy, traffic, harbor and military affairs of modern Samcheok, and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and preserve Jeongrahang as a historical site representing trend of time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제가 필요로 하는 지식을 완벽하게 충족시켜주었습니다. 과제 제출일이 얼마 남지 않아 시간이 부족했는데, 이 자료 덕분에 과제를 제출 할 수 있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사부와 동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3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5 오전